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교육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출퇴근 재해예방 및 감염병 예방조치

 

8차시 출퇴근 재해예방 및 감염병 예방조치

❍ 출퇴근 재해란?
- 대중교통과 자가용, 도보, 자전거, 이륜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한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는 경우 및 공사, 시위, 집회 등으로 인한 도로사정에 따라 우회하는 경로,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 지배관리하의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를 포함 (재택근무는 출퇴근을 하지 않으므로 해당 안 됨)

❍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위 중 출퇴근재해
- 출근길 자녀를 유치원에 데려다준 후 급하게 버스를 타려고 뛰다가 넘어짐
-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던 중 편의점에 들러 생수를 구입하고 나오다가 편의점 손잡이에 손을 끼임
- 퇴근길에 당뇨 진료를 위해 주치의 병원에 방문하여 약처방받고 이동하다 교통사고 발생

❍ 출퇴근 중 통상적인 경로에서 발생하는 통상 30분 내외의 경미한 행위
- 신문 구입, 차량 주유, 테이크 아웃, 생리현상, 소나기를 잠시 피하는 행위 등

❍ 출퇴근재해의 도입 배경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10만 명당 10명으로 OECD회원국 가운데 6위, 하루 평균 통근시간은 58분으로 OECD회원국 가운데 가장 긴 것으로 알려짐, 출퇴근 재해자 수는 연간 산업 재해자 수인 9만여 명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출퇴근재해가 도입됨

❍ 출퇴근재해의 예방 방법
-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려고 급하게 이동하다가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
- 걸으면서 휴대폰을 보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므로 자제
- 버스 운행 중 손잡이 잡기

❍ 혈액매개 감염병
- 인간면역결핍증
- B형간염 및 C형 간염
- 매독 등

❍ 혈액원성 병원체
- 세균
- 진균
- 원생동물
- 바이러스(단백질+핵산) 및 프리온(단백질) 등

❍ 혈액노출 조사애 기록할 내용
- 노출자의 인적사항, 노출 현황, 노출 원인 제공자(환자)의 상태, 노출자의 처치내용, 노출자의 검사결과

❍ 채혈작업 종사 근로자의 안전조치 사항
-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로 주사 및 채혈을 할 수 있는 장소 제공
- 채취한 혈액을 검사 용기에 옮기는 경우에 주사침 사용 금지
- 사용한 주사침은 바늘을 구부리거나, 자르거나, 뚜껑을 다시 씌우는 등의 행위를 금지
- 사용한 주사침은 안전한 전용 수거용기에 모아 견고한 용기에 담아 폐기

❍ 혈액노출 후 추적관리
- 혈액노출 후 추적관리 시 사고조사 결과와 조치 내용을 즉시 해당 근로자에게 알려야 함
- 사고조사 결과와 조치 내용을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 외에 해당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 됨
- 사고조사 결과와 조치 내용을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 외에 다른 목적으로 이용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