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해 증상에 의한 피해 원인 규명
피해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우선 해결해야 할 것은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의 구별 이다. 비전염성 병은 피해 장소에서 자라는 거의 모든 나무에 동일하게 균일한 병징으로 나타나며, 다른 수종에서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어떤 특수한 환경, 즉 낮은 곳 혹은 높 은 곳, 방위, 경사도, 바람의 방향, 인접 도로와 같은 특별한 위치에서만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불규칙한 기상 상태와 약품에 의한 피해는 병징이 하루 이틀 사이에 급속히 빠른 속도로 나타나기도 하며, 복토 피해는 수개월 후 혹은 수년 후에 서서히 나타나기도 한다. 전염성 병은 이와 반대로 동일 수종이나 동일 속에 속하는 수종에만 제한되어 나타나며, 동일 수종 내에서도 이병 개체와 건전 개체가 불규칙하게 섞여 나타난다. 그리고 이병 개 체 간, 혹은 동일 개체 내에서도 발병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하루 이틀 만에 급속히 진전 되는 경우는 드물다.
2. 수목병의 진단 과정
수목병을 진단할 때에는 대상이 되는 병을 다른 유사한 질병과 구별하여 그것이 전염성 병해인가를 결정하고 전염성 병해일 때에는 병원체의 종류를 정확히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수병의 진단은 수목 병해 방제의 기초 수단으로서 대단히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에 따라서 초기에 적절한 방제 대책을 강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목 병해 진단은 발생 상황 조사, 병질과 표징 검사, 현미경에 의한 병원균의 특징을 조사하여 병원균을 동정하고 병명을 짓는다.
1. 발생 상황 조사
수목 병해를 진단할 때에는 병에 걸린 나무뿐만 아니라 주변에 있는 다른 종류의 식물 도 포함하여 피해 발생 상황과 추이, 환경 조건 등을 함께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염성 병해와 비전염성 병해의 식별과 병명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전염성 병해는 피해 장소에 분포하는 거의 모든 수목에 동일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다른 수종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전염성 병해는 이와 반대로 동 일 수종에서도 병든 나무와 건전한 나무가 섞여 있으며 병든 나무 중에서도 발병 정도 에 차이가 많다. 전염성 병해의 대부분은 병의 발생과 확산 정도가 주변의 상태에 따 라 좌우되므로 환경 조건과 관리 상태를 조사하면 그 조건 하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해 의 종류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발병 상황 조사는 발생한 병해의 방제 방 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므로 나무 주변의 입지 조건(토양, 생육 장애 물 등), 기후 상태, 관리 상황 등을 상세하게 조사하여야 한다.
2. 병징 및 표징 조사
전염성 병이라고 판단될 경우 병징과 표징을 기초로 하여 병명을 규명하게 된다. 병징 과 표징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확대경으로 자세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작은 확대경(루페)을 통해 현장에서 10~20배까지 확대해서 보면 피해 조직의 모 양이나 포자퇴와 균사체를 관찰할 수 있다.
3. 현미경에 의한 병원균의 특징 조사
특유의 병징 또는 표징을 갖고 있는 병해는 간이 검색표를 활용하는 것만으로 병명을 결정할 수 있으나 보다 확실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병원체를 정 밀 조사(형태적 특징, 크기, 색 등)한 후 병원체의 종명을 결정해야 한다.
수행 내용 / 병해 진단 방법 이해하기
1. 수목에 발생되는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을 학습하고 각각 어떠한 병징들이 나타나는지 학습한다. 수목의 전염성 병원인 생물적 요인의 종류와 그 대표적인 병원균인 곰팡이에 대하여 알아본다.
2. 수목에 발생한 피해상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전염성 병해는 <3-1 간이 검색표>를 활용하여 간이 진단을 한다.
1. 고사된 조직이 있는지 눈의 상태나 가지의 생장 길이, 고사 상태 등을 간이 검색표를 활용하여 진단하여 본다.
2. 병징, 표징을 관찰하여 병원균에 의한 질병일 때 표본을 채집하여 관찰한다.
3. 병원균 관찰용 습식을 처리한다.
1. 병원균에 감염된 잎이나 수간, 알코올, 멸균수, 여과지, 배양 배지(여과지), 페트리디쉬, 칼, 핀셋, 알코올램프, 라이터
2. 크린벤치 문을 살짝 팔이 들어갈 정도로 연다.
3. 소형 분무기(물뿌리개)로 양손 및 팔을 소독한다.
4. 치상 - 여과지 1장을 핀셋으로 꺼내서 페트리디쉬 위에 올려놓고 멸균수를 여과지가 젖 을 정도로 붓는다(배지 완성).
5. 메스와 핀셋을 알코올램프 불에 소독한다(메스와 핀셋을 자주 알코올램프에 소독).
6. 병반을 자른다: 병반과 건전 부위가 함께 0.5cm정도 되도록 한다
7. 4개 정도 자른 병반을 소독액에 담갔다가 멸균수에 헹구어 놓는다. 소독액에 담그는 시간을 차이를 두고 실시(30, 60, 90, 120초)
8. 여과지 위에 차례로 놓고 물기를 제거한다.
