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인위적피해

인위적피해 1-1. 수목 식재

1. 복토 피해 진단

복토와 심식의 정의와 차이점 및 피해 기작에 대해 살펴본다.

1. 복토와 성토에 대한 기작

수목 주변에 흙을 덮는 행위를 복토 또는 성토라고 한다. 의미상 미약한 차이점은 있지만 수목에 피해를 주는 기작은 같다. 복토는 수목 뿌리의 기능(호흡, 흡수, 지지) 저하를 가져온다. 심식은 수목을 식재할 때 기존 분보다 깊이 심는 것을 말하며, 복토와 마찬가지로 수목의 뿌리 기능을 저하시킨다.

(1) 복토를 하는 가장 많은 원인은 인위적인 시행을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가) 택지 조성과 같은 대단위 토지를 조성할 때
(나) 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과 레벨이 맞아야 할 때
(다) 토양이 유실된 경우에 보완을 위해서
(라) 뿌리의 지지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잘못된 경험

(2) 심식은 식재를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가) 식재를 할 때 바람 등의 외부 피해에 대처하기 위해 실시하지만, 효과에 비해 뿌리 기능 약화로 인한 피해가 더 많음.

2. 피해 기작

복토, 심식은 뿌리의 기능 중 호흡 기능을 가장 많이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1) 피해 기작
(가) 수목의 뿌리는 지표면에서 30cm 이내에 80~90%의 세근이 생육한다. 그러나 복토나 심식을 하게 되면 세근이 깊이 묻히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뿌리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생육이 저조하거나 고사하게 된다.
(나) 세근의 생육이 저조하거나 고사하게 되면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도 저하되거나 상실하게 되므로, 수목 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쇠약 또는 고사가 진행된다.
(다) 세근만이 아니라 기존의 뿌리도 영향을 받아 지지 기능을 하는 다른 뿌리도 쇠약 또는 고사를 해 지지 기능이 저하된다.

3. 피해 진단

복토와 심식은 뿌리와 줄기가 만나는 부분(지제부)의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1) 복토된 수목 확인하기
(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수목의 지상부에서 지하부로 내려 갈수록 줄기의 두께는 두꺼워지는 것이 일반적인 나무의 모습이다. 따라서 특별한 몇 수종을 제외하고는 줄기의 두께가 지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지를 살펴보면 복토를 진단할 수 있다. 

[그림 1-1] 정상적인 나무 [그림 1-2] 복토된 나무

 

(나) 토층 확인하기
복토를 하거나 성토를 한 지역은 토양 조사에서 토성 또는 토색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리고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줄기의 부피 생장이 제한되어 함몰되거나 고사하는 피해가 나타난다.

[그림 1-3] 복토 토양 [그림 1-4] 복토 피해

 


2. 뿌리분 만들기

1. 뿌리분의 크기

(1)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되도록 뿌리를 본래 상태대로 옮겨 심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뿌리에 충분한 양의 흙을 붙여서 옮기도록 해야 한다. 뿌리분의 크기는 수목의 종류에 특성, 이식 전까지의 생육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동일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근원 지름의 4배를 기준으로 하며, 분의 깊이는 세근의 밀도가 현저히 감소된 부위로 분 너비의 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뿌리분이 크면 클수록 단근을 적게 하기 때문에 단근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운반할 때 뿌리분이 깨지면 활착률이 떨어지므로 크기를 적절히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뿌리분의 모양

뿌리분의 모양은 원형으로 하고 측면은 수직으로, 밑면은 둥글게 다듬도록 한다. 천근성 수종은 접시분, 일반적인 수종은 보통분, 심근성 수종은 조개분의 생김새가 되도록 만든다.


3. 수목의 식재 적기

수목은 어느 계절에 이식하는가에 따라 활착 가능성이 크게 좌우된다. 특히, 들이나 산에서 자라는 야생의 나무들과 달리 조경 공사에 사용되는 수목은 뿌리를 내려 자란 곳에서 옮겨져 다른 곳에 심어지는 것을 전제로 재배하기 때문에 이식은 필연적이다. 수목이 활착할 수 있는 이식 적기는 수종별, 성상별로 다르지만, 우리나라가 속한 온대 지방에서 수목의 이식 적기는 수목의 휴면기로 이른 봄과 늦은 가을이다.

