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생활권수목피해

생활권수목피해진단 5-2. 피해정도 및 면적 산출

 

1. 수목 피해 식별 및 피해정도 구분

 

1. 수목 피해 식별

수목의 피해는 크게 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와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로 나누어진다. 생물적 피해는 다시 해충에 의한 피해와 병원체(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즈마, 선충 등)에 의한 전염성 병으로 구분된다. 수목의 피해를 올바르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물적요인에 의한 피해와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수목의 피해를 진단하는데 해충의 피해가 있는지와 해충이 주원인인가를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해충에 의한 피해가 아닌 경우에는 피해 원인이 전염성 병인가 아니면 비전염성 병인가를 판별하는 것이며 판별기준은 아래에 제시하였다. 

(1) 전염성 병의 특징
- 동일 종, 동일 속에 속하는 나무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 동일 수종 내에서도 병이 걸린 개체와 건전 개체가 섞여 있다. 
- 병이 걸린 개체 간 혹은 한 개체 내에서도 부위에 따라서 발병 정도에 차이가 난다. 
- 병원균 일부가 겉으로 보이는 표징이 보일 때도 있다. 
- 하루 이틀 사이에 급속히 진전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2) 비전염성 병의 특징
- 피해 장소에 함께 자라는 거의 모든 나무에 동시에 나타난다. 
- 다른 여러 수종에서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 동일한 그리고 균일한 병징을 보이며 수관 전체에 나타나기도 한다. 
- 어떤 특수한 환경과 특별한 위치에서만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특수한 지역이란 낮은 곳, 높은 곳, 특수 방위, 경사가 있는 곳, 주풍이 불어오는 곳, 도로변, 특수 시설이 있는 곳 등을 말한다. 
- 대개 병징이 서서히 나타나지만 기상이변, 약품에 의한 피해는 급속히 나타나기도 한다. 

 

2. 병해와 충해의 피해 정도 구분

생물적요인에 의한 피해 중 병해와 충해를 구분한 후 각 피해 정도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병해 혹은 충해의 피해를 나타낼 경우에는 “심”, “중”, “경”으로 구분한다. 병해충에 의한 수목의 피해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심”, 20~50% 미만인 경우에는 “중”, 20% 미만인 경우에는 “경”으로 표시한다. 아래는 솔잎혹파리의 피해도 구분 방법을 예시하였다. 

(1) 조사요령
(가) 조사대상지 내에서 피해정도가 평균이 되는 조사목 5본을 전구역에서 고루 선정하여 표시
(나) 조사목 1본당 충영형성 상태가 평균이 된다고 판단되는 신초 1가지를 채취(5본×1가지=5가지 채취)
(다) 채취된 5가지 신초에 붙어 있는 총 솔잎수와 충영이 형성된 잎수를 조사하여 충영형성율을 계산함
(라) 충영형성율(%) = 충영형성 솔잎수 ÷ 총 솔잎 수 × 100

(2) 피해도 구분: 충영형성율의 백분율의 범위에 따라 심, 중, 경으로 표시
(가) 피해도 “심”: 충영형성율이 50% 이상
(나) 피해도 “중”: 충영형성율 20~50% 미만
(다) 피해도 “경”: 충영형성율이 20% 미만

3. 피해본수, 피해면적 산출 및 도면 작성

병해충에 의한 피해본수는 전수조사를 통해 심, 중, 경으로 피해정도를 구분한 후 각 피해정도에 해당하는 수목의 본수로 표시한다. 병해충 피해면적은 수목이 식재된 전체 조사지역에서 병해충이 발생한 면적을 좌표면적계산법·삼사법·프라니미터(Planimeter) 또는 전자면적계산 등에 의해 산출한 후 표시한다. 도면은 병해충이 발생한 지역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병해충이 발생한 곳을 형광펜 등을 이용하여 도면에 표시한다. 


수행 내용 / 병해충 피해목 조사하기

1. 피해 수종을 식별한다.

1. 피해 수종의 특징을 부위별로 면밀히 관찰하고 일자, 장소, 상태 등을 기록한다.
2. 수종의 특징에 기초하여 수목도감을 참조하여 수정을 확인한다.
3. 수목 부위별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로 가져와서 식물표본압착기를 사용하여 건조표본을 제작한다. 
4. 필요시 수목분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2. 피해목 크기를 측정한다.

1. 수고측정기의 사용방법을 숙지한다.
2. 측정위치는 측정목의 참단과 밑이 잘 보이는 지점을 선정해야 한다. 밑이 잘 안보일 때에는 잘 보이는 데까지 측정한 후 그 점에서 지상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가산한다. 
3. 측정 위치가 가가우면 오차가 생기므로 수고를 목측하여 나무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4. 경사진 곳에서 측정시에는 오차가 생기므로 여러 방향에서 측정하여 평균해야 한다. 
5. 흉고직경의 측정은 지상 1.2m 높이의 직경을 측정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슴높이를 측정해도 큰 오차는 없다. 지면이 경사져 있을 때는 지면의 평균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1.2m 높이를 찾으면 된다. 


3. 수목 피해를 식별하고 병해충 피해정도를 구분한다.

1. 수목 피해를 식별하는 경우 우선 해충의 피해가 있는지와 해충이 주원인인가를 판단한다.
2. 해충에 의한 피해가 아니라면 전염성병인지 비전염성병인지를 판별기준에 의거 판별한다.
3. 수목의 병해충 피해정도는 피해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심”, 20~50% 미만인 경우에는 “중”, 20% 미만인 경우에는 “경”으로 표시한다. 


4. 피해본수, 피해면적 산출 및 도면 작성을 한다.

1. 병해충 피해 발생지역 전수를 조사해 심, 중, 경 피해정도별 본수를 조사한다.
2. 피해 발생지역에서 병해충에 피해를 받은 면적을 산출한다.
3. 병해충 발생지역을 도면으로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