본문 바로가기

조경관리/병해관리

병해관리 1-1. 연간 병해 방제 계획 수립

1. 병해의 개념

병이란 지속적인 외부 자극에 의해 수목의 정상적인 기능이 지장을 받고 있는 과정을 말 하며, 그 결과 식물 본래의 형태나 생리 기능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의 병이란 모든 병원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뜻한다. 수목이 병 때문에 그 재배 와 이용 목적에 어긋난 결과를 가져올 때 이것을 병해라고 한다.


2. 수목 병해의 발생

1. 병원균이 생활하기 좋은 조건

수목 병해에서는 병원체가 곰팡이인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곰팡이는 포자 상태로 전파된다. 일차적으로 식물체에 부착한 포자는 발아하여 식물체 내로 침입하여야 병을 일으키게 된다. 곰팡이의 포자가 발아하는 데 가장 적합한 대기 습도는 100%이며, 이보다 낮은 습도 조건에서는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대개 20℃ 전후이다. 그러므로 적당한 습도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병원균의 포자가 나무에 부착하더라도 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2. 나무가 병에 걸리기 쉬운 조건

나무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생육 조건이 나쁘면 생육도 나쁘게 되고 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그러면 나무가 생육하기에 나쁜 환경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1) 불량한 묘목 좋은 묘목을 재배하는 것은 묘목을 건강하게 하여 병에 걸리지 않지 위한 방법다. 특 히, 뿌리의 생육이 나쁜 묘목은 뿌리썩음병에 걸리기 쉽다.

(2) 부적당한 묘목 취급 묘목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건조하거나 임시 심기를 할 때 흙을 잘못 덮은 경우, 혹은 잘못 심어진 경우, 묘목의 생장이 나빠진다.

(3) 잘못 선정된 식재지 일반적으로 습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은 뿌리가 얕게 수평으로 뻗으며, 건조한 토양에 서 잘 자라는 수종은 심근성이 좋다. 나무를 심을 때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당한 장소에 심어야 한다.

(4) 숲 가꾸기의 시기 나무의 생육 시기에 따라 풀베기, 가지치기, 솎아베기 등을 제 때 실시하여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지표 부근의 습도를 낮추어서 포자의 발아를 억제하게 된다. 숲 가꾸 기가 늦어지면 공중 습도가 높아지고 병원균의 활동이 활발하게 된다.

(5) 건전한 묘목 식재 묘포에서 이미 병에 걸린 나무를 심으면 식재지에서 병이 진전되어 번성하게 된다.

(6) 대기 오염 대기 오염, 분진, 산성비 등은 나뭇잎의 기공 세포를 죽이거나 또는 잎의 왁스층을 녹여 직접 해를 주기도 하고 소나무의 경우에는 그을음잎마름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3. 병해 발생으로 인한 피해

수목과 산림은 목재와 그 부산물의 생산을 비롯하여 국토 보전, 수자원 확보, 대기 정화, 보건 휴양, 야생 조수의 보호, 경관 조성, 소음 방지, 정서 함양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이득을 우리에게 주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해는 수목과 산림의 피해 즉, 일차적인 피 해만을 설명한다.

1. 나무 고유의 수형과 이들이 만드는 경관을 해친다. 잎에 발생하는 잎마름병류, 반점성 병해, 낙엽성 병해, 흰가루병류, 녹병류는 나무의 잎을 오염시키거나 일찍 낙엽이 되게 하여 생장을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관엽 식물 등에서는 외관상 미관을 나쁘게 한다.

2. 나무의 생장 감퇴를 가져온다. 잎에 발생하는 각종 병해와 가지 및 줄기에 발생하는 가지마름병 등은 나무를 쇠약하게 하여 해충의 2차 피해를 가져오게 되고 생장을 더디게 하여, 결국은 목재 생산량을 감소 시킬 뿐만 아니라 수목의 질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3. 나무의 재질을 나쁘게 한다. 각종 줄기마름병, 부란병, 목재부후병, 줄기녹병 등은 재질의 부후로 최종 생산된 목재의 질을 저하시켜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4. 나무를 고사시킨다. 시들음병류, 뿌리썩음병류, 빗자루병류, 부란병류, 줄기마름병류 등이 심하게 발생하면 발 생 당년 또는 발병 후 수년 내에 나무를 고사시킨다. 해외에서 들어온 병원균의 경우 토 착 수종을 전멸시키기도 한다.


수행 내용 / 병해 관련 정보 수집하기

수목, 병원체, 환경의 삼각 관계를 이해한다.

1. 병원체, 수목, 환경 간의 삼각 관계(상호 관계)에 의해서 병이 생기게 된다.

(1) 환경이 변해서 수목의 건강에 불리하고 병원체의 생육에는 유리한 조건이 되면, 균형 이 깨져 병원체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발병하게 된다.

(2) 생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는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이 있기 때문에 쉽게 발병하지 않는다.

(3) 수목이 병에 걸리려는 원인은 우선 수목이 병원체와 접촉하고 환경이 발병에 적합한 조건일 때이다.

발병이 이루어지는 수목, 병원체, 환경의 삼각 관계

기상 상태는 수목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봄철 비가 온 후에는 녹병균의 포자가 비산하여 붉은 별무늬병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여름철에 우리나라는 덥고 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병균이 가장 왕성하게 번식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가을철 가뭄이 장기간 지속되어 수세가 쇠약해지면 다른 병들이 따라오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겨울철 수피에 동해를 입으면 봄부터 가지마름병과 줄기마름병에 잘 걸린다.


2. 현황 조사를 한다.

1. 나무 소유주와 대화하거나 사람들에게 그 나무와 주변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아래항목 들을 물어본다.

(1) 건설 작업·약제 살포·가뭄 지속 기간·비료 살포·혹독한 겨울

(2) 나무에 가해진 과거의 충격·전정·첫 피해 증상이 나타난 시기

2. 나무와 입지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를 둘러본다. 수목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을 만한 요 인이나 비정상적인 요인들을 모두 기록한다.

(1) 수목 요인: 잎, 꽃, 신초, 가지, 수간, 뿌리 등을 검사한다. 비정상적인 부분을 기록한다.

(2) 입지 요인: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는 부지 요인에 대해 모두 기록한다.

3. 나무가 외부에서 감염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주변의 나무를 검사한다.

(1) 감염되었다면 감염된 나무들이 동일한 수종이나 계통의 나무인지 확인한다.

(2) 피해 증상이 모든 수종의 나무에 전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4. 현황 조사표를 만들어 표기한다.

현황조사표

현장 답사를 통하여 대상 지역 내 식재된 조경수와 생육지의 상태를 파악한다. 기상 및 기온에 관한 정보는 문헌 자료(기상청, 일기예보 등)를 통하여 조사한다. 설계 도면 및 현장 답사를 통해 해당 공간의 지형, 주변 현황을 조사한다. 조경 도면을 수집하여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