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산림병해충방제

(14)
산림병해충방제 3-2. 작업장 안전관리 교육 1. 중대재해사례 (1) 벌목작업 중 벌채목에 의한 충돌사망 2004년 3월 2일 10:00분경 양구군 방산면 소재 낙엽송 간벌현장에서 OOO영림단 소속 벌채작업자가 최초 의도했던 벌채 방향이 바람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쓰러지는 방향이 변경되었고 하부에서 조재작업 중이던 피재자는 벌채자의 고함소리에 쓰러지는 나무의 움직임을 보고 자신에게로 쓰러지는 것으로 생각하여 측면으로 피하였으나 쓰러지는 나무에 맞아 재해가 발생 (가) 재해발생 원인 - 위험구역내 동시 작업을 진행하였다. - 벌목작업 작업시 위험방지를 위한 조치가 미흡하였다. (나) 동종재해 예방대책 - 위험작업반경내 작업을 금지시킨다. Ÿ 벌목작업시에는 벌채목 수고의 2배에 해당하는 벌목 구역 내에는 해당 나무 벌채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는 출입 및..
산림병해충방제 2-2. 방제 약제 관리 1. 방제 약제의 유실 방지 농약의 관리는 「농약관리법」(법률 제14980호 일부 개정 2017. 10. 31.)에 명시되어 있는데, “이 법은 농약의 제조·수입·판매 및 사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농약의 품질 향상, 유통 질서의 확립 및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하고 농업 생산과 생활환경 보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그중 산림 병해충 방제약제의 유실 방지는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함에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철저히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2. 방제 약제 유효 기간, 사용 연한 관리 방제 약제의 유효 기간과 사용 연한은 용기의 아랫면에 표시되어 있다. 유효 기간, 사용 연한 관리 농약의 유효 기간은 대상 병해충과 제품, 내용 구성물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제조일로부터 ..
산림병해충방제 2-1. 방제 기구, 기계 관리 1. 방제 기구 산림 병해충에 사용하는 기구는 수간 주사기, 천공기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 밖에, 외과 치료와 같이 방제 작업을 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사용되는 손톱, 끌, 낫, 전정가위, 분무기 등이 있다. 1. 수간 주사기 수간 주사기는 입목의 수세가 약하거나 솔잎혹파리와 같은 흡즙성 곤충의 방제에 많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개의 단목에 많이 적용하는 방법이다. 약액의 종류에 따라 또는 튜브의 내용물에 따라 다르며, 수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통 포도당 5% 액을 많이 사용한다([그림 2-1]). 2. 손톱, 고지 지타톱 손톱은 관목의 베기나 가지치기 등에 사용한다. 가지치기의 작업 능률은 체인 톱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베기 작업을 계속해 갈수록 톱날에 송진이 묻어 작업이 잘되지 않는다. 작업 도..
산림병해충방제 5-2. 임업적 방제 실행 1. 임업적 방제 1. 주요 산림병해충 임업적 방제 (1) 솔껍질깍지벌레의 임업적 방제 (가)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 1) 솔껍질깍지벌레 피해지 또는 선단지 위주로 일정 규모 이상 대면적에 집중하여 추진한다. (소나무재선충병 반출금지구역 외곽지역) - 사업규모: 개소당 30ha 이상 규모로 집단화하여 집중 실행 - 산물수집 및 사업추진의 용이성 확보 - 나무주사 실시하기 이전에 강도의 솎아베기 실행 ※나무주사를 먼저 실시할 경우 나무주사 대상목을 표시하여 나무주사를 실시하고 표시되지 않은 나무는 나무주사 후 솎아베기를 실시한다. 2) 소나무림의 생태적 건강성 확보 차원에서 강도간벌 추진 - 소나무는 햇빛 요구도가 매우 큰 수종으로 양분⦁수분 경쟁완화를 위해, 밀도 유지를 위해 입목 간 정상 간격 이상 거리..
