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관리/충해관리

충해관리 2-1. 조경수 식재 공간 조사

 

1. 충해와 수목 생육 환경과의 관계

충해의 피해는 기상 상태나 수목의 활력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해충의 번식에 유 리한 기상 조건이 되거나 수목의 활력이 떨어지면, 해충 특히 응애와 진딧물이 급속히 번 진다. 봄과 가을에 가뭄이 지속되면 응애의 번식이 급속히 일어나서 심한 피해를 준다. 소나무 응애가 대표적인 예이며,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해 원인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진딧물도 봄 가뭄에 급속히 퍼져서 큰 피해를 주는데, 이때 자연 폐사율이 낮고 무성 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가뭄이 지속되면 흰불나방, 벼룩 바구미, 방패벌레의 피해가 심하다. 반면 비가 자주 오면 해충의 피해가 적어지는 대신 병의 발생이 증가한다.

조경수의 수세가 약해질 때, 특히 조경수를 이식할 때 가장 조심해야 할 해충이 천공성 해충이다. 소나무좀, 바구미, 향나무 하늘소는 수목이 쇠약해져서 송진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개체(송진을 분비하면 산란이 어렵고, 알이 부화하더라도 유충이 제대로 자라지 못 함)만을 골라서 산란한다.


수행 내용 / 조경수 식재 공간 조사하기

1. 해충의 발생과 수목의 생육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1. 수목 해충의 종류, 발생 정도와 지역 및 입지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2. 동일 지역 내 해충 밀도 변동의 연차적 변화를 알아본다.

주요 수종별 발생 충해의 발생 시기를 파악한다. 충해 도감을 활용한다.


2. 충해 방제 공간을 설정한다.

1. 충해 방제가 필요한 공간(공원, 가로, 학교, 녹지 등)을 설정한다.

(1) 설정 공간의 특징을 조사한다.

(가) 주택지: 수목과 가장 가까운 주택과의 거리, 주택에 의한 수관의 생장 방해 여 부, 답압이나 쓰레기 투기 등 주거 활동에 의한 스트레스 여부 등을 조사한다.

(나) 농경지: 가장 가까운 경작지(논, 밭, 하우스 등)와 수목과의 거리, 재배 작물의 종류(전년도, 전전년도 포함) 등을 조사한다.

(다) 공 단: 입주 공장의 업종(가스 배출 여부, 배출 가스의 종류 등), 지면 포장 종 류(콘크리트, 아스콘 등) 등을 조사한다.

(라) 도 로: 너비(차선 수), 통행량(차도 및 인도), 지면 포장 종류 등

(마) 공 원: 전반적 관리 생태, 식재 장소(잔디밭, 나지, 쉼터 등), 지면 포장상태(멀 칭, 잔디, 콘크리트 등), 유동 인구량 등을 조사한다.

(바) 학교 및 공공 기관: 전반적 관리 상태, 식재 위치(화단, 쉼터 등), 유동 인 구량 등을 조사한다.

2. 설정 공간 내 충해 방제 대상목을 조사한다.

(1) 설정 공간 내에 충해 방제가 필요한 수종을 확인한다.

(가) 발생 빈도가 높은 해충을 조사한다.

(나) 해당 발생 해충에 취약한 수목을 조사한다.

(2) 설정 공간 내에 충해 방제가 필요한 수종의 규격 및 수량을 확인한다.

(가) 충해별 취약목의 수량 및 규격을 조사한다.

수목 조사 리스트

충해가 잘 나타나는 수종을 위주로 조사한다.

- 녹병: 향나무, 소나무, 모과나무, 벚나무 등

- 마름병: 소나무, 메타세쿼이아, 밤나무 등

- 갈반병: 느티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등

- 탄저병: 사철나무 등

- 떡병: 회양목 등

- 빗자루병: 벚나무, 대추나무, 동백나무 등

수목 조사 리스트를 작성하여 활용한다. 해충 도감을 활용한다.


3. 충해 방제 공간을 설정하고 주요 수종을 파악한다.

1. 조경 도면을 통하여 대상지 내 조경수 현황을 확인한다.

2. 현장을 답사하여 조경 도면과 현장 내 조경수의 식재 위치 및 수종을 확인하여 수종별 주요 발생 충해를 정리한다.

주요 수종별 발생 충해의 발생 시기를 파악한다. 충해 도감을 활용한다.


4. 문헌 자료 및 현장 조사를 통해 해당 공간의 특성과 기후를 조사한다.

1. 기상 및 기온에 관한 문헌 자료를 조사한다.

2. 설계 도면 및 현장 답사를 통해 해당 공간의 지형, 주변 현황을 조사하고 충해를 입은 수목을 관찰한다.

기상청 및 천우표를 통해 기상 변화를 파악한다. 현황 도면을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