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두암교회
두암교회
윤임례 집사를 비롯해 23명이 순교한 이곳은 일제시대에 복음이 전해졌다고 한다. 해방이 되면서 교인들은 교회에 가기 위해 멀리 걸어 다녀야 했던 두암 마을에 교회를 세우게 된다. 선교사의 지원을 받아 김용은 전도사가 윤임례 집사 가정을 중심으로 단촐한 기와집에서 성도들이 함께 모여 기도하며 교회를 시작하게 되었다.
교회가 창립된 지 얼마 안 되어 임동선 전도사를 초청해 부흥집회를 가졌는데 평양에서 공산주의를 접했던 임전도사는 공산주의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으며 이 날 집회도 비판적인 내용을 말하였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정읍에도 공산군이 들어왔고 두암 마을 주변은 공산군과 반공세력간의 총격전이 수시로 벌어졌다.
두암 마을 성도들은 예수를 믿는다는 이유로 공산군에게는 눈에 가시와 같은 존재로 치부되었고 특히 임동선 전도사를 초청해 부흥집회를 열었다는 이유로 김용은 전도사를 잡기위해 가족과 성도들을 위협하고 날마다 가택수색을 벌이면서 예배 중지령까지 내렸다.
그러나 성도들은 굴하지 않고 끌려가 고문을 당하면서까지 교회를 굳건히 지켰다.
마침내 몽둥이와 대창을 든 공산주의자들은 성도들과 그 가족들 심지어 아이들까지 개 패 듯 했고 아이들의 울부짖는 소리는 마을 밖까지 들렸다고 한다. 결국 윤집사와 아이들은 순교했고 김용은 전도사 동생 김용채 집사는 총에 맞아 고부로 옮겨 치료하던 중 순교하였으며 교회와 교인들의 집안에 짚을 넣고 불을 질러 태워 버렸다. 그 불태운 재 때문에 며칠 동안 동네 우물물을 먹을 수 없었다고 주민들은 증언하고 있다.
이 날 학살된 교인은 모두 23명으로 후에 공산군이 철수한 후 서명선 목사와 김용례 사모가 두암 마을을 방문해 시신을 수습하여 매장했다고 한다. 시신 수습과정에서 윤임례 집사는 무릎을 굽힌 채 머리 뒤쪽에 칼자국이 있었다고 한다. 죽음에 앞서 기도하다가 뒤에서 칼을 맞아 순교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순교의 피는 두암 교회의 귀중한 밑거름으로 작용했다.
윤임례 집사의 아들인 김용은 목사와 고 김용칠 목사 형제는 성결교회 총회장을 역임 하는 등 교단 발전에 헌신하였으며 서명선 목사를 비롯해 20여명이 넘는 목회자가 배출되었다. 하지만 교회는 쉽게 복구되지 못했다. 전쟁으로 교회가 불타고 성도들은 대부분 순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4년 두암 마을 출신인 김태곤 전도사가 주일학교를 열면서 두암 교회는 재건되었고 그 후 교회를 새로 견축하였고 가매장 했던 순교자들의 무덤을 교회 동산으로 이장하고 “순교자의 묘”로 합장하였다. 1994년에는 순교자 기념교회당이 순교자 묘지 옆에 세워졌고 순교자 기념탑도 아름답게 세워졌다.
