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생활권수목피해

생활권수목피해진단 2-1. 입지환경 조사

수목의 입지환경 조사는 생활권수목에 나타나는 다양한 피해를 이해하는게 크게 도움을 준다. 특히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 피해의 경우 입지환경조사에 의해 피해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생활권 수목의 입지환경조사에는 지형, 방위, 위도 및 경도, 표고, 시설 및 건조물, 토양의 층위구조, 토성, 건습도, 견밀도, 화학적 성질, 기상, 인위적 간섭 조사 등이 포함된다.

 

1. 지형, 방위, 표고, 경사, 위도 조사

(1) 지형조사
지형조사는 아래의 기준에 의거하여 구분한다.

<표 2-1> 지형조사

 

(2) 방위 조사
크리노메타(콤파스, 방위계, 나침반 등을 이용하여 경사를 측정하는 기계)을 사용하여 동, 서, 남, 북, 북동, 북서, 남동, 남서의 8방위로 나누어서 조사한다. 

(3) 표고 조사
표고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목이 식재된 지형의 표고를 측정한다.

(4) 경사조사: 평균 경사를 아래 기준에 의거하여 조사한다. 

<표 2-2> 경사조사

 

(5) 위도 및 경도 조사: GPS를 이용하여 피해 수목이 식재된 곳의 위도 및 경도를 측정한다. 

 

2. 토양층위, 토성, 습도, 견밀성, 이화학성 및 양료함량 조사

(1) 토양층위 조사
토양은 화학적 반응과 침전에 의해 형성되는 몇 개의 수평적인 층을 말하며 이것을 토양층(soil horizon)이라 하고 토양층의 집합체를 토양층위(soil profile)라 한다. 가장 윗부분은 낙엽층인 L 층(litter)이라고 하며 그 아래로 부분적으로 분해되었으나 근원을식별할 수 있는 F층(fermentation), 그리고 그 아래로는 유기물이 완전히 분해되어 형성된 층인 H층(humus)이 있다. 

[그림 2-1] 산림토양의 횡단면에 의한 기본층위 구분도

 

(2) 토성 조사
토성은 모래, 미사, 점토의 상대적인 구성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어 진다. 토성은 수분과 양분의 흡착력 · 보유력 및 통기성 · 투수성등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토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기계를 이용해서 분석하여 각 입자의 중량을 구하고 그 중량비율로써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야외조사에서는 이와 같은 정밀한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손가락의 감촉에 의하여 토성을 판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토층은 각 층위에서 채취한 작은 토괴를 축축하게 하여 엄지와 인지사이에 넣고 천천히 비벼서 모래가 섞인 정도나 점토가 섞인 정도 등의 감촉에 의하여 판정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아래와 같이 7개의 토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1) 사토(sand): 거의 모래만이 느껴짐
2) 사질양토(sandy loam): 모래가 1/3 ~ 1/2을 차지하고 있다고 느껴짐
3) 양토(loam): 모래가 1/3이하를 차지하고 있다고 느껴짐
4) 미사질양토(ilt loam): 점성이 없는 점토가 대부분인 토양
5) 식양토(clay loam): 점성이 있는 점토에 약간의 모래가 느껴짐
6) 식토(clay): 점성이 있는 점토가 대부분인 토양
7) 석력토(gravel): 대부분이 석력으로 된 토양

(3) 건습도 조사
건습도는 계절, 강우, 식생, 방위 등에 의하여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건습도를 조사할 경우에는 계절, 강우, 식생, 방위 등을 종합하여 아래 기준에 의거하여 층위별로 조사한다.

<표 2-3> 건습도 조사

 

(4) 견밀도 조사
견밀도측정기(Penetrometer)로 아래 구분에 의거 조사한다.

<표 2-4> 견밀도 조사

 

(5) 화학적 성질 조사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지표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함량 그리고 토양의 산도(pH)이다. 토양 시료를 채취 한 후 토양의 산도와 유기물 및 무기물의 함량을 전문적인 분석기관에 의뢰한 결과를 분석 할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수목은 pH 5.5 ~ 6.5인 약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H 5.0 이하는 산성토양, pH 7.0 이상은 염기성토양으로 구분한다. 식물은 또한 생장을 위해 다양한 무기양분을 필요로 하는데 필요 무기양분은 아래와 같은 성분들이 있으며 이들이 부족하면 다양한 결핍현상이 식물에 나타난다.

