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림의 비생물적 피해
1. 비생물적 피해 원인
(1) 기후적 원인
고온, 저온, 바람, 한발, 홍수, 서리, 폭설, 낙뢰, 화산폭발 등이 있다.
(2) 토양적 원인
배수 및 통기 불량, 영양결핍, 산도 등이 있다.
(3) 인위적 원인
대기오염물질, 복토, 심식, 절토, 약제, 불, 답압 등이 있다.
2. 비생물적 피해증상의 종류
(1) 수피 상처
(가) 피소(皮燒, sunscald)
일사 광선의 볕데기 현상으로 줄기의 남서쪽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그림 2-1) (나용준, 2012)
(나) 상렬(霜裂, frost crack)
저온피해로서 수피와 목질부가 종축 방향으로 길게 갈라지면서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
(다) 낙뢰(落雷, lightning)
급격한 방전현상이 나무에 가해져서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
(2) 대기오염 피해
(가) 아황산가스(SO2)
급성증상으로 잎의 윗면과 아랫면에 엽맥간 괴사가 발생한다. 만성증상으로 황화가 서서히 진행된다(구창덕 외, 2008) (<표 2-1>).
(나) 불화수소(HF)
잎에 선단부, 엽록부에 괴사반점이 형성되고 괴사부분과 건전 조직 간에 갈색 밴드가 존재한다.
(다) 오존(O3)
잎 윗면에 백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는 표백화, 적색화, 황화현상이 발생한다. 소나무에 잘 발생하며 잎에 괴사증상이 발생하고 조기낙엽이 된다([그림 2-2]).
(라) 질소산화물(NOx)
아황산가스의 피해증상과 유사하며 잎의 표면에 수침상 반점이 형성되기도 한다. 스모그 현상이나 산성비의 원인이 되어 산림에 피해를 준다.
(마) PAN(peroxyacetyl nitrate, C2H3NO3)
잎 뒷면에 광택을 나타내는 은회색이 미성숙 잎에 강하게 나타난다.
수행 내용 / 비생물적 피해증상 구분하기
1. 비생물적 피해를 진단한다.
1. 피해지 개황 조사: 비생물적 피해의 특징 유무 조사(나용준 외, 2012)
(1) 동시 발생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나무에서 피해가 동시에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2) 동일 병징
동일한 병징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3) 비선택적 피해
다른 수종의 나무에서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4) 발생의 특수성
고도, 풍향, 경사, 방위, 도로 등과 관련하여 특정 위치에서 피해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5) 급속성
기상 이변, 독성약품에 의한 피해는 1~2일내 급속히 발생하는데, 이를 조사한다.
(6) 국소성
방위, 풍향, 높이에 따라서 동일 나무 안에서도 발병 부위가 제한적일 수도 있는 데, 이를 조사한다.
2. 피해조사항목(나용준 외, 2012)
(1) 병징
(가) 비정상적인 상황
피해부위, 고사조직 유무, 전반적 상황을 기술한다.
(나) 잎, 눈, 줄기의 상태
시들음, 괴사, 반점, 황화, 낙엽, 구멍 등을 기술한다.
(다) 발병부위
수관 전체 또는 일부, 상부 또는 하부, 균일성 등을 확인한다.
(라) 발병시기
피해가 갑자기 또는 서서히 나타났는지, 발병 초기의 기상 특성을 조사한다.
(마) 주변 피해상황
동일 수종의 다른 나무에 피해가 발생했는지, 다른 수종의 피해여부, 피해목의 분포양상, 방향성을 확인한다.
(2) 피해목
(가) 기본정보
피해목의 수종, 수령, 크기(수고, 가슴높이직경), 접목 여부를 조사한다.
(나) 생장량
과거 3년간 가지의 생장량, 현재 잎의 크기를 조사한다.
(다) 가지
변색, 고사, 파손, 융기, 곤충의 배설물 유무를 조사한다.
(라) 수간
수직으로의 균열, 공동, 수액 분출, 융기, 버섯 발생, 해충의 천공 및 탈출 흔적 등을 조사한다.
(마) 뿌리
굵은 뿌리의 색상, 부패 여부, 세근의 상태를 조사한다.
(3) 관리 역사
(가) 식재년도
(나) 특별작업
최근 1, 2, 3, 5년간 특별작업(약제살포, 나무주사, 가지치기, 절토 등) 여부를 조사한다.
(4) 환경
(가) 식재위치
주변부 도로, 주차장 등과의 위치를 확인한다.
(나) 식재간격
(다) 통풍
주변이 장애물로 막혀 있는지를 조사한다.
(5) 토양
(가) 토양의 물리적 특성
토양의 토성, 견밀도를 조사한다.
(나) 배수 상태
큰 비가 온 후 즉시 배수되는지, 현재 물이 고여 있는지를 확인한다.
(6) 기상
(가) 지난 겨울의 기상
예년보다 지난 겨울이 월등히 최저기온이 낮았는지, 건조하였는지를 조사한다.
(나) 비정상적 상태
늦서리, 첫서리가 온 시기, 태풍의 유무를 조사한다.
2. 대기오염피해를 진단한다.
1. 피해 감정법(김영걸 등, 2012)
(1) 수종, 시기, 증상
피해가 발생한 수종, 증상 발견 시기, 특이한 증상을 확인한다.
(2) 기타 요인 유무
생물적 피해인 병해충 또는 기상적 피해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3) 피해 단위, 분포
피해가 단목 또는 집단에 발생했는지, 어디까지, 어느 방향으로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4) 생육단계, 수령
피해가 발생한 수종의 생육단계, 수령을 확인한다.
(5) 수종간 차이 및 주변식물
피해 수준이 수종 간에 차이가 있는지, 주변식물에도 동일한 피해가 발생했는지, 특히 지표식물에 증상이 나타났는지 확인한다.
(6) 오염원의 유무
발생 가능성이 의심되는 오염원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위치는 어디쯤인지, 구체적인 종류를 확인한다.
(7) 생육환경
피해가 발생한 수종이 위치한 생육환경, 즉 풍향, 강우, 지형, 토양, 인위적 영향, 주위의 토지 이용 상태 등을 확인한다.
(8) 성분분석
시료를 채취하여 잔존 오염원의 유무를 확인한다.
'산림보호 > 산림병해충예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병해충 4-2. 충해수준 구분 (0) | 2022.11.27 |
---|---|
산림병해충 4-1. 병해수준 구분 (0) | 2022.11.19 |
산림병해충 3-2. 해충 구분 (1) | 2022.11.13 |
산림병해충 3-1. 병 구분 (0) | 2022.11.12 |
산림병해충 2-1. 생물적 피해증상 구분 (0) | 2022.11.05 |
산림병해충 발생목 식별 1-3. 수종별 병해충 식별 (0) | 2022.10.22 |
산림병해충 발견목 식별 1-2. 수목특성 이해 (0) | 2022.10.08 |
산림병해충 발생목 식별 1-1. 수목 식별 (1)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