산림병해충방제 5-1. 임업적 방제의 이해 1. 임업적 방제 임업기술의 응용 및 도입에 의하여 임지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개선하고 또 병원체 및 해 충의 침입경로를 차단하는 등 여러 가지 수단으로 병충해에 잘 걸리지 않는 산림을 조성 하는 것을 주체로 하는 간접적인 예방법이다. 2. 주요산림병해충 ( 예: 밤나무 혹벌) 밤나무혹벌은 1941년 일본 오까야마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59년에 충북 제천에서 그 피해가 최초 확인되었다. 본 해충은 대부분의 일생을 밤나무의 조직안 에서 생활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살충제를 살포해서 방제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임업연구원에서는 내충성품종을 보급하여 피해를 방지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내충성품종에도 피해를 주는 새로운 생태형이 출현하여 남부지방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으므로 천적곤충을 이용한 방제..
산림병해충방제 4-2. 약제 방제 실행 1. 약제 방제방법 (예: 소나무재선충병) 1. 약제나무주사 (1) 작업방법 (가) 흉고직경 측정방법 - 다목적윤척을 사용하여 대상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한다. - 다목적윤척 눈금에 표시된 소나무 재선충병 구명 수량을 확인한다. (나) 동력천공기 사용 구명 뚫는 방법 - 구멍은 동력천공기를 사용하여 직경 1cm, 깊이 8~10cm 크기로 뚫는다. - 구멍은 가급적 소나무 하단부에 뚫는 것이 좋으며 지상 50cm 이하의 높이에 뚫는다. - 구멍수가 1~2개일 경우에는 남쪽부위 소나무껍질의 틈사이가 넓은 곳에 뚫는 것이좋으며 다만 구멍수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나무줄기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는다. - 구멍 뚫는 요령은 [그림 4-2]와 같이 밑을 향해서 45도 되게 나무줄기에 고루 분포시켜 중심부를 비켜서 뚫..
산림병해충방제 4-1. 약제 방제의 이해 1. 약제 방제의 이해 (예: 소나무재선충병) 1. 예방나무주사 (1) 방제요령 (가) 대상지 - 선단지 및 재선충병 확산이 우려되는 지역 - 문화재보호구역, 전통사찰, 자연공원, 천연기념물, 보호수, 경관보전구역 등 소나무류의 보존가치가 큰 산림지역 - 국가 주요시설, 생활권 주변의 도시공원, 수목원, 자연휴양림 등 소나무류 관리가 필요한 지역 - 발생지역 중 잔존 소나무류에 대한 예방조치가 필요한 지역 (나) 약제선택 - 문화재보호구역 등 보존가치가 큰 소나무류는 천공으로 인한 수간손상, 방제효과 등을 고려하여 약효지속기간이 긴 약제를 사용 할 수 있다. - 그 외 지역은 약제단가 등을 고려하여 약효지속기간이 짧은 약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토양약제주입 (1) 방제요령 (가) 대상지 -..
산림병해충방제 3-2. 피해목 처리 실행 1. 피해고사목 방제 1. 참나무시들음병 피해고사목 처리방법 참나무 시들음병 피해목은 산림소유자가 관할 시·군·구에서 입목벌채허가를 받아 피해지역의 입목을 “선택베기”로 실시한다. 피해지 1개 벌채구역은 5ha 이하를 원칙으로 하되, 벌구 사이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폭 20m 이상의 수림대를 존치시켜야 한다. 기주나무일 신갈나무는 벌채대상이며, 신갈나무 외 수종은 존치하여 친환경적 벌채로 유도하여야 하며, 벌채 산물은 전량 수집하여 반출하여야 한다. 벌채·집재·반출 시기는 11월~3월이며 산물은 4월말까지 완전처리 하여야 한다. (1) 대상지 선정 -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중 벌채산물의 수집·반출이 가능한 지역 - 대상지의 경계는 최소 피해지 외곽 20m~30m까지 설정 고사목을 중심으로 20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