전북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에 두암 성결교회가 있다. 두암교회는 선교사의 지원을 받아 아들 김은용의 전도로 예수를 믿게 된 윤임례 집사가 중심이 되어 일제시대에 시작된 교회이다. 당시에는 교회에 가기 위해서 시오리를 걸어야 했으나, 해방이 되면서 성도들은 두암 마을에 교회를 세웠다. 교회가 창립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평양 출신 임동선 전도사를 초청해 부흥집회도 가졌다. 평양에서 공산주의를 접했던 임 전도사는 공산주의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이 집회에서도 공산주의에 대하여 신앙적인 면에서 비판적인 강연을 한 바 있다. 1950년 6·25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정읍에도 공산군이 들어왔고, 두암교회 주변은 공산군과 반공세력 간의 총격전이 수시로 벌어졌다. 두암 마을 성도들은 예수를 믿는다는 이유로, 또 순순히 그들의 뜻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독교인들을 반동으로 몰아 날마다 가택수색을 하며 협박을 일삼고, 특히 공산주의자들은 임동선 전도사를 초청해 부흥집회를 열었다는 이유로 부흥집회를 연 김용은 전도사를 잡기 위해 가족과 성도들을 위협했다. 그리고 나중에는 예배 중지령까지 내렸다. 하지만 성도들은 탄압에도 굴하지 않았으며 끌려가 고문을 당하면서도 교회를 지켰다. 1950년 9월 하순부터 공산주의자들의 탄압은 더욱 거세졌다. 탄압 과정에서 김용은 전도사의 동생 김용채 집사는 총에 맞아 고부라는 마을로 옮겨 치료하던 중 우익인사들과 함께 희생당했다. 10월19일 공산세력은 윤임례 집사와 그 가족 등 두암 교회 성도를 몰살시킬 계획으로 몰려왔다. 몽둥이와 식칼을 든 이들은 성도들과 아이들을 개 패듯 했고, 아이들의 울부짖는 소리는 마을 밖까지 들릴 정도였다고 한다. 결국 윤집사와 아이들은 모두 순교했고, 공산 세력들은 방안에 짚을 집어넣고 교회와 성도들의 집 4채에 모두 불을 질렀다. 불태운 재 때문에 며칠 동안 우물물을 먹을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날 학살로 윤임례 집사와 둘째 아들 김용채 집사, 며느리 조선환 집사 등 일가족이 학살되었으며, 정읍농업고등학교 학생회장이던 김용술 씨와 그의 가족, 김용은 전도사의 친구 박호준 등 23명이 학살로 순교를 당했다. 서명선 목사와 김용례 사모는 공산군이 철수한 후 두암 마을을 방문해 시신을 수습하고 23명의 순교자를 매장했다고 한다. 시신의 수습과정에서 윤임례 집사는 무릎을 굽힌 채 머리 뒤쪽에 칼자국이 있었다고 한다. 순교의 피는 두암교회의 귀한 밑거름으로 작용했다. 윤임례 집사의 아들인 김용은 목사와 고 김용칠 목사 형제는 성결 교단 총회장을 역임하는 등 교단 발전에 헌신하였으며, 서명선 목사를 비롯해 20여명이 넘는 목회자가 배출된 것이다. 하지만 두암 교회는 쉽게 복구되지 못했다. 전쟁으로 교회가 불타고 성도들이 대부분 죽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4년 두암 마을 출신인 김태곤 전도사가 고향집에서 주일학교를 열면서 두암 교회는 재건됐다. 66년에는 교회를 새로 건축했을 뿐만 아니라 가매장했던 순교자들의 무덤을 교회 동산으로 이장하고 ‘순교자 묘’로 합장했다. 또한 순교를 전후로 매년 10월 중순 순교자 합동 추모예배를 드리고 있다. 1977년 교단 지방회에서는 순교정신을 기리기 위해 순교기념탑을 세웠으며, 김용은 목사를 비롯해 지방회 소속 교회의 협조로 순교기념 교회당과 교단 차원의 순교기념탑도 1994년에 세워졌다.
두암교회와 순교탑
두암교회와 순교탑
측면
정면
1994년 지방회 소속 교회의 협조로 순교기념 교회당과 교단 차원의 순교기념탑이 세워졌다.
순교기념탑 봉헌문
순교터
1977년 교단 지방회에서 순교정신을 기리기 위해 순교기념탑
순교탑 약력
순교탑 약력
1966년 가매장했던 순교자들의 무덤을 교회 동산으로 이장하고 ‘순교자 묘’로 합장했다.
23인 순교자의 묘
1950년 9월 하순부터 공산주의자들의 탄압은 더욱 거세졌다. 탄압 과정에서 김용은 전도사의 동생 김용채 집사는 총에 맞아 고부라는 마을로 옮겨 치료하던 중 우익인사들과 함께 희생당했다. 10월19일 공산세력은 윤임례 집사와 그 가족 등 두암 교회 성도를 몰살시킬 계획으로 몰려왔다. 몽둥이와 식칼을 든 이들은 성도들과 아이들을 개 패듯 했고, 아이들의 울부짖는 소리는 마을 밖까지 들릴 정도였다고 한다. 결국 윤집사와 아이들은 모두 순교했고, 공산 세력들은 방안에 짚을 집어넣고 교회와 성도들의 집 4채에 모두 불을 질렀다. 불태운 재 때문에 며칠 동안 우물물을 먹을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날 학살로 윤임례 집사와 둘째 아들 김용채 집사, 며느리 조선환 집사 등 일가족이 학살되었으며, 정읍농업고등학교 학생회장이던 김용술 씨와 그의 가족, 김용은 전도사의 친구 박호준 등 23명이 학살로 순교를 당했다. 서명선 목사와 김용례 사모는 공산군이 철수한 후 두암 마을을 방문해 시신을 수습하고 23명의 순교자를 매장했다고 한다. 시신의 수습과정에서 윤임례 집사는 무릎을 굽힌 채 머리 뒤쪽에 칼자국이 있었다고 한다.
