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훼재배/화훼병해충관리

화훼병해충예찰 2-1. 병해 예찰

병해 진단이란 무엇인가?

화훼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해를 효과적으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이 발생한 원인이 되는 병원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해한다. 즉, 화훼작물에 어떤 이상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정밀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병명을 결정하는 과정을 ‘진단’이라고 한다. 식물병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① 육안에 의한 진단, ② 해부학적 진단, ③ 이화학적 진단, ④ 혈청학적 진단, ⑤ 생물학적 진단, ⑥ 유전자에 의한 진단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1. 육안에 의한 진단
식물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병에 걸리게 되면 세포, 조직 혹은 기관에 이상을 일으켜 외부형태에 변화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를 병징이라 한다. 또한 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표면에 나타내는 것을 표징이라고 한다. 병든 식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육안으로 이와 같은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장미에 발생하는 뿌리혹병은 장미 조직의 일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혹덩어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국화가 흰녹병에 걸린 경우에도 잎 조직 표면에 흰색 내지 누런색의 병원균 덩어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정밀한 진단방법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쉽게 육안에 의해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된다.

2. 해부학적 진단
식물체의 병든 부위를 해부하여 병원체의 침입 및 감염에 의한 식물체의 조직변화를 관찰하고 다양한 반응을 통해 진단하는 방법이 해부학적 진단이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병든 식물체를 검경하고 병원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주로 곰팡이에 의한 병을 진단할때 사용한다.

3. 이화학적 진단
세균병을 진단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4. 혈청학적 진단
주로 항혈청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병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5. 생물학적 진단
화훼 바이러스 검정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뚜렷하고 빠르게 병징을 나타내도록 명아주, 담배, 천일홍 같은 지표식물을 이용한다. 특히 국화 바이러스 감염 등을 검정할 때 이용된다.

6. 유전자에 의한 진단
화훼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각각의 병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유전자의 차이 즉 DNA의 특이성에 따라 진단하는 방법이다. 최근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최첨단 진단법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이 있다.


수행 내용 / 화훼 병해 예찰하기

화훼 병해 관련 인터넷 기사를 2건 발췌하여 정독하며 종류별 특성을 찾아낸다.

1. 장미 노균병 관련 기사를 읽으며 발병특성을 알아낸다.
2. 국화 흰녹병 관련 기사를 읽으며 발병특성을 알아낸다.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에 대한 정보를 가장 교과서적으로 알려주고 있는 신문기사를 발췌하여 이를 통해 예방에 대한 기본정보를 숙지한다.

 

 

1.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에 대한 발생특징을 파악한다.
병에 걸리지 않도록 사전에 미리 방지하는 행위를 말한다.

2.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주요병 종류와 발생특징
화훼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의 종류는 표 2-1과 같으며, 각각의 병해에 대한 병징과 방제대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주요병 종류

 

1. 곰팡이에 의한 화훼병 예찰하기
(1) 잿빛곰팡이병
(가) 특징
주로 잎과 줄기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갈색의 작은 타원형 반점이 형성되고 차츰 엽맥을 따라서 장타원형의 병반이 생긴다. 병반 부위의 표피가 터져서 암갈색 가루 모양의 병원균 가루가 나오므로 주위의 잎이 온통 적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피해가 심하면 잎이 뒤틀리며 말라 죽는다. 가을부터 봄에 걸쳐서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를 많이 시용하면 병 발생이 심해진다.

(나) 방제
비닐하우스내의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환기를 철저히 하고 밀식재배나 과비로 잎이 지나치게 무성하지 않도록 한다. 병든 잎은 빨리 제거하고 습도가 높지 않게 환기를 자주 해 준다. 시설 하우스 내에 통기를 조절하여 저온다습이 되지 않도록한다. 시비할 때 질소질 비료를 줄이며, 칼리질 비료를 함께 시용한다. 다른 작물에서 잿빛곰팡이병균에 대한 약제 내성균의 출현이 확인되고 있어 한 가지 동일한 약제의 계속적인 살포를 지양하고 여러 약제를 교대로 살포하여 내성균의 발생을 억제해야 한다.

