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생활권수목피해

(11)
생활권수목피해진단 7-2. 기타피해 처방 1. 위험목 제거 및 보강제 설치 1. 위험목 제거 위험목의 제거 기준은 아래와 같다. (1) 줄기 및 큰 가지 내부의 부후 수목내부의 목재부후는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에 의해 자체적으로 방어기작이 작동하여 부후에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쇠약한 수목은 생장이 느려서 부후의 진전에 방어하기 힘드므로 쇠약도를 판단한 후에 제거할 것인지 회복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2) 궤양과 궤양부후 건전한 수목은 강풍에도 부러지지 않고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지만 궤양이 발생되어 넓은 면적의 수피를 죽인 수목은 유연성이 없으므로 이런 위험목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뿌리 절단과 부후 뿌리썩음병균에 감염되어 병원균이 형성하는 자실체(버섯)가 줄기 하부에 발생된 경우에는 위험목을 제거해..
생활권수목피해진단 7-1. 병해충 피해 처방 1. 병해충 방제방법 생활권 수목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제 방법중에 가장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생활권 수목 병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화학적 방제법 주로 농약을 사용해서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효과가 빠르고 우수한 반면, 인체에 대한 독성, 환경오염, 잔류 등 부작용도 나타난다. 수목에 대한 농약처리는 주로 수관살포, 나무주사, 토양 관주 등이 주된 처리 방법이다. 2. 기계적 방제법 사람의 손이나 간단한 기계, 기구 등을 사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단시간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방제비용 또한 비교적 저렴하며 환경오염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계적 방제방법은 소면적 산림, 정원수, 특용수 및 소규모..
생활권수목피해진단 6-2. 위험목 제거계획 수립 1. 위험목 제거 기준 1. 줄기 및 큰 가지 내부의 부후 수목내부의 목재부후는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에 의해 자체적으로 방어기작이 작동하여 부후에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쇠약한 수목은 생장이 느려서 부후의 진전에 방어하기 힘드므로 쇠약도를 판단한 후에 제거할 것인지 회복시킬 것인지를 결정한다. 2. 궤양과 궤양부후 건전한 수목은 강풍에도 부러지지 않고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지만 궤양이 발생되어 넓은 면적의 수피를 죽인 수목은 유연성이 없으므로 이런 위험목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뿌리 절단과 부후 뿌리썩음병균에 감염되어 병원균이 형성하는 자실체(버섯)가 줄기 하부에 발생된 경우에는 위험목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뿌리 조직의 50% 이상 소실된 위험목도 제거해야 한다..
생활권수목피해진단 6-1. 위험목 조사 1. 위험목의 정의 및 배경 위험목은 살아있지만 구조적으로 쇠약하여 나무 전체 또는 일부가 쓰러지거나 부러질 수 있는 나무인데, 불행히도 사람들은 이런 나무를 대수롭지 않게 간과하다가 나무가 쓰러지거나 가지가 부러지고 한 후에야 문제점을 인식하게 된다. 수목은 강풍, 폭설 등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구조적으로 버텨내기 위하여 유연성이 필요한데, 수목 구조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죽은 조직인 목질부가 구조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부분이 부후되면 외관적으로는 살아있지만 구조적인 강도가 약화되어 외부의 강한 스트레스에 버틸 수 없게 된다. 2. 위험목의 종류 1. 줄기 및 큰 가지 내부의 부후 2. 궤양과 궤양 부후 3. 뿌리 절단과 부후 4. 쇠약된 분기 줄기나 가지 3. 위험목의 탐색 생활권 수목..
생활권수목피해진단 5-2. 피해정도 및 면적 산출 1. 수목 피해 식별 및 피해정도 구분 1. 수목 피해 식별 수목의 피해는 크게 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와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로 나누어진다. 생물적 피해는 다시 해충에 의한 피해와 병원체(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즈마, 선충 등)에 의한 전염성 병으로 구분된다. 수목의 피해를 올바르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물적요인에 의한 피해와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수목의 피해를 진단하는데 해충의 피해가 있는지와 해충이 주원인인가를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해충에 의한 피해가 아닌 경우에는 피해 원인이 전염성 병인가 아니면 비전염성 병인가를 판별하는 것이며 판별기준은 아래에 제시하였다. (1) 전염성 병의 특징 - 동일 종, 동일 속에 속하는 나..
생활권수목피해진단 5-1. 피해목 기초 조사 1. 피해 수종명 식별 수목은 유관속 형성층에 의해서 2차 생장을 함으로써 직경이 굵어지는 종자식물인데, 수고, 잎의 모양, 낙엽여부, 용도 등에 의하여 분류된다. 수목의 키에 의한 분류는 4m 이상을 자라는 나무를 교목(tree), 4m 이하를 관목(shrub)이라고 한다. 잎에 의한 분류는 잎이 가늘고 길게 바늘처럼 생긴 나무는 침엽수(needle-leaved tree), 잎자루와 넓적한 잎몸(엽신)으로 나누어진 잎을 가진 나무는 활엽수(broad-leaved tree)라고 한다. 은행나무의 잎은 잎자루와 넓적한 잎몸을 가졌지만 원시적인 형태를 가져서 수목분류학상 침엽수로 분류된다. 낙엽여부에 의한 분류는 겨울철에 잎이 탈락하면 낙엽수(deciduous tree), 잎이 지속적으로 붙어있으면 상록수(..
생활권수목피해진단 4-1. 병해충 구분 1. 수목병해충 1. 수목병해 수목에는 생물적 원인에 의한 전염성 병해와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비전염성 병해가 발생하지만 여기에서는 전염성 병해에 대하여 다루기로 한다. 전염성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로는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 등의 병원성 미생물, 선충, 원생동물 등의 병원성 동물, 기생종자 식물 등이 있다. 2. 수목해충 수목에 나타나는 해충에 의한 피해진단은 해충의 존재, 피해증상, 가해흔적 등을 찾아내는 것이다. 수목에 피를 입히는 해충을 가해습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엽성해충, 흡즙성해충, 천공성해충, 충영형성해충, 종실해충 등으로 분류된다. 2. 병징과 표징 수목에 발생한 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의 진단시에는 병징과 표징을 이용하여 진단하는데, 비생물적 원인에 의해서도 유사한 병..
생활권수목피해진단 3-1. 토양 조사 1. 토양의 중요성 토양은 수목의 뿌리가 정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여 뿌리를 지탱할 뿐 아니라 생장에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목의 건전한 생장을 위해서는 토양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관수, 배수, 시비, 토양개량 등을 통하여 토양을 관리해야 한다. 2. 토양의 구조와 구성 토양의 구조는 그림과 같은 층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질도 다르다. A1층은 낙엽과 부식질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이고, A2층이 유기물을 많이 함유한 부드러운 광물질 토층이며, B층은 유기물 함량이 적고 비교적 단단한 토층이다. C층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풍화토양 및 암석으로 이루어진 토층이다. 토양의 구성은 고상, 액상, 기상의 3상으로 이루어지며, 3상의 비율은 토양의 종류와 환경조건에 따라 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