질소(nitrogen): 아미노산, 단백질, 효소, 핵산, 식물호르몬 및 엽록소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식물 대사에 핵심역할을 하는 무기양분이다. 질소가 부족하게 되면 잎의 변색, 가지가 가늘고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인(phosphorus): 원형질막의 구성 성분이며 식물체내에서 ATP 형태로 존재하여 광과 호흡작용에서 당류와 결합하여 여러 가지 대사를 주도한다. 잎의 변색이 일어나고 조기낙엽, 열매가 적게 달리고 작으며 뿌리가 엉성한 현상이 나타난다. 

칼륨(potassium): 광합성과 호흡작용에서 효소의 활성제 역할을 하며, 세포의 삼투압을 조절하는 물질이며, 기공의 개폐에 관여한다. 잎에서 가장자리와 엽맥 사이 조직이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가지가 고사하거나 꽃이 적게 달리고 열매가 작고 색깔이 빈약한 현상이 보이며 특히 서리피해에 약하게 된다. 

마그네슘(magensium): 마그네슘은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며 ATP와 결합하여 기능을 하도록 활성화한다. 광합성, 호흡작용, 그리고 핵산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제 역할을 한다. 성숙엽의 엽맥 사이와 가장자리가 변색하며 엽맥 사이 조직이 괴사하고 조기 낙엽된다. 

철(iron): 철은 광합성과 호흡작용에서 전자를 전달하는 단백질과 효소의 구성 성분이며 엽록소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한다. 부족하면 황화, 낙엽, 가지가 가늘고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3. 기상 조사

수목 피해 중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피해 중 기상에 의한 피해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입지환경 조사 시 기상 환경도 조사해야 한다. 수목에 영향을 주는 기상 환경으로는 기온, 풍속, 폭설, 우박, 낙뢰, 일조량 등이 있다. 고온에 의한 피해로는 엽소, 피소 등이 있으며 저온에 의한 피해로는 냉해, 동해, 서리, 서릿발, 상열, 동계 건조 등이 있다. 

(1) 엽소(leaf scorch): 고온에 의해 잎의 가장자리부터 마르기 시작하여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피소(sun scald): 남서쪽에 노출된 지표면에 가까운 수피가 여름철 햇빛과 열에 의해 타서 형성층 조직이 죽어 벗겨지고, 목부 조직이 노출되는 현상

(2) 냉해(chilling injury): 봄과 가을의 환절기에 낮은 온도(빙점 이상 혹은 전후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 피해

(3) 동해(freezing injury): 겨울철 빙점 이하에서 나타나는 식물의 피해

(4) 서리(frost): 생육기간(4~10월)에 나타나는 저온 피해로 봄에 늦게 오는 서리에 의한 피해를 만상(늦서리), 늦여름 혹은 가을에 첫 번째 오는 서리에 의한 피해를 조상(첫서리)이라고 한다. 

(5) 서릿발(frost heaving): 초겨울 혹은 이른 봄에 습기가 많은 땅에 서리가 내리면서 표면의 흙이 위로 솟아오르는 현상으로 주로 묘목들이 서릿발과 함께 위쪽으로 치켜 올라 뿌리가 노출되어 말라 죽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6) 상열(frost crack): 겨울철 수간이 동결하는 과정에서 바깥쪽의 변재 부위가 안쪽에 단열되어 있는 심재 부위보다 더 심하게 수축하여 두 부위 간에 수축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장력 때문에 종축방향으로 수간이 갈라지는 현상.

(7) 동계건조(winter desiccation): 이른 봄 상록수가 과다한 증산작용으로 인해 말라 죽는 현상.

 

4. 인위적 간섭 현상 조사

생활권 수목은 농작물처럼 격리된 곳에서 자라지 않고 인간의 활동 범위 안에서 각종 간섭을 받고 자라면서 인위적 요인에 의한 피해를 받는다. 이러한 인위적 피해로는 답압, 도로포장, 기계와 장비, 심식, 복토, 절토, 대기오염, 농약과 비료(과비)에 의한 약해, 염해, 불 등이 있다. 