 

(2) 흰가루병
(가) 특징
잎, 꽃봉오리, 꽃자루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에 드문드문 흰가루가 나타난다. 병반이 진전되면 흰가루를 뿌린 듯이 잎 전체가 하얗게 되며, 병든 잎은 비틀어지고 마른다. 시설재배에서는 여름 고온기를 제외하고 거의 연중 발생하나, 여름철에도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발병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나) 방제
식물체가 습해지지 않도록 하며 특히 야간의 다습을 피하고 낮에도 환기팬을 이용하여 다습한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등 시설환경 관리가 필요하다. 방제약제로는 장미흰가루병에 등록된 파아람, 푸르겐, 트리후민, 샤프롤, 오티바, 해비치, 훼나리 등이 있으며 동일한 약제의 연속 살포를 피하고 교대로 살포한다.

 

(3) 탄저병
(가) 특징
잎, 줄기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담갈색의 원형반점이 형성되고, 이 병반은 점차 확대되어 부정형, 원형모양의 갈색병반으로 된다. 오래된 병반 상에는 검은 소립이 형성된다. 줄기의 병반은 움푹 팬 반점으로 가장자리가 갈색 또는 황록색의 대형병반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줄기의 한쪽에 발생하므로 피해 받은 줄기는 감염부위부터 가늘어지고 잘록하게 되어 구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나) 방제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급증한다. 연작지, 습지 배수불량 토양에서, 햇빛이 잘 들지 않는 지역, 통풍이 불량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고 질소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였을 때 발병이 심하다. 탄저병 전용약제를 2-3회 살포하고, 환경이 고온다습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점무늬병
(가) 특징
잎, 줄기에 발생하며 하엽부터 시작된다. 잎에서 처음에는 불규칙한 작은 갈색의 반점을 형성하나 차츰 부정형의 커다란 병반으로 된다. 발병이 심해지면 병반부위 부터 황화되고 결국 잎은 고사한다. 줄기에는 방추형의 반점이 형성된다.

(나) 방제
이들은 온도가 비교적 높은 조건에서 쉽게 발생하며 재배말기나 작물의 생장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이들은 조기 발견이 용이하고 농약에 의한 방제가 비교적 쉽기 때문에 방제에 큰 어려움이 없다.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하고, 고온시 비료가 부족할 경우 많이 발생하므로 비배관리에 유의한다.

 

(5) 시들음병
(가) 특징
포기전체에 발생하며 특히 땅가부위의 지제부에 주로 발생한다. 병든 포기는 생육이 불량해지고 잎색이 초기에는 건전주에 비해 약간 자주색을 띄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잎, 잎자루, 지면부 뿌리가 말라 죽는다. 주로 토양 수분이 많은 연작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30℃ 전후이다.

(나) 방제
배수가 불량한 저습지에서의 재배는 피한다. 묘종 구입 시 건전주를 구입해야 하고, 자가 삽목 및 종자파종, 절화재배시 토양소독을 한다. 병원균은 상처부위로 침입하기 쉬우므로 정식전 묘종의 뿌리에 상처가 없도록 주의하고 정식후 수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이병된 포장은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6) 줄기썩음병
(가) 특징
하엽부터 하나씩 황화되며 잎이 시들어 버린다. 시든 잎을 떼어내면 다음 잎이 다시 황화되어 제대로 된 상품을 만들기 어렵다. 다습할 경우 벌브가 검게 썩는 증상을 볼 수 있으며, 하얀색 곰팡이가 형성되기도 한다. 주로 27~33℃에서 병원균 생육이 가장 왕성하여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병이 급진적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병해이다. 또한 분갈이 작업시 뿌리 및 줄기의 상처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생육기에 걸쳐 병이 발생하였다.