9. 미리 만들어 놓은 배지 위에 시계 방향으로 치상한다.
10. 샬레에 뚜껑을 덮고 사인펜으로 십자 모양을 그어 순서를 적는다.
4. 프레파라트를 만든다.
1. 깨끗한 슬라이드 글라스를 거름종이 위에 놓고 그 가운데에 병원균을 떼어서 올려 놓는다.
2. 그 위에 멸균수를 한 방울 떨어뜨린 다음 커버 글라스를 덮는다. 3. 커버 글라스 밖으로 나온 물을 거름종이로 제거한다.
커버 글라스를 덮을 때 글라스의 한쪽 모서리를 먼 저 슬라이드 글라스에 댄 다음, 공기 방울이 생기 지 않도록 천천히 각도를 좁히면서 덮는다.
5. 현미경을 이용하여 병원균의 특징을 조사한 후, 병원균을 동정하고 병명을 짓는다. 현미경을 통해 병해 표본을 관찰하여 병원체의 형태 및 특징을 조사한다.
(1) 현미경 전원을 넣는다.
(2) 조동 나사로 재물대를 내리고, 배율이 가장 낮은 대물렌즈가 밑에 오도록 회전판을 돌 린다.
(3)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면서 광원을 조절하여 시야가 밝게 보이도록 한다.
(4) 관찰 재료가 재물대의 가운데에 오도록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위에 놓고 클립으로 고 정한다.
(5) 옆에서 보면서 대물렌즈가 프레파라트에 거의 닿을 정도로 조동 나사를 돌린다.
(6)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면서 조동 나사로 경통을 서서히 올리며 상을 찾는다.
(7) 미동 나사를 돌려 초점을 정확히 맞춘다.
(8) 프레파라트를 움직이면서 관찰 재료가 잘 보이는 부분을 찾아 관찰한다.
(9) 고배율로 관찰하려면 회전판을 돌린 후, 다음 배율의 대물렌즈로 바꾸고 미동 나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춘다.
(10) 연필을 사용하여 시야에 나타난 상을 그린다.
현미경은 가장 낮은 배율의 대물렌즈가 경통 아래에 오도록 하여 보관한다. 프레파라트의 커버 글라스와 슬라이드 글라스는 분리하여 보관한다.
6. 정확한 병의 종류를 분류하고 병명을 확인한다.
1. 병든 조직(병환부)을 습실 처리하면 병원균의 균사나 포자가 나온다.
2. 병환부에서 관찰된 병원균의 모습을 [그림 3-18]과 같이 비교한다.
세균병의 간이 진단법 : 줄기나 가지를 잘라 물이 담긴 삼각플라스크에 꽂 아 놓으면 우유빛의 세균 덩어리가 흘러나온다. 잎에 발생한 세균병은 병든 조직을 잘라 광학현미 경으로 세균 덩어리가 나오는지 관찰한다.
7. 정밀 진단을 한다.
1. 잎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으로서 잎은 확보하기 가장 쉽고 해충이나 질병의 표징이 가 장 먼저 보이는 곳이기 때문이다. 잎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한다.
(1) 수목 분류상의 속명과 수종명을 확인한다.
(2) 해당 수종이 정상적일 때의 잎 모양, 색, 크기 등을 확인한다.
(3) 잎을 상세히 관찰한다.
2.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처 방법을 알아본다.
(1) 비전염성 병의 예
(가) 잎 가장자리가 타는 현상: 뿌리 부패나 수분 결핍의 결과로 발생되는 증상이다. 이 현상은 보통 잎 가장자리를 따라 발생하며 심해지면 수목의 선단부에서 그 피해가 많이 나타난다.
(2) 전염성 병의 예
(가) 엽연의 마름: 잎의 상부 죽은 부분에 반점이 생기는데 그것은 살아있는 잎과 대비되 어 잘 보인다.
(나) 잎의 얼룩짐: 고사 부분이 살아 있는 조직으로 확산되어 가는 현상, 죽은 부분과 살 아 있는 부분의 경계가 불명확해진다.
(다) 엽상의 가루분: 잎 위에 나타나는 흰색, 회색, 검은색으로 보이는 곰팡이 가루의 흔 적이다.
(라) 잎의 부풀음: 잎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수포 같이 돋아 오른 현상이다.
'조경관리 > 병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해관리 5-2. 약제 살포 (0) | 2021.03.14 |
---|---|
병해관리 5-1. 병해 방제법 선정 (0) | 2021.03.14 |
병해관리 4-2. 생리적 피해 진단 방법 이해 (0) | 2021.03.14 |
병해관리 4-1. 생리적 피해 진단하기 (0) | 2021.03.14 |
병해관리 3-1. 조경수의 병해 조사 (0) | 2021.03.14 |
병해관리 2-1. 병해 예방 방법 학습 (0) | 2021.03.14 |
병해관리 1-2. 예방 계획 수립 (0) | 2021.03.14 |
병해관리 1-1. 연간 병해 방제 계획 수립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