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야생동물에의한수목피해

야생동물에의한수목피해 1-2. 서식환경 조사

1. 서식환경 조사 

산림 내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은 종별, 시기별로 다양한 서식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생동물의 분포와 서식지 이용 특성은 각 종별로 선호하는 자원 및 이를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야생동물의 서식환경 특성에 대한 파악과 서식지와 야생동물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생태를 파악하여 피해를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1. 임상의 특성 
우리나라의 산림은 임상에 따라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합림(혼효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임상별로 구성하는 수목의 종이 달라지며 또한 임령, 수고, 흉고직경분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1) 매목 조사 
각각의 수목의 특성을 개체별로 조사하는 것을 매목 조사라고 한다. 매목 조사는 기본적으로 수종을 식별하고 그 밖에 수목의 높이(수고), 상층 수관의 크기 등을 파악하여 야장에 기록한다. 

(2) 흉고직경분포 조사 
수목의 직경 측정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가슴 높이인 지상으로부터 1.2m 높이에서 실시하는데, 이를 흉고직경(DBH, diameter at breast height)라고 한다.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조사는 대상지 수목의 생장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지역과 정량적으로 비교하거나 수목과 야생동물 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2. 산림환경구조 조사 
산림환경구조는 숲의 수직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엽층(foliage layer)별로 피도량을 파악하여 산림의 수직적인 구조를 정량화한다. 산림환경구조 조사는 수목이 가장 무성해서 피도량이 최대에 이르는 여름에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수목잔존물 조사 
수목잔존물이란 숲 바닥에 존치되어 있는 직경 10cm 이상의 도목이나 고사목을 의미한다. 산림내의 많은 야생동물은 수목잔존물의 유무 및 이들의 부후 정도에 따라 서식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목잔존물의 직경 및 길이를 측정한 후 부피를 산출한다. 

4. 초본식생 조사 
일반적으로 초본식생의 조사를 위해서는 1m x 1m 혹은 2m x 2m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한다. 현장에서 식생조사구를 선정한 후 조사구 내에 출현한 종의 목록을 작성한다. 또 층별 높이와 피도율을 측정한다. 그 밖에 조사구 주변의 산불, 벌채, 매립 등 특기할 내용을 기록한다. 


2. 토양 조사

1. 토양의 깊이
토양의 깊이에 따라 부식낙엽층, 토양층인 A층, B층으로 나누어 깊이를 측정한다. 

2. 토양 수분
토양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을 조사한다. 토양을 손으로 움켜쥐었을 때 손바닥에 남는 물기의 정도와 지면을 판 후 수분이 고이는 정도를 측정한다. 

3. 화학적 특성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토양 pH를 측정하며 그 밖에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 등을 측정한다. 


수행 내용 / 서식환경 조사하기

1. 야생동물의 서식환경을 조사한다.

1. 조사 대상지의 특성을 파악한다. 

(1) 임형(산림형, forest type) 
(가) 활엽수림
(나) 침엽수림
(다) 혼합림(혼효림) :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

(2) 수령 및 수고 
(가) 수령의 측정 : 나이테, 흉고직경 등을 통한 나무의 나이 측정 
(나) 수고의 측정 : 측고기를 활용해서 나무의 높이를 측정

2.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를 파악한다. 
(1) 직경테이프를 이용
(2) 각 수목별 흉고직경의 측정 및 야장 기입 
(3) 경급별 수목의 개체수 파악

[그림 1-5] 낙엽송 조림지에서 벌채 정도에 따른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

 

3. 산림환경구조를 조사한다. 

(1) 가상의 원통 설정 
일정한 지점을 선정하고 그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64m의 가상의 원통을 설치한 후 가상의 원통 내부에 속한 엽층별 피도량을 수치화하여 조사한다. 이때 엽층은 지면~1m, 1~2m, 2~8m, 8~14m, 14m 이상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는 숲의 특성 및 조사 여건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그림 1-6] 산림환경구조 조사를 위한 가상의 원통 내 엽층의 구분

 

(2) 엽층별 피도량 조사 
각각의 엽층별 피도량은 수치화하는데, 수목의 피도량이 0%일 경우 0, 1~33%이면 1, 34~66%이면 2, 67~100%이면 3으로 구분하여 수치화한다. 

(3) 엽층별 평균 피도량 계산 
각 지점에서 엽층별 피도량에 대한 조사를 마친 후 각각의 엽층별 피도량 수치를 산술평균하여 그래프로 나타낸다. 

(4) 산림환경구조 그래프 작성

[그림 1-7] 낙엽송 조림지에서 벌채 강도에 따른 산림환경구조의 차이

 

4. 수목잔존물의 부피를 파악한다. 

(1) 고사목이나 도목의 길이 및 직경 측정 
(2) 전체 고사목과 도목의 부피 계산 

5. 초본식생의 특성을 조사한다. 

(1) 주요 우점종의 파악
(2) 식생 높이와 식피율 파악 
(3) 기타 특이사항 파악

산림측정학 관련 서적과 식물 및 수목도감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