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대상 병해충별 특징과 방제방법 기준을 이해해야 한다. 산림보호법, 산림병해충방제사업 설계·감리 및 사업시행 지침, 농약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등 병해충방제 사업과 관련된 법규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1. 산림병해충 방제 (예: 참나무시들음병 방제)
참나무시들음병의 특성과 방제에 대하여 이해한다.
(1) 참나무시들음병의 특성
참나무는 전세계적으로 8속 90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속 15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참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전체의 60%를 점유하고 있는 천연활엽수림의 27%를 차지하는 중요한 경제수종이다. 2004년 8월 하순, 경기도 성남시 일원에서 건장한 참나무류가 급속히 죽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지금까지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피해가 전혀 없었던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참나무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감안하여 확산방지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가) 참나무시들음병 병징
매개충이 5월 초부터 나타나 참나무로 들어가며, 피해를 받은 나무는 빠르면 7월 말경부터 빨갛게 시들면서 말라죽기 시작하여 8~9월에는 고사목을 쉽게 볼 수 있고, 고사목은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붙어있다. 고사목의 줄기와 굵은 가지에는
매개충이 침입한 천공이 많이 있고, 침입공 부위와 땅가에는 목재배설물이 많이 분비되어 있어 쉽게 판별이 가능하다. 고사목 주변에는 직경 1mm정도의 매개충 침입천공이 있는 참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어 어느 정도 놓은 밀도로 가해를 받아야 고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사목을 횡단으로 잘라보면 변재부는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를 따라 불규칙한 암갈색의 변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변색부는 병원균에 의하여 변색된 것으로 도관으로 수분이 이동되지 않아 고사된다.
1) 진단요령
- 한 여름 갑작스럽게 말라죽는다.
- 피해 받은 나무의 줄기나 굵은 가지에는 약 1mm 정도의 벌레구멍이 다수 있다.
- 벌레구멍에는 가루모양의 목재배설물이 나와 있고, 뿌리목에 배설물이 떡 처럼 쌓여있다.
- 피해부위를 잘라보면 변재부가 갈색으로 얼룩져 있다.
- 죽은 나무의 일정 구역 주변을 면밀히 조사하여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이 있는 참나무류(특히 신갈나무) 등의 생입목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나)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과 매개충
병원균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충은 광릉긴나무좀(latypus koryoensis)으로서 1930년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다. 병이 처음 발견된 2004년에 경기도 성남을 비롯하여 광주, 여주, 가평, 고양, 연천 등 강원도의 철원 및 화천, 전북 무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여 잠재곤충으로 있던 광릉긴나무좀이 폭발적으로 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
참나무를 죽이는 병원균은 곰팡이의 일종이며,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은 이 균을 몸속에 지니고 새로운 나무로 이동하여 균을 퍼트리고, 목재 조직 속에 배양된 곰팡이를 먹고 자란다. 나무 변재부가 암갈색으로 변하는 주요 원인이다.
2)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
긴나무좀의 등판에는 곰팡이를 넣는 특수한 주머니(균낭)를 가지고 있다. 수컷이 참나무의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서 배출하는 목재가루(fass)에는 집단을 유인하는 집합페로몬이 있어 암수를 유인한다. 주로 암컷이 터널 속으로 들어올
때 균낭 속에 있는 곰팡이를 퍼트려 나무속에 번식시켜두면 알에서 깨어난 어린벌레(유충)는 나무에 배양되어 있는 병원균 곰팡이를 먹고 자란다. 이렇게 하여 곰팡이는 새로운 곳으로 옮겨지고 먹이 제공으로 공생관계를 유지한다.
3) 광릉긴나무좀의 생활사
광릉긴나무좀의 성충은 암갈색이며 평균체장은 암컷이 4.4mm, 수컷이 4.2mm이다. 등판에는 균낭이 있으며, 이 곳에 병원균을 넣어 다닌다. 성충 우화시기는 5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로 상당히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6월 초순~중순이 우화최성기로 분석된다. 침입 초기부터 7월 하순까지는 수평갱도를 형성하고, 8월 초순부터 9월 하순까지는 수직갱도 및 용실을 형성하고, 수직갱도를 이용하여 다른 층의 수평갱도를 확장시켜 나간다. 성충은 6월 중순부터 갱도 끝에 산란한다. 최초 산란일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란수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산란 후 약 9일이 경과한 후 1령충이 출현하였으며, 점차 갱도내는 알과 여러 발육단계별 유충이 혼재한다. 유충은 5령기를 거치며 종령유충은 수평갱도와 수직으로 용실을 형성하며, 유충수보다 용실수가 적게 관찰되는데 이는 광릉긴나무좀 용화시에 용실을 공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행 내용 / 설계도서 숙지하기
1. 산림병해충 방제 (예: 참나무시들음병 방제)
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하여 숙지하고 수행한다.
(1) 피해목 제거
피해목 제거는 참나무 시들음병 피해목은 산림소유자가 관할 시·군·구에서 입목벌채허가를 받아 피해지역의 입목을 “선택베기”로 실시한다. 피해지 1개 벌채구역은 5ha 이하를 원칙으로 하되, 벌구 사이에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폭 20m 이상의 수림대를 존치시켜야 한다. 기주나무인 신갈나무는 벌채대상이며, 신갈나무 외 수종은 존치하여 친환경적 벌채로 유도하여야 하며, 벌채 산물은 전량 수집하여 반출하여야 한다. 벌채·집재·반출 시기는 11월~3월 이며 산물은 4월말까지 완전처리 하여야 한다.
