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관리/병해관리

병해관리 4-2. 생리적 피해 진단 방법 이해

 

1. 생리적 피해 진단

수목은 갖가지 요인에 의하여 피해를 받을 수 있다. 병균과 기생 식물에 의한 병을 전염 성 병이라고 부르며, 해충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 의한 병은 생리적 피해로 인한 병에 속한다. 조경수는 열악한 도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산림에서 자라는 수목보다 여러 가지 재해에 노출되기 쉽다. 수목이 피해를 입고 있는 상태와 주위 환경을 참고로 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수목의 생리적 피해 진단 간이 검색표


2. 정보 수집

수목이 피해를 입은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정확한 처방을 내리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원 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피해가 발생한 상황을 먼저 조사해야 한다. 피해 상황, 변화 추이, 그리고 환경 조건을 면밀히 검토하여 최종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다. 병징, 이상 부위, 주변의 발병 상태, 생육 환경, 관리 역사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지식을 얻어야 한다. 그리고 피해 부위와 관련 조직을 수거하여 세밀하게 관찰하여 참고 자료로 삼는다. 또한 수목의 구조와 생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원인과 결과에 대한 해석, 지 상부와 지하부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다.


수행 내용 / 생리적 피해 진단 방법 이해하기

1. 수목에 발생한 생리적 피해상을 조사한다.

1. 수목의 병든 부분(잎, 가지, 뿌리 등)을 채취한다.

2. 측정 기기(샤이고메타, 검토장, pH 측정기, 산중식 경도계 등)를 활용하여 생육 환경을 조사한다.

측정 기기를 활용하여 수목의 생육 환경을 조사한다.


2. 항목별 피해 발생 상황을 조사하여 피해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피해 발생 상황 조사 항목>

1. 병징

(1) 정상적인 상황 기술 - 부위, 고사 조직 유무, 전반적 상황 기술

(2) 잎과 눈의 모양, 색깔, 크기 - 시듦, 괴사, 반점, 황화 현상, 비틀림, 낙엽, 구멍 등을 기술

(3) 수관 내 발병 부위 - 수관 전체 혹은 일부, 위쪽 혹은 아래쪽, 균일하게 혹은 불규칙하게 분포

(4) 발병 시기 - 피해가 갑자기 혹은 서서히 나타났는가, 발병 초기의 기상 조건 기술

(5) 이웃 나무의 발병 상황 - 같은 수종의 다른 나무에 발병 여부, 발병 개체수, 다른 수종의 피해 여부, 피해목이 모여 있는가, 특별한 위치(방위, 경사, 바람 방향)에만 나타 나는가(주변의 다른 수종들도 같은 증세를 보인다면 비전염성일 가능성이 큼)

(6) 곤충(응애 포함)이 잎을 가해한 흔적이 있는가, 곤충이 잎에 서식 중인가, 잎을 가해한 정도

2. 피해목

(1) 수종명, 수령, 크기(수고, 흉고 직경), 접목 여부

(2) 과거 3년간 가지의 생장량, 현재 잎의 크기

(3) 가지 - 변색 및 고사 여부, 금이 가 있는가, 부풀어 오른 곳의 유무, 동절기에 겨울눈 이 건강한 상태로 붙어 있는가, 곤충의 배설물 부착 여부

(4) 수간 - 수직으로 금이 가 있는가(방위 포함), 공동 여부(크기, 상태), 수피에서 수액이 흘러나오는가, 부풀어 오른 곳의 유무, 혹 유무, 버섯 발생 여부, 작은 구멍 여부(청공 충이 들어간 곳)와 구멍 주변의 배설물, 기계적 상처 여부(위치와 크기), 지제부 근처 수피의 건강 상태

(5) 뿌리 - 굵은 뿌리의 색깔과 부패 여부, 세근의 상태(마르거나 검은색으로 괴사 여부), 뿌리에서 맹아 발생 여부(왕성하게 발생했으면 뿌리가 건전하다는 증거임), 지제부 밑 의 뿌리 수피 안쪽 목질부의 색깔, 지제부가 삼각형으로 넓어져 있는가(평행으로 되어 있으면 복토의 가능성 있음.)

3. 관리 역사

(1) 식재 연도

(2) 지난 1주간 특별한 작업 실시 여부 - 약제 살포, 수간 주사 등

(3) 지난 1년간 특별한 작업 실시 여부 - 가지치기, 시비, 토양 굴착 여부

(4) 지난 3년간 특별한 작업 실시 여부 - 주변에서 건축 공사, 하수도 공사 여부

(5) 지난 5년간 특별한 작업 실시 여부 - 수관 밑에 복토(10cm 이상)나 절토 여부

4. 환경

(1) 식재 위치(도로변, 정원, 공원, 주차장 등)

(2) 식재 간격

(3) 대기 오염의 상태

(4) 주변에 하수도, 천연가스 배관 여부

(5) 통풍의 정도 - 주변이 장애물로 막혀 있는가.

5. 토양

(1) 토성, 답압의 정도, 투수성, 견밀도

(2) 표토의 포장, 멀칭 여부

(3) 배수 상태 - 큰 비가 온 후 즉시 배수되는가, 현재 물이 고여 있는가.

(4) 현재 흙이 말라 있는가, 혹은 젖어 있는가.

(5) 정상적 색깔인가, 냄새 여부(계란 썩는 냄새가 나면 습한 토양이거나 가스가 누출 중임)

(6) 복토나 절토 여부

6. 기상

(1) 지난 겨울 추위의 정도(예년보다 최저 기온이 낮았는지 여부)와 건조한 상태

(2) 최근 한발과 강우 상태(과건과 과습의 가능성)

(3) 최근 비정상적 기상 상태 - 늦서리와 첫서리가 온 시기, 태풍

조사 항목을 통해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을 구별 할 수 있다.


3. 간이 검색표를 통해 증상을 비교하고 발병 원인을 파악한다.

1. 피해 양상을 관찰하고 주요 증상과 연계하여 세부 원인을 찾는다.

2. 간이 검색표를 참조하여 생리적 피해의 원인을 진단한다.

생리적 피해 원인별 간이 검색표를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