(1) 답압(soil compaction): 인간이나 장비에 의해 표토가 다져져서 견밀화 되는 토양 경화 현상

(2) 도로포장(road pavement): 수목의 뿌리가 도로포장으로 덮히게 되면 뿌리가 수분과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수목에 피해가 나타난다.

(3) 기계와 장비(machinery): 조경수는 인간 생활권에 식재되기 때문에 기계와 장비에 의해 물리적 상처를 자주 받게 된다.

(4) 심식(deep planting): 나무를 옮겨 심을 때 예전에 나무가 묻혀 있던 깊이보다 더 깊게 식재하여 나무의 뿌리가 호흡을 제대로 못해 수목에 피해가 나타난다.

(5) 복토(filled soil): 복토는 이미 식재된 수목 위에 높이 15cm 이상 흙을 덮어 수목의 뿌리 호흡을 방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6) 절토(soil cut): 뿌리가 뻗고 있는 토양의 일부를 걷어 내거나 수직방향으로 잘라내는 것을 뜻하며 복토나 심식에 의한 피해보다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7) 대기오염(air pollution): 대기 중에 있는 물질이 정상적인 농도 이상으로 존재할 때 일컫는 말로 대기오염물질에 따라 수목에 다양한 피해를 준다.

(8) 약해(chemical injury): 제초제, 살충제, 생장조절제, 과다한 비료 사용 등에 의해 일어나는 식물의 이상 현상

(9) 염해: 겨울철 빙판길에 식염이나 염화칼슘과 같은 해빙염으로 인한 수목의 피해

(10) 불(fire): 화산, 지진, 산불, 낙뢰로 발생하는 불로 인해 수목이 피해를 본다. 


수행 내용 / 입지환경 조사하기

1. 피해 수종이 식재된 곳의 지형, 방위, 표고, 경사, 위도를 조사 한다

1. 피해 수종의 식재된 지형을 기준표에 따라 확인하고 기록한다. 
2. 크리노메타(콤파스, 방위계, 나침반 등을 이용하여 경사를 측정하는 기계) 사용법을 숙지한 후, 피해 수종이 식재된 지역의 방위를 조사한다. 
3. 표고 측정기 사용법을 숙지한 후 수목이 식재된 지형의 표고를 측정한다. 
4. 수목이 식재된 곳의 평균 경사를 기준표에 따라 확인하고 기록한다. 
5. GPS 사용법을 숙지한 후 피해 수종이 식재된 지역의 위도 및 경도를 측정한다. 


2. 토양층위, 토성, 습도, 견밀성, 이화학성 및 양료함량을 조사 한다.

1. 피해받은 수목의 토양을 판 후 토양층위를 조사하여 기록한다.
2. 야외조사에서는 토성 조사는 손가락의 감촉에 의하여 토성을 판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토성을 기록한다. 
3. 견밀도측정기(Penetrometer) 사용법을 숙지한 후 측정한다. 
4. 건습도를 조사할 경우에는 환경, 계절 등을 종합하여 기준표에 의거하여 층위별로 조사한다.
5. 토양시료의 분석을 위하여 토양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시료의 채취를 실시한 후, 토양시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시료 전문분석기관에 분석을 의뢰하며 분석된 결과를 해석하고 원인을 진단한다. 


3. 기상조사 및 인위적 간섭현상을 조사 한다

1. 지난 겨울 추위의 정도와(예년에 비해 월등히 기온이 낮았는지?) 건조 상태 조사
2. 최근 한발과 강우 상태(과건과 과습) 조사
3. 최근 비정상적인 기상상태 조사-늦서리, 첫서리 시기, 태풍
4. 약제 살포나 수간주사 등을 실시하였는지를 조사한다. 
5. 가지치기, 시비, 토양 굴착 등의 작업을 시행하였는지를 조사한다. 
6. 주변에 건축공사, 하수도 공사 등을 시행하였는지를 조사한다. 
7. 수관 밑에 복토나 절토 여부를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