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생활권수목피해

생활권수목피해진단 1-1. 피해 기초조사

1. 수목의 종류 및 특징 

수목은 유관속 형성층에 의해서 2차 생장을 함으로써 직경이 굵어지는 종자식물인데, 수고, 잎의 모양, 낙엽여부, 용도 등에 의하여 분류된다. 수목의 키에 의한 분류는 4m 이상을 자라는 나무를 교목(tree), 4m 이하를 관목(shrub)이라고 한다. 잎에 의한 분류는 잎이 가늘고 길게 바늘처럼 생긴 나무는 침엽수(needle-leaved tree), 잎자루와 넓적한 잎몸(엽신)으로 나
누어진 잎을 가진 나무는 활엽수(broad-leaved tree)라고 한다. 은행나무의 잎은 잎자루와 넓적한 잎몸을 가졌지만 원시적인 형태를 가져서 수목분류학상 침엽수로 분류된다. 낙엽여부에 의한 분류는 겨울철에 잎이 탈락하면 낙엽수(deciduous tree), 잎이 지속적으로 붙어있으면 상록수(ever-green tree)라고 한다. 용도에 의한 분류는 크게 임업적 용도와 조경적 용도로 나누어지고, 임업적 용도로는 용재수, 유실수, 속성수, 장기수, 경제수 등으로 나누고, 조경적 용도로는 조경수, 관상수, 공원수, 녹음수, 정원수, 가로수, 화관목, 환경수 등으로 나누어진다. 

수목은 초본식물과 다른 특징들을 지니고 있는데, 몸체가 크고, 다년생이며, 개화와 결실 등의 생식생장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며, 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지니고 긴 세월을 살아간다. 수목의 구조는 수관, 수간, 근계로 되어 있으며, 수관(crown)은 잎과 가지로 구성되고, 수간(trunk)은 수관을 지탱하는 줄기를, 근계는 지하부의 뿌리를 의미한다. 


2 .수목의 측정

수목의 직경을 측정할 때에는 여러 가지 기계와 기구가 사용된다. 자(ruler), 윤척(caliper), 직경테이프(diameter tape), 빌티모어스티크(biltimore stick), 덴드로미터(dendrometer) 등이 있으며 제일 간단한 기구는 자(ruler)이다. 흉고직경(DBH, diameter at breast height)은 입목에서 가슴높이의 직경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1.2m 높이를 사용하고 있다. 입목(standing tree)의 재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입목의 높이(수고)를 측정해야 하는데 높은 입목은 기계의 힘을 빌어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높이를 측정하는 기계를 수고측정기(hypsometer)라 한다. 수고측정기에는 와이제 측고기(Weise hypsometer), 아소스 측고기(Aso's hypsometer), 아브네이레블(Abney hand level), 미국 임야청 측고기(US forest service 
hypsometer), 크리스튼 측고기(Christen hypsometer), 메리트 측고기(Merritt hypsometer), 카드보드 측고기(Cardboard hypsometer), 페스트만 측고기(Faustmann hypsometer) 등이 있으나 가장 편리하고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아브네이레블 측고기이다.


3. 수목의 생장

수목의 생장은 이미 유전적 형질에 의하여 나무의 모양과 생장량이 결정되어 있지만,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절한 환경에서는 잘 자라지만, 제한된 환경에서는 생장이 저해를 받는다. 생장(growth)이란 일반적으로 생물의 크기가 커지거나 무거워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세포분열(cell division), 세포신장(cell elongation), 세포분화(cell differentiation)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목의 생장에는 수목의 잎과 줄기가 자라서 키가 커지는 수고생장, 줄기에 있는 원통형의 형성층이 세포분열을 함으로써 직경이 굵어지는 직경생장, 뿌리의 직경과 길이가 자라는 뿌리생장, 꽃이나 열매가 형성되는 생식생장 등이 있고, 수목의 생장에는 태양광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주요 인자이다. 


4. 수목의 환경 

수목주위의 환경 중에서 토양환경은 나무에게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양분과 수분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양환경의 관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잘 이해해야 하는데, 물리적 성질로는 토성(soil texture)과 토양공극(pore space)이 있고, 화학적 성질로는 유기물 함량, 토양산도(pH), 양이온치환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 무기염류 등이 있다. 생물적 성질로는 토양내에 생존하는 미소동물, 미생물, 균근균 등이 주요한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수목은 광합성으로 포도당을 만들고 화합물의 합성 및 분해과정인 대사과정을 통하여 에너지를 얻는데, 대사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토양에서 뿌리를 통하여 흡수되는 무기양분이다. 이들 무기양료가 수목의 생장에 이용될 수 있는 유효성분이 되기 위해서는 토양환경이 적당해야 하는데 시비와 관수가 관련이 깊다. 


수행 내용 / 피해 기초조사하기

1. 피해 수종을 확인한다

1. 피해 수종의 특징을 부위별로 면밀히 관찰하고 일자, 장소, 상태 등을 기록한다. 
2. 수종의 특징에 기초하여 수목도감을 참조하여 수종을 확인한다. 
3. 수목 부위별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로 가져와서 식물표본압착기를 사용하여 건조표본을 제작한다.
4. 필요시 수목분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식물표본압착기와 감염식물 건조표본

 


2. 수목의 크기(수고, 흉고직경)를 측정한다.

1. 수고측정기의 사용방법을 숙지한다.
2. 측정위치는 측정목의 첨단과 밑이 잘 보이는 지점을 선정해야 한다. 밑이 잘 안보일 때에는 잘 보이는 데까지 측정한 후 그 점에서 지상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가산한다. 
3. 측정 위치가 가까우면 오차가 생기므로 수고를 목측하여 나무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4. 경사진 곳에서 측정시에는 오차가 생기므로 여러 방향에서 측정하여 평균해야 한다. 
5. 흉고직경의 측정은 지상 1.2m 높이의 직경을 측정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슴높이를 측정해도 큰 오차는 없다. 지면이 경사져 있을 때는 지면의 평균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1.2m 높이를 찾으면 된다.


3. 수목의 생장 상태를 확인한다

1. 피해 수목은 특정 부위를 체크하기 전에 주위의 수목이나 다른 식물들은 건전한지,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특별한 처리를 하였는지 등의 일반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수목에 대한 직접 진단은 피해목의 부위별로 정상적인 생장과 기능을 하지 못하는 부위의 상태를 관찰하고 비정상 형태 및 기능을 유발하는 원인이 생물적(biotic)인지, 비생물적(abiotic)인지를 확인한다. 수목의 부위 중에서 잎은 비정상적인 조건의 영향에 가장 민감하고 외부에 초기반응을 나타내므로 가장 먼저 체크하고 줄기 및 가지, 뿌리의 순서대로 진단한다. 필요시에는 이상증상을 나타내는 부위의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정밀진단을 실시한다.


4. 피해목의 식재위치와 주위환경을 조사한다.

1. 피해목에 나타나는 피해원인이 토양스트레스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토양시료의 분석을 위하여 토양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시료의 채취를 실시한다. 
2. 토양시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시료 전문분석기관에 분석을 의뢰한다. 
3. 토양시료 분석결과를 전달받아 결과를 해석하고 피해 원인을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