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수목의 분류_관상적 특징
• 꽃이 아름다운 수목
- 수국, 댕강, 매화, 치자, 이팝, 목련, 백목련, 자목련, 산벚, 왕벚, 수양벚,
겹벚 산수유, 태산목, 철쭉, 진달래, 동백, 고광, 박태기, 배롱, 꽃산딸, 등나무,
병꽃나무 병아리꽃나무, 명자, 모란, 홍도, 백도, 개나리 등
열매가 아름다운 수목
- 붉은 열매: 낙상홍, 오미자, 해당화, 팥배나무, 동백나무, 산수유, 감나무, 대추나무 보리수, 석류, 화살나무, 찔레나무, 백량금 등
- 노랑색 열매: 살구나무, 매화나무, 복숭아, 탱자, 모과나무, 명자나무
- 검정 열매 : 쥐똥나무, 생강나무, 분꽃나무
- 연녹색 열매 : 때죽나무
- 보라색 열매: 좀작살나무
1. 생태적 특징에 의한 분류(수목의 생장)
영양생장
- 식물의 영양기관은 줄기, 소지, 잎 등
-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빛으로 탄소동화작용을 토양 중에서
- 식물성장에 필요한 유기물을 흡수하면서 성장
- 신초가 자라고 줄기, 가지가 비대해짐
생식생장
- 생식기관은 꽃과 열매로 꽃받침, 화관, 수술, 암술, 열매(과일, 종자) 등
- 영양생장이 끝나면 열매가 신장되고 양분이 축적되고 꽃눈이 형성됨
조직
- 표피조직, 통도조직, 엽육조직, 분열조직(생장점)
휴면기
⁃ 우리나라의 동절기인 12월~2월 사이 기간
생육온도
- 최적온도, 생활온도(2~6°C), 종자발아온도(저온 0~5C, 고온 30~40"C)
- 개화 시 고온 필요
광조건
- 양성식물은 비교적 강한 빛에서 잘 자라는 식물
- 음성식물은 약한 빛에도 생육하는 식물
수분
- 공중 습도와 강수가 있으며 온도가 높으면 증발이 많아 건조피해 발생
바람
- 좋은 점은 증산작용을 촉진하며 꽃가루의 수분 촉진
- 수림 내의 환경 개선
토양
- 토성에는 사토, 양토, 점토 등이 있으며 토성에 따른 생육이 적합한 수종 있음
- 토심은 식물의 뿌리가 깊게 자라는 식물과 얕게 자라는 식물로
- 심근성 수목과 천근성 수목으로 구분
2. 생태적 특징에 의한 분류(자생, 특산, 외래종)
자생수종(native plants)
- 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대로 생활하는 것 외래식물도 오래전부터 귀화된 귀화식물은 자생식물속에 포함시킬 수 있음
- 소나무, 잣나무, 주목, 돈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 산철쭉, 담쟁이덩굴 등
- 우리나라에 170과 897속 4,158종 정도 있음
특산수종
- 다른 나라에는 자생하지 않고 해당 국가의 특정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식물
- 구상나무, 설악눈주목, 제주조릿대, 매자나무, 히어리, 미선나무, 병꽃나무 등
- 우리나라에 61과 172속 407종이 있음
외래수종(exotic species)
- 외국에서 들여온 수종
- 자생종 등과의 서식공간, 번식력 등에서 서식지를 파괴할 우려 있음
- 가이즈까향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독일가문비, 스트로브잣나무
- 리기다소나무, 이태리포풀라, 플라타너스(버즘나무), 은단풍 등
3. 식물의 분류_명명
명명법 nomenclature)
- 보통명:
모든 민족 또는 종족들이 각각 그들 자신의 언어로 지어진 이름
ex) 산지(산단풍), 특징(팔손이, 생강나무), 용도(향나무), 전설(할미꽃, 동자꽃)
- 학명:
학술목적으로 식물분류학에 있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 속명, 종명, 명명자 순으로 구성(라틴어)
ex) 소나무- Anus densiflora S.et Z.-상록교목, 침엽, 높이 30m 이상
- 표찰(Label): 식물명, 학명, 특징 및 용도를 기록하여 식물에 부착하여볼 수 있도록 함
- 자생지를 나타내는 말
갯: 갯메꽃, 갯방풍, 갯댑싸리_'갯'은 바닷가에 자라는 걸 의미
금강: 금강초롱, 금강봄맞이 '금강은 금강산에서 발견되었거나 금강산 일대에 자라는 식물
산: 산구절초, 산부추, 산수국, 산오이풀_'산'은 높은 산에서 자라는 것
골: 골등골나물, 골사초 _'골'은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는 것
벌: 벌개미취, 벌노랑이 '벌은 확 트인 벌판에서 자라는 식물
물: 물매화, 물봉선,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물'은 습기가 많은 곳이나 물가에 자라는 것
돌: 돌단풍, 돌마타리, 돌나물 '돌'은 야생 혹은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것
바위: 바위솔, 바위구절초, 바위떡풀_'바위'는 바위에서 자라는 것
섬: 섬초롱꽃, 섬백리향, 섬쑥부쟁이, 섬기린초 '섬'은 육지와 단절된 섬에서만 자라는 것 대부분 울릉도 특산식물을 말하는 경우 많음
- 식물기관의 모양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말 가는:
가는잎구절초, 가는장구채_'가는' 잎이 가는 식물
가시: 가시여뀌, 가시엉겅퀴 '가시'는 가시가 있는 식물