(가) 대상지 선정
-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중 벌채산물의 수집·반출이 가능한 지역
- 대상지의 경계는 최소 피해지 외곽 20m~30m까지 설정
- 고사목을 중심으로 20m 이내의 나무에 많이 침임함
(나) 작업 시행
1) 벌채·훈증
- 피해지역의 고사목에 한하여 실시한다.
- 훈증처리 부위
매개충의 침입을 받은 피해부위의 줄기와 가지를 잘라 훈증
침입공이 최근 상단부로 이동하고 있어 세밀한 관찰이 필요함
- 실행방법
매개충이 침입한 나무의 줄기 및 가지를 1m 정도로 잘라 쌓은 후에 메탐 소듐 액제를 1m³당 1L를 골고루 살포하고 비닐로 완전히 밀봉하여 훈증
그루터기도 최대한 낮게 베고 적당량의 약제를 넣고 훈증
※봄철에는 약량을 기준량의 반량(0.5L) 사용, 부피가 1m³ 미만일 경우 재적을 환산하여 훈증약제를 적정량 사용
- 기타사항
두께 0.05mm 이상의 훈증용 비닐 사용, 훼손금지 경고문 부착
매개충이 침입하여 고사목이 발생하는 7월부터 이등해 4월 말까지 훈증완료
※당해연도 고사목은 매개충의 침입이 완료되고, 장마에 훈증 더미 유실방지를 고려하여 9월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임
2) 벌채·정리
- 중점관리지역 외 피해발생지의 고사목과 주변 피해목을 대상으로 한다.
- 실행방법
대상목을 벌채하여 1~2m 이내로 잘라 임내정리로 건조 및 부패촉진을 유도하고 수집 가능목은 활용
- 기타사항
노령화되고 병해충에 쇠약한 숲구조개선 차원의 작업 실행
(2) 롤트랩 방제
(가) 롤트랩 종류
- 일반제품: 노랑색, 갈색 0.05mm 이상의 비닐의 양면에 점착액을 바른 제품이다.
- 생분해용 제품: 일반제품과 동일하나 비닐의 재질이 옥수수에서 추출된 원료로 만든 것으로 설치 후 2개월부터 분해되기 시작하여 8개월이 경과하면 2/3 이상이 분해된다.
- 갈색의 한 면(안쪽면)만 점착성이 있는 제품
(나) 설치개소
방제성과를 높일 수 있는 개소에 설치한다. 장소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제품의 용도가 조금씩 다르므로 이를 참조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일반제품
- 중점관리지역으로 접근이 용이하며 경관유지를 위해 수거 필요한 지역에 설치한다.
2) 생분해형 제품
- 중점관리지역 외 지역으로 생활권과 떨어진 산간오지, 접근이 어려워 별도의 수거를 요하지 않는 지역에 설치한다.
3) 갈색 한면 점착성 제품
- 경관이 중요시 되는 지역(사찰, 고궁, 생활권, 주요 숲길 등
(다) 설치시기
1) 설치
- 일반제품은 매개충의 우화 최성기 이전인 6월 15일 전까지 설치한다
※갈색 한면 점착성 제품은 우화한 매개충의 포획력이 없으므로 4월 40일까지 설치한다.
2) 회수
- 매개충 우화가 끝난 10월경에 회수한다.(회수 필요성이 없는 지역은 존치한다)
- 설치 후 40~50일 후 회수한다.(접착력이 45일 정도 유지된다)
(라) 작업 전 준비물
롤트랩, 코팅장갑, 핸드타카, 칼, 전정가위 등
(마) 설치방법
- 끈끈이 롤트랩(양면에 접착력인 소재)를 매개충의 침입흔적이 있는 높이까지 감되 가장 효과적인 높이는 2.0m 이다.
(현지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
- 매개충이 가장 많이 침입하는 지제부는 끈끈이롤트랩을 잘라서 사용하던 지 아니면 별도의 0.05mm 이상의 비닐을 사용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처리하여야 한다.
- 끈끈이롤트랩은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가급적 하단에서 상단으로 돌려가며 감아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 고사목을 중심으로 20m 이내의 나무에 많이 침입하므로 끈끈이롤트랩의 설치는 고사목을 중심으로 20m 이내의 나무에 집중 설치해야한다.
'산림보호 > 산림병해충방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병해충방제 4-2. 약제 방제 실행 (0) | 2023.03.12 |
---|---|
산림병해충방제 4-1. 약제 방제의 이해 (0) | 2023.03.11 |
산림병해충방제 3-2. 피해목 처리 실행 (0) | 2023.03.05 |
산림병해충방제 3-1. 피해목 처리의 이해 (0) | 2023.02.26 |
산림병해충방제 2-2. 현장 조사 (0) | 2022.12.25 |
산림병해충방제 2-1. 현장 조사 계획 수립 (0) | 2022.12.25 |
산림병해충방제 1-2. 방제 개요 작성 (0) | 2022.12.18 |
산림병해충방제 1-1. 예찰 결과 해석 및 예측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