순교자 묘
2층 예배실 내부
순교 성화, 윤임례 집사는 무릎을 굽힌 채 머리 뒤쪽에 칼자국이 있었다.
순교 성화, 몽둥이와 식칼을 든 이들은 성도들과 아이들을 개 패듯 했고, 아이들의 울부짖는 소리는 마을 밖까지 들렸다
순교자의 피로 부활한 두암교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6.25사변과 교회의 재수난(1950-1953), 1층 복도
해방을 맞아 민족의 자유는 얻었지만 연합군은 38선을 그어 남과 북이 갈라졌다. 남한은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대한민국이 수렵되자 미군이 전면 철수해버린 남한 땅에 소련의 사주를 받은 북한이 1950년 6월 25일 불시에 남침을 감행하여 일시에 서울을 빼앗기고, 계속 남하하여 부산에 임시수도를 설치, 경상남북도의 일부만이 남아 위기일발의 전황이었으나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맥아더 장군이 이끈 유엔군과 국군의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서울을 탈환하였다. 3년동안 계속된 이 전쟁으로 한국사회는 목불인견의 참상과 막 대한 피해를 입었고, 성결교회는 불타버린 교회가 27교회, 무너진 교회가 79교회였고, 순교 한 교직자가 20여 명, 행방불명된 교직자가 20여 명에 이르는 큰 손실을 입었다. 대부분의 지도자들이 부산으로 피난하였으나 서울에 남아 교회와 신학교를 지키고 있던 당시 총회장 박현명목사, 이 건 교장, 박형규 교단총무, 김유연 교수, 최석모 교수, 유세근 목 사 등 실로 교단의 중추인물들이 체포되어 북으로 납치당했고, 전남 도서지방의 전도 어머 니였던 문준경 전도사는 모래사장에서 학살당하였고, 전남 임자도의 진리교회 이판일 장로 의 일가족 13명을 포함한 성도 48명과 전북 정읍 두암리교회 김용은 목사의 일가 23명, 충남 논산 병촌교회 성도 66명이 집단학살, 순교를 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성결교회의 순교자들, 1층 복도
성결교회의 역대 창립자 및 총회장, 1층 복도
두암교회 설립자 윤임례 집사의 아들인 김용은 목사와 고 김용칠 목사 형제는 본 교단 총회장을 역임하는 등 교단 발전에 헌신하였으며, 서명선 목사를 비롯해 20여명이 넘는 목회자가 배출되었다
성결교단 순교지 안내 책자
두암교회를 비롯 철원교회, 병촌교회, 중동리교회, 진리교회, 하리교회, 강경교회 등 순교지가 수록되어있다.
책자 가운데 두암교회에 대한 소개 부분이다.
2007년 추수감사주일 교회 주보
'여행지정보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erica is obsessed with 'Jessica Song'! Here is the Parasite tour course that takes you to the shooting locations. (0) | 2020.02.13 |
---|---|
[제주도] 삼도2동 제주 선교 첫 열매 제주성내교회 (0) | 2015.06.24 |
[제주도] 조천읍 이기풍선교기념관 (0) | 2015.06.24 |
‘고무신행전’ 바닷길서 밀알을 찾다… 신안 증도로 떠나는 성지순례 (0) | 2011.01.21 |
전남 영암 군서면 구림교회 (0) | 2011.01.20 |
제주시 아라동 성안교회 (0) | 2010.04.13 |
전남 여수 손양원목사 유적지 순교기념관 (0) | 2010.04.13 |
전남 영광군 염산면 야월교회 (0) | 201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