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79)
[인도] India in Motion 동영상 동영상 www.cinema-parak.com 인도 공화국(印度共和國, 힌디어: भारत गणराज्य 바라트 가나라자, 영어: Republic of India, 문화어: 인디아)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째로 넓으며, 인구는 중국에 이어 둘째로 많다. 북쪽으로는 중국, 네팔, 부탄,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 방글라데시, 벵골 만, 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 스리랑카와 맞닿아 있다. 역사 인도 문명의 기원은 기원전 2500년경의 인더스 문명에서 발원한다. 그러나 기원전 1500년~1200년경 아리아인들이 이란 고원을 넘어 인도로 침입하여 인더스 문명은 파괴되었다. 아리인들은 갠지스 강 유역에 정착하여 도시를 건설하기 시..
[이스라엘] 구약 절기 유월절 오순절 맥추절 초막절 무교절 장막절 [구약시대 절기에 관하여]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시고,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인간)과의 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규례와 제사법, 절기를 가르쳐 줍니다. 레위기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의식법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접근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줍니다. 즉 제사를 드리는 방법과 절차 및 제반의식을 가르쳐 주며, 또한 성결의 방법과 그에 따른 절기, 그리고 성막을 제조하는 요령과 봉헌하는 의식을 교본처럼 말해 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 인간과 하나님과의 영원한 관계를 유지시키는 방법을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이 중에서 절기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은혜를 입어 선민으로 택정함을 받은 뒤 체험한 각종 구원..
[이스라엘] 성경의 절기 부림절 PURIM 이른봄의 유대절기인 부림은 아다르 제 14일에 행해진다 (에스더 9:20~26). 윤년인 경우 윤달은 반드시 ‘아다르’ 월에 들었기 때문에 둘째 번에 맞는 윤 ‘아다르’달에 지낸다. 이 날은 특히 성경 중 에스더서를 읽으며 유대민족의 애국자인 에스더와 모르드개를 생각하고 조국애를 다짐하는 날이다. 어린이들에게는 에스더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목숨을 걸고 자기 민족을 구해낸 에스더의 애국 애족심을 가르친다. 그리고 이 날에는 만두 같은 크기로 사람 귀 모양의 떡을 만들어 ‘하만의 귀’라는 뜻의 ‘오젠 하만’을 만들어 즐겨 먹는다. 이 축제는 기원전 3백여년부터 시작해서 오늘까지 전승되어 온 것인데 모든 국민이 죽음에서 해방된 기쁨을 서로 나누며 지낸다. 특히 이 날에는 이웃, 친척, 친지들과 선물을 교환하..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 기념관 입구의 순교비 순교자기념공원비 올라가는길 좌우에 있는 순교기념비 기념관에 이르는 길의 양 옆에는 유족들이 세운 높이 50㎝의 자연석으로 된 '순교자기념비'들이 서있다. 여기에는 순교자들의 이름과 그 밑에 성구들이 적혀 있다. '주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나를 부끄러워 말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을 좇아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으라'(디모데후서 1:8). 이들 중에는 한국 최초의 세례교인으로 혹세무민(惑世誣民) 죄로 2년 간의 옥고 끝에 1893년 순교한 백홍준 장로, 천황 숭배를 거부하다 7년간 옥고를 치루고 1944년 순교한 주기철 목사, 6·25 당시 교회당을 비우라는 공산당에 맞서다 총살당한 박영근 목사 등, 조선조 말엽인 1884년 이 땅에 기독교 씨앗이 처음 뿌려진 이후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고 ..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총신대학교內 소래교회 1883,5,16. 최초로 세워진 초가 교회 모습 1884년의 소래교회 (출처- http://blog.daum.net/theword1472) 최초의 소래교회 (김학수 화백 그림, 100주년 기념관) 1895 두번째 세워진 8칸 기와지붕 교회 1895년 와가교회 1895 두번째 세워진 기와지붕 교회 1895년 와가교회,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 사진 두번째 예배당 모습 복원된 소래교회 뒷면 1988년 총신대 양지캠퍼스 구내에 복원된 두번째 소래교회 모습 전면 앞 마당 예배당 출입문 예배당 내부 강대상 편 강대상 예배당 출입문 쪽 최권능 목사 순교기념비 정원 기념비 소래교회 창시자 서상륜 기념비 이수정 기념비 기념비에 새겨진 사진은 1883년 이수정이 일본 기독교도 친목대회에 참석한 후 찍은 기념 사진이다. 아..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교회 3.1운동순국기념관 발안 제암리교회 3·1운동 당시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던 독립만세운동 때, 일본헌병은 제암리 마을 남자들을 교회당에 모이게 한 후, 교회당을 불 질러 21명을 학살하고, 마을사람들에게 총을 난사하여 살해하며 초가 32채를 불태워 마을 전체를 폐허로 만든 비인간적인 일제의 포악의 바람이 할퀴고 간 현장이다. ◈ ◈ ◈ 제 암 교 회 ◈◈ ◈ ▣ 참혹한 학살의 현장 -제암 교회 ▣ 제암교회 스물세 명의 순국 열사를 낳았던 제암교회 학살 사건. 제암리 사건은 수원 화성 일대의 시위가 폭동화하면서 격렬하게 진행되자 경기도 경무부에서는 헌병과 보병, 순사로 이루어진 검거반을 이 지역에 파견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1919년 3월 30일 발안 장날을 기해 수천 명이 참가한 대대적인 만세시위는 제암리의 기독교와 천도..
경기도 강화군 양사면 강화교산교회 김상임 전도사 공덕비 강화 교산교회, 존스 기념예배당과 옛 교회 (박물관 예정) 강화 지역에 예수의 복음이 전래되고 교회가 선 것은 대한 감리교의 모교회 격인 인천 내리교회에 의해서였다. 1885년 아펜젤러 목사가 인천에 상륙하자 인천 내리교회를 세워 놓았고, 1892년에 그의 후임으로 존스(G.H.Jones 조원시 趙元時 1988.5.9 서울도착) 목사가 부임해 왔다. 존스 목사는 내리교회에 부임하자 인접 도서인 강화지역 선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었고, 그 즉시 실천에 옮겨 강화 선교를 시작했으나, 강화 관.민의 냉대로 무위로 끝날 수밖에 없었다. 이와 때를 같이해 내리 교회 안에서는 전도의 방편으로 장조계를 조직한 바 있었으나 얼마 안 가서 계도 실패하고 교인도 잃고 말았다고 한다. 50명의 계원중 유독 이승환이라는 성도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3.1운동기념관 기념관 전경, 고성산 정상에서 안성 3.1운동 기념관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산 186-21번지의 기념관은 만세고개 정상에 위치 하며 광복사, 3.1운동 기념탑, 전시관, 무궁화 동산 등이 조성되어 있다. 3.1운동의 역사를 되새기고 안성지역의 순국 선열들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한 이 지역의 성역화 사업으로 기념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광복사는 3.1운동 당시 안성지역에서 순국하거나 고문을 당하신 분들의 넋을 위로 하고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사당으로 현재 이곳에는 순국선열 25위와 애국 지사 194위의 위폐가 봉안되어 있다. 3.1운동 기념탑은 태극의 4쾌를 통해 우리 민족의 영원성을 상징하며, 태극기는 국권을 회복하고 산화한 선열을 위한 휘장이며 탑 측면의 부조는 양민의 학살, 주재소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