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징의 종류
병징(病徵, symptom)이란 생물적 또는 비생물적 원인에 인하여 식물체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의미한다([그림 3-1]). 식물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형태, 색상, 크기 등에서 건전 식물과 차이를 보인다. 병징을 육안, 확대경 또는 현미경 등을 통하여 진단하므로 병명과 발생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1. 시들음(wilt)
식물의 물관부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므로 물과 무기양분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잎이 붙어있는 상태로 식물체가 쳐지는 현상이다. 참나무 시들음병, 소나무재선충병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마름(blight)
보통 잎 전체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말라가는 현상이다.
3. 가지마름(twig blight, dieback)
가지가 끝부터 아래로 말라가는 현상이다.
4. 잎가마름(leaf blight)
잎의 가장자리부터 안쪽으로 말라가는 현상이다.
5. 색조변화(discoloration)
엽록소의 이상으로 황색 등 다른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6. 점무늬(spot)
잎에 작은 점이 찍힌 것처럼 나타나는 현상이다.
7. 구멍(shot hole)
잎의 점무늬 감염 부위와 건전 부위의 경계선에 이층이 형성되어 감염 부위가 탈락하는 현상이다.
8. 얼룩(mottle)
잎에 특별한 유형이 없이 병반이 확산되며 변색하는 현상이다.
9. 궤양(canker)
주로 줄기나 굵은 가지가 말라가고 썩어가는 현상이다.
10. 부후(rot)
심재, 뿌리 등 감염 부위가 부패되는 현상이다.
11. 황화(yellowing)
색조변화의 일종으로 잎이 누렇게 변하는 현상이다.
12. 위축(dwarf)
잎, 가지, 줄기가 건전 부위에 비하여 소형화되는 현상이다.
13. 로제팅(rosetting)
많은 수의 잎이 모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14. 빗자루(witch's broom)
많은 수의 가지가 모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15. 암종(gall)
감염 부위가 혹처럼 비대해지는 현상이다.
16. 오갈(dwarf)
잎이 오그라들며 작아지는 현상이다.
2. 표징의 종류
표징(標徵, sign)이란 병든 식물체 표면에 나타나는 병원체의 모습을 의미한다(그림 3-2). 곰팡이가 병원체일 경우에는 포자 또는 균사가 외부에 노출되어 육안, 확대경 또는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곰팡이보다 크기가 작은 세균, 바이러스 등이 병원체일 경우, 세균이 상처에서 집단적으로 분출되는 사례를 제외하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으므로 표징이라고 하지 않는다.
1. 균사체(mycelium)
균사가 모여 형성한 집단이다.
2. 균사매트(mycelialmat)
조직 내부에 매트 모양으로 형성된 균사층이다.
3. 뿌리꼴 균사다발(rhizomorph)
뿌리와 유사한 형태의 균사다발이다.
4. 자좌(stroma)
내부 또는 표면에 자실체를 형성하는 균사조직이다.
5. 균핵(sclerotia)
조밀하게 구성된 휴면상태의 균사체이다.
6. 흡기(haustorium)
기주 세포 내로 침입하여 양분을 흡입하도록 특수화된 균사이다.
7. 포자(spore)
곰팡이의 번식 수단으로 형성하는 생식세포이다.
8. 분생포자경(conidiophore)
무성번식을 하는 불완전균에서 관찰되는 포자와 포자를 지탱하는 구조이다.
9. 분생포자각(pycnidium)
무성번식을 하는 불완전균의 포자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플라스크 모양의 구조이다.
10. 자낭반(apothecium)
유성번식을 하는 자낭균의 포자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접시 모양의 구조이다.
11. 자낭(ascus)
유성번식을 하는 자낭균의 포자의 외부를 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구조이다.
12. 자낭각(perithecium)
유성번식을 하는 자낭균의 포자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플라스크 모양의 구조이다.
13. 자낭구(cleistothecium)
유성번식을 하는 자낭균의 포자를 형성하여 저장하는 구형 모양의 구조이다.
14. 담자기(basidium)
유성번식을 하는 담자균의 포자를 지탱하는 구조이다.
15. 버섯(mushroom)
대부분 담자균의 일종으로서 우산 모양의 갓 주름 속에 많은 포자를 가지는 구조이다. 수목 표면에도 형성되어 부후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행 내용 / 병 구분하기
1. 소나무재선충병을 확인한다.
1. 피해목 식별 요령
(1) 수지 분출 확인
(가) 줄기 천공
수피를 벗기고 펀치 또는 낫으로 직경 1cm 정도로 변재부를 노출시킨다(그림 3-3).
(나) 수지 분출 관찰
천공 후 1~2시간 후에 건전목에서는 수지가 외부로 분출된다. 그러나 피해목은 수지구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므로 수지가 분출되지 않거나 소량이 외부로 분출된다. 단, 겨울에는 건전목에서도 수지 분출이 거의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 외관 변화 확인
(가) 묵은 잎의 변화
1~2년이 경과한 묵은 잎이 먼저 아래로 쳐지고 시들며 갈색으로 변한다([그림 3-4]).