(나) 방제
줄기썩음병은 주로 고온조건에서 발생하므로 발병에 유리한 여름철 분갈이 작업시 뿌리와 벌브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며, 분갈이 작업후 반드시 적정 살균제를 1-2호 살포하여 예방한다.

 

(7) 역병
(가) 특징
땅과 맞닿는 줄기가 검게 변하며 지상부가 급격히 시들어버리는 증상을 나타낸다. 병원균은 사상균의 일종으로 운동성이 있어 물을 따라 이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주로 토양 및 물을 따라 전염을 하고 역병에 걸린 식물의 줄기와 뿌리에 형성된 병원균은 토양 속에서 월동한다. 식물체 전체에 발생하지만 직접 피해를 받는 부분은 땅가부분의 줄기이며 처음에는 담갈색으로 변색하여 물러 썩게 된다. 줄기 지제부가 검게 썩고 병징이 진전되면 생육이 불량하게 되고 식물체 전체가 시들며 급격히 말라죽는다. 때로는 식물체 위로 물을 주는 경우 줄기가 아닌 지상부 잎과 줄기에서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나) 방제
역병은 발생 후에는 방제가 매우 어려우므로 장마철과 환절기 등 저온 다습한 시기에는 1-2일전 농약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살균제는 화분이 충분히 젖도록 관주처리하고 화분을 건조하게 관리한다. 또한 역병이 발생한 환경에서 저면관수를 실시할 경우 병원균의 이동을 도와 병의 확산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병든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배드 및 화분 등을 소독하는 것도 중요하다.

 

2. 세균에 의한 화훼병 진단하기
(1) 무름병
(가) 특징
여름철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새잎의 기부와 벌브 부위가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급변하면서 잎의 기부에서부터 위쪽으로 급격히 갈색으로 번져가고 잎을 위로 살짝 잡아당기면 힘없이 쑥 빠지게 된다.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는 급격히 물러 썩으며 악취를 발한다. 병원균은 세균의 일종이며 병든 잎에서 빗물이나 관수 시에 물이 튀면서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된다.

(나) 방제
병든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가능한 물을 적게 주도록 관리한다. 병 발생이 심할때는 살수처리시 수압을 약하게 한다. 방제약제로는 원예작물에 사용하는 마이신계통의 약제를 2-3회 정기적으로 살포한다.

 

(2) 세균점무늬병, 세균잎썩음병
(가) 특징
잎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원형, 부정형의 작은 수침상 반점이 형성되고, 병반이 잎 전면에 형성되어 잎이 변색된다. 습기가 많은 환경조건에서 주로 잎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하며 심한 경우 잎과 줄기 썩음을 동반하기도 한다.

(나) 방제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발병하기 쉬우므로 환기에 주의해야 하며 발병초기부터 병든잎은 제거하고 마이신제를 1-2회 살포한다.

 

3. 바이러스에 의한 화훼병 예찰하기
(1) 특징
바이러스 감염 시 엽맥사이에 불연속적인 황화증상의 줄무늬 혹은 반점을 형성한다. 병징이 진전되면 조직이 움푹 들어가면서 흑갈색 혹은 흑색의 조직괴사를 일으키는 줄무늬 병반을 보인다. 호접란의 잎은 흑색 괴사반점을 나타내거나 엽맥을 따라 조직이 괴사되며, 심한 경우 꽃잎의 괴사 및 조기 낙화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온실내에 있는 바이러스에 걸린 식물체에서 작업시 손 혹은 농기구를 통해 전염되기도 한다. 이병주의 뿌리가 상처를 받았을 경우 관수시 화분 밑으로 배출되는 물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도 전염원이 될 수 있다.

(2) 방제
바이러스 감염된 식물체는 제거하거나 건전한 식물체와 분리하여 관리해야 한다. 또한 무병묘를 사용하고 삽목 작업시 손과 작업도구를 세척하여 가능한 접촉전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모주는 격리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정기적으로 해충 방제약제를 살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