갈퀴: 갈귀나물, 갈퀴덩굴_'갈퀴'는 갈퀴가 있는 식물
긴: 긴병꽃풀, 긴산꼬리풀, 긴오이풀 '긴'은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식물
선: 선주목, 선과이밥, 선과이눈 '선'은 줄기가 곧게 선 식물
우산: 우산나물, 우산잔대_'우산'은 잎이 우산같이 생긴 식물
털: 털동자꽃, 털중나리, 털머위_'털'은 털이 있는 식물
톱: 톱풀, 톱바위취 톱'은 톱 모양으로 거치가 있는 식물
- 식물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
각시: 각시붓꽃, 각시둥글레_'각시'는 각시처럼 작고 예쁘다는 것을 의미
곰: 곰취_'곰'은 덩치가 크거나 생긴 모양이 둔탁함을 의미
땅: 땅나리, 땅채송화_'땅'은 초형이나 키가 작은 식물 또는 꽃의 방향에서 유래
애기: 애기나리, 애기광이눈, 애기원추리_'애기'는 초형이나 키가 작은 식물
왜: 왜당귀, 왜제비꽃, 왜성남청 '왜'는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이 식물
좀: 좀핑의다리, 좀작살, 좀조팝 '좀'은 키가 작은 식물
병아리: 병아리풀, 병아리꽃나무_'병아리'는 초형이나 키가 작은 식물
큰: 큰까치수염, 큰꽃으아리, 큰복주머리란, 큰앵초_'큰'은 키가 큰 식물
왕: 제비꽃, 왕원추리, 왕벌꽃, 왕갈대 '왕'은 키가 큰 식물
참: 참꿩의다리, 참좁쌀풀, 참나리_'참'은 초형이나 키가 큰 식물
눈: 눈개승마, 눈개쑥부쟁이, 눈범꼬리, 눈주목 '눈'은 누워서 자라는 식물
- 진위를 나타내는 말
참: 참당귀, 참나리, 참좁쌀풀_ 참은 먹을 수 있거나 약으로 쓸 수 있다는 것 진짜라는 의미
취: 참취, 곰취 '취'는 나물로 먹을 수 있는 것
나도: 나도바람꽃, 나도양지꽃 '나도'는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것
너도: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_ 너도 는 나도와 같이 완전히 다른 분류균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것
개: 개쑥부쟁이, 개싸리, 개여뀌 개는 약이나 식용으로쓸 수 없다는 뜻 품질이 낮거나 보잘것없는
새: 새콩, 새삼, 새머루_'새'는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는 것
뱀: 뱀무, 뱀딸기 뱀은 뱀과관련이 있거나 기준을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것
- 색을 나타내는 말
금, 은: 금마타리, 금붓꽃, 금새우난초, 은난초, 은대난초
광대: 광대수엽, 광대싸리, 광대나물 '광대'는 광대의 복장과 같이 울글불긋한 식물
수목의 조건
- 관상가치가 있는 수목
꽃, 신엽, 단풍 등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미적 가치를 중심으로 각종 내환경성(공해, 소음방지 등), 방풍, 방진, 차폐 등
- 이식이 쉬운 나무
재배수목, 뿌리돌림을 한 수목이거나 단근작업을 한 수목, 세근이 발달한 수목
- 적응성이 높은 수목
기온, 수분, 기상환경, 병충해 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적응성
- 구입이 용이한 수목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많은 양을 구입할 수 있는 수목
- 생산이 가능한 수목
주택정원 선정조건
- 주택정원은 전정과 주정 및 측정으로 기능을 배분하여 세부공간별 기능에 맞게 설계하여 식물 선정.
- 주택전면은 관목이나 소교목류를 식재하여 건물의 하단부 거친면이 가리도록 함.
- 전면부가 수목으로 지나치게 가리지 않도록 건물의 크기와 수목의 크기를 대비하여 적정한 수종 선택.
- 식재지역이 음지인 경우에는 내음성이 강한 식물 선정.
옥상정원 선정조건
- 인공지반이므로 식물생육에 필요한 식재 깊이 확보 필요
- 건물이나 인공지반의 하중 고려
- 옥상조경의 설치유형에 따라 교목, 관목 선정
- 저관리 경량형인 경우 소관목, 지피식물 중심으로 식재
- 관리 중량형인 경우 교목, 관목, 지피식물을 다양하게 식재
(주)림인포테크 문영숙 대표님 수업
'뉴스 > 조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지니아 울프의 정원 (0) | 2023.08.07 |
---|---|
서울대공원 공원녹지관리 기간제노동자 채용 공고 (1) | 2023.01.15 |
서울특별시(서울대공원) 공무직 채용시험 공고 (0) | 2023.01.15 |
2023년 중부공원여가센터 기간제노동자 채용 공고 (0) | 2023.01.15 |
2023년 북부공원여가센터 기간제노동자 채용 공고 (0) | 2023.01.15 |
2023년 서부공원여가센터 기간제노동자 채용공고 (0) | 2023.01.15 |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2023년 기간제 노동자(조경, 건축·토목) 채용 공고 (0) | 2023.01.15 |
2022년 서울식물원 공무직(환경정비원) 채용시험 공고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