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산림병해충방제

산림병해충방제 2-1. 현장 조사 계획 수립

디지털 임상도 및 위성 사진 등 이미지 데이터의 활용

사업 대상지의 입지 여건 조사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위성사진과 산림청 산림공간정보시스템(FGIS)의 디지털 임상도를 활용하여 판단한다. 

1. 위성사진 검색
인터넷 포털 사이트 중 일부는 사업 대상지의 연도별 위성사진과 디지털 지적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수치 지형도 또는 수치 지적도와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디지털 임상도의 사용
산림청 분야별 산림 정보 중 산림공간정보시스템(FGIS)에서 전국 산림의 임상도를 GEOPDF 파일 및 이미지 파일로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입지 조건 조사에 활용하는 것이 사전 입지 조건 조사에 용이하다. 


수행 내용 / 현장 조사 계획 수립하기

1. 사업 대상지 입지 조건을 확인한다.

임상도, 위성사진 등 자료를 통해 판단된 입지 조건은 꼭 사전 현장을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설계에 임해야 오류가 적다. 


2. 방제 방법별 경계 구역을 설정한다.

1. 생물적 방제
유사한 임상 분포 또는 유사한 생태계 구성을 판단하여 경계 구역을 설정한다.

2. 화학적 방제

(1) 항공 약제 살포
능선, 계곡 등 지형을 기준으로 방제 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2) 지상 약제 살포 
작업자 이동 동선의 효율성, 살포된 약제의 확산 방향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능선부 등 자연 경계와 임도, 작업도 등 현장의 동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3) 나무 주사 
임상의 분포 상황, 이동 동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3. 임업적 방제
임상의 분포, 임분의 밀도 등 방제 구역의 생물적 특성을 먼저 고려하여 경계를 설정해야 한다. 

4. 물리적(기계적) 방제
작업 장비의 진입 피해목의 수집 용이성 등 작업의 효율성을 먼저 고려하여 경계를 설정한다. 


3. 작업 방법별 작업장을 구획한다.

작업 방법별 작업장의 구획은 병해충의 임상, 병해충의 발생 밀도, 예상 진행 상황, 효율적 방제를 위한 동선 확보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작업장의 구획 불변의 인위적, 자연적 경계를 기준으로 작업 방법별로 구분된 소반의 배치를 표시하고, 각 소반별 이동 동선을 계획하여 완성한다.

출처: 산림청(2018).『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지침』. [그림 2-1] 작업장 개발 계획 예시

 

방제 개요를 작성할 때, 방제 대상 산림 병해충의 생활사를 충분히 숙지하여 방제 우선 순위, 방제 시기, 방제 방법 결정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