(나) 새잎의 변화
이후 당년에 발생한 잎도 아래로 쳐지고 시들며 갈색으로 변한다.
(다) 나무 전체의 변화
잎의 시들음, 변색이 심해지며 피해가 나무 전체에 확산되어 잎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나무가 고사한다. 수관의 일부 또는 가지 등에서 부분적으로 고사하는 경우도 있다.
2. 참나무시들음병을 확인한다.
1. 피해목 식별 요령
(1) 외관 변화 확인
(가) 톱밥 분출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이 참나무류의 수피를 뚫고 침입할 때 톱밥이 분출된다([그림 3-5]). 건전목에서는 톱밥 흔적이 없으나 감염목의 수피 및 기부에는 톱밥이 존재한다. 피해가 경미할 경우에는 톱밥이 적으나 심하게 피해를 받은 나무는 많은
양의 톱밥이 분출된다.
(나) 매개충 침입공
매개충이 수피를 뚫고 침입할 때 형성한 구멍(침입공)의 유무를 관찰한다(그림 3-6). 침입공은 직경이 1mm 정도이며 톱밥이 묻어 있다. 교미 전에는 톱밥이 침입공 주변에 흩어져 있으나 교미 후에는 색상이 밝고 응집된 형태로 존재한다.
(다) 잎의 변화
피해목의 잎은 가장 자리부터 마르고 갈변한다([그림 3-7]). 심하면 나무 전체로 확산되어 고사한다. 피해가 심한 나무에서는 알코올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3.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을 확인한다.
1. 피해목 식별 요령
(1) 외관 변화 확인
(가) 가지와 잎의 변화
피해가 경미한 경우에는 가지만 고사하지만 심하면 줄기까지 확산되어 나무가 죽게 된다([그림 3-8]). 잎도 재선충병의 병징과 유사하게 아래로 쳐지게 된다.
(나) 수피 하부 조직의 변화
가지나 줄기의 수피를 제거하면 건전 부위와 감염 부위의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2) 표징 확인
(가) 수피 하부의 자실체
건전 부위와 감염 부위의 경계면 수피 아래에 병원체의 자실체가 검은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그림 3-9]).
(나) 피목의 자실체
5월 이후에는 수피를 통하여 갈색의 돌기가 응집하여 피목으로 돌출된 병원체의 자실체가 형성된다.
4. 리지나뿌리썩음병을 확인한다.
1. 피해목 식별 요령
(1) 외관 변화 확인
(가) 피해지 특성 확인
임지 또는 해안가의 모닥불 자리 또는 산불이 발생한 장소에서 자주 발병한다([그림 3-10]). 따라서 피해지 주변의 취사 등 지중온도의 상승 관련 요인을 조사한다.
(나) 뿌리 감염 확인
토양 표면에 가까운 잔뿌리가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이후 피해가 심해지면서 굵은 뿌리까지 썩게 된다.
(2) 정밀 확인
(가) 뿌리 특성 확인
감염된 뿌리를 채취하여 송진이 분비되므로 형성된 모래 덩어리가 뿌리에 붙어 있는지 조사한다([그림 3-11]).
(나) 버섯 병원체 확인
병원체인 파상땅해파리버섯이 피해지의 토양 표면에 형성된다. 버섯은 초기에는 노란색이었다가 어두운 갈색, 검은색으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색상이 변화한다.
5. 전문기관에 의뢰한다.
1. 의뢰전 준비 사항
(1) 의뢰 내용 및 기관 결정
병원체 검출, 동정, 병원성 검정을 수행할 기관을 조사한다.
(2) 시료 송달
해당 시료를 신선한 상태에서 분석이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송달한다.
2. 결과 해석
(1) 동정된 병원체와 기존에 보고된 병원체를 비교하여 신종 병 발생 여부를 조사한다.
(2) 의뢰시료에 대한 결과를 기록하여 보관한다.
피해지가 취사 등 불을 사용한 상황과 관련이 있으므로 산불발생 등 관리 이력 등을 참고한다.
'산림보호 > 산림병해충예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병해충 5-1. 피해면적 산출 (0) | 2022.12.04 |
---|---|
산림병해충 4-2. 충해수준 구분 (0) | 2022.11.27 |
산림병해충 4-1. 병해수준 구분 (0) | 2022.11.19 |
산림병해충 3-2. 해충 구분 (1) | 2022.11.13 |
산림병해충 2-1. 생물적 피해증상 구분 (0) | 2022.11.05 |
산림병해충 2-1. 비생물적 피해증상 구분 (0) | 2022.10.29 |
산림병해충 발생목 식별 1-3. 수종별 병해충 식별 (0) | 2022.10.22 |
산림병해충 발견목 식별 1-2. 수목특성 이해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