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산림병해충예찰

산림병해충 4-2. 충해수준 구분

1. 해충조사의 종류

해충조사는 해충의 지리적 분포상황과 발생시기, 발생량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사목적에 따라 해충발생의 감시(surveillance)와 평가(evaluation)로 나눌 수 있으며 조사방법에 따라서는 항공조사와 현지조사로 나눌 수 있다. 해충발생의 감시는 새로운 해충의 조기발견과 피해분포, 확산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개황조사로서 비교적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순회조사를 하며 평가는 해충에 의한 피해의 정량적인 평가와 해충밀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로서 주로 고정조사지를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 해충조사방법 

해충조사방법은 크게 직접조사와 간접조사로 나눌 수 있다. 

1. 직접조사

(1) 전수조사
일정 면적 내에 서식하고 있는 해충수를 전부 조사하는 방법으로 해충군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시간과 노력, 비용이 많이 드는 극히 비능률적인 방법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2) 표본조사
특정 개체군의 일부분을 표본 추출하여 조사한 후 이들 자료를 통계분석 등을 이용하여 전체 개체군에 대한 정보를 유추하는 방법으로 해충의 공간분포 양식, 해충밀도와 피해와의 관계를 토대로 조사방법이 결정되며 확률이론에 따라 표본수를 달리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와는 달리 시간과 노력, 경비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대부분의 산림해충조사에 적용하고 있다.

발생상황조사는 일선 시․군, 관리소에서 담당하는 개황조사로서 관할 구역내의 해충별 발생면적과 발생밀도 등을 조사하여 방제계획수립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발생예찰조사는 임업연구원과 8개 도산림환경연구소에서 담당하는 정밀조사로서 주로 고정조사지를 중심으로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피해율 등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예찰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3) 축차표본조사
표본조사와 마찬가지로 해충의 공간분포양식, 해충에 의한 피해해석을 기초로 한 확률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나 통상적인 표본조사와는 달리 표본의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관측치의 합계가 미리 구분된 계급에 속하여 질 때까지 표본추출을 계속하는 방법으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신속하게 피해정도를 추정함으로써 방제여부의 결정 및 방제대상지의 선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솔나방, 오리나무잎벌레에 대한 방법이 개발되어져 있다. 

2. 간접조사

간접조사는 해충의 행동습성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다음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유아등
양성주광성을 지닌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발생증감 등을 조사하여 방제여부나 방제적기를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다. 산림해충에서는 나방류나 풍뎅이류 등에 이용 가능한 방법이며 백색등 또는 청광등이 같은 어떤 광원을 사용할 것인지는 해충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2) 포충기(동력흡충기)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해충을 빨아들이는 방법으로 잎에 서식하는 미소곤충의 조사에 유용하다.

(3) 포충망
포충망으로 해충을 잡아서 밀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조사자료의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잡관목 및 지피식생에 서식하는 곤충류와 천적의 조사에 이용될 수 있다.

(4) 트랩(trap)
곤충의 행동습성을 이용하는 트랩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가) 우화상
솔잎혹파리와 잣나무넓적잎벌과 같이 충태에 따라 토중과 수상 등으로 서식처를 달리하는 해충의 경우 토중에서 우화되는 성충의 발생시기와 발생량 조사에 유용하다.
(나) 먹이트랩(bait trap)
미끼를 이용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방법으로 소나무좀의 이목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다) 페로몬트랩(pheromone trap) 
해충은 종류별로 페로몬이라는 독특한 화학물질을 발산하여 상대방을 감지한다. 이러한 물질을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해충을 유인, 포획하는 방법으로 산림 해충에 있어서는 솔껍질깍지벌레의 성유인물질인matsuone이 인공합성되어 있다.
(라) 기타 트랩
표면에 끈끈한 물질을 발라서 해충을 포획하는 끈끈이트랩(sticky trap), 지피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나 거미 등을 조사하는 pitfall trap, 곤충이 좋아하는 방향물질을 이용한 유인제트랩 등이 있다.

(5) 살충제이용(chemical knockdown)
속효성 농약을 비교적 고농도로 희석, 살포하는 방법으로 수관부에 서식하는 곤충류와 천적류의 조사에 유용한 방법이다.

(6) 타락법(beating)
지면에 일정한 크기의 천이나 끈끈이판을 놓고 일정한 힘으로 식물체를 쳐서 떨어지는 곤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활동성이 비교적 약한 수관부 서식곤충의 조사에 유용하다.

(7) 기 타
토양 속에 서식하는 해충조사를 위해 체로 치는 방법, 가열해서 잡는 방법, 비중을 이용하여 소금물로 띄우는 방법 등이 있다.


수행 내용 / 충해 수준 구별하기

1. 산림수종별 구분 및 피해특성을 파악한다.

1. 식엽성 해충 : 분류군별로 산림해충밀도의 수준 구분
(가) 딱정벌레류(잎벌레)
(나) 나방류(솔나방, 미국흰불나방, 매미나방, 텐트나방)
(다) 벌류(잣나무넓적잎벌, 솔노랑잎벌, 솔잎벌)

2. 천공성 해충 : 분류군별로 산림해충밀도의 수준 구분
(가) 딱정벌레류
소나무좀, 밤바구미솔수염하늘소, 포플러하늘소
(나) 나방류
박쥐나방, 소나무순나방

3. 충영형성 해충 : 분류군별로 산림해충밀도의 수준 구분
(가) 벌류
밤나무혹벌
(나) 파리류
솔잎혹파리

4. 흡수성 해충 : 분류군별로 산림해충밀도의 수준 구분
(가) 노린재류
솔껍질깍지벌레, 소나무왕진딧물


2. 수목의 피해 상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을 예측한다.

1. 수목의 피해 정도와 부위를 파악한다. 
(1) 경미한 경우 
산림수목의 피해정도가 가벼운 경우 수목의 생장에 영향이 적거나 없는 경우는 수목의 성장이 지연되는 수준에서 피해를 말한다.
(2) 심각한 경우 
산림해충에 의한 피해 정도가 큰 경우는 수목의 잎/줄기가 해충의 공격에 의해 생장에 큰 영향을 주어 수목의 생장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여 성장을 제대로 못하게 하는 수준에서의 피해로 고사하기도 한다.

수목의 충해 수준 구분

 

수목의 충해 수준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