1. 성상별 이식 적기

일반적으로 낙엽수는 수분 증산량이 가장 적은 휴면으로 접어드는 가을이나 이른 봄이 가장 좋으며, 이식 부적기인 7~8월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상록 침엽수는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과 9월 하순이 안전하다. 그러나 묘포장에서 이식하여 잔뿌리가 잘 발달한 나무와 분에 심어 재배한 나무는 한여름과 한겨울의 극한 기온만 피하면 이식할 수 있다.

2. 지역별 식재 적기

지역별 식재 적기는 다음의 기준을 표준으로 적용하며, 식재 적기라도 이상 기후(기온이 2℃ 미만 30℃ 이상, 평균 풍속 48㎞/h 초과 등)가 발생할 때는 식재 여부에 신중해야 한다.


4. 시비와 관수

1. 설계 도서에 따른 시비량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각각의 수목에 시비하여야 한다.

2. 비료가 뭉쳐지거나 표면 살포가 되지 않도록 묻기 흙과 잘 혼합하여 뿌리분에 고르게 채워 넣어야 한다.

3. 비료만 직접 수목의 뿌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물받이는 근원부를 중심으로 수관 폭의 1/3 정도 크기로 하고, 높이는 10∼15cm 정도 원형으로 만들며, 식재 후에는 물받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충분히 관수하여야 한다.

5. 다량의 강우로 말미암아 토양에 충분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을 때(습윤 상태)를 제외하고 식재 완료 후에 수목이 활착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관수를 하며, 특히 가뭄이 들거나 건조하여 수목 생육에 지장 및 하자 발생이 예상될 경우에는 추가 관수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6. 여름의 관수는 정오 전후의 직사 일광이 강한 시간대는 될 수 있는 대로 피하여 흐린 날을 제외하고는 일출 또는 일몰시에 실시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날에 관수하며, 혹한기는 피하도록 한다.

7. 가뭄이 들거나 건조하여 수목 생육에 지장 및 하자 발생이 예상될 경우에는 추가 관수 작업을 시행한다.


수행 내용 / 수목 식재하기

1. 현장 여건을 파악한다. 식재 구간의 부지 정지 계획고, 토양 상태를 확인하여 부적합한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관련 공종에서 먼저 조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식재 위치를 결정한다. 공사 착수 전에 설계 도서에 따라 정확한 식재 위치를 결정한다.

3. 식재지를 조성한다. 관목 식재 부위 토양은 생육에 해로운 불순물을 제거하고 지표면에서 20∼30cm를 부산물 비료와 고루 섞어서 식재지를 조성한다.

4. 식재 위치 표시 및 식재 구덩이를 판다.
1). 열식 또는 군식할 위치를 줄또는 소석회 등으로 표시한다.
2). 식재 간격이 넓은 때에는 하나씩 구덩이를 파서 식재하고, 식재 간격이 좁은 열식의 경우에는 도랑을, 넓은 군식을 할 경우에는 전면을 파 엎고 식재한다.

5. 수목을 심고 묻는다.
1). 줄을 맞추어 똑바로 열식할 때에는 기준실을 설치하고 여기에 맞춰 심는다.
2). 대면적의 군식은 중앙부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식재해 나간다.
3). 2중 이상으로 식재할 때에는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식재한다.
4). 맨뿌리로 식재할 경우, 뿌리가 많거나 긴 것은 적당히 솎아 주고 잘라 낸 후에 식재한다.
5). 뿌리 숱이 많은 경우에는 흙을 덮은 후에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근원 부위를 잡고 약간 틀어 올리는 듯하면서 토양이 뿌리 사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한다.
6). 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분 결속 재료 중 부식되지 않는 재료는 반드시 정치·정좌가 완료된 후 흙을 채우기 전에 제거하여야 하며, 이때 뿌리분의 흙이 부서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분뜨기

 

이식 후 차양막 설치

 

6. 적정량의 거름을 시비한다.
1). 설계 도서에 따른 시비량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각각의 수목에 시비하여야 한다.
2). 비료가 뭉쳐지거나 표면 살포가 되지 않도록 묻기 흙과 잘 혼합하여 뿌리분에 고르게 채워 넣어야 한다.
3). 비료가 직접 수목의 뿌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7. 관수한다. 군식 주변으로 물받이를 만들어 충분히 관수를 한 다음, 물이 완전히 스며들면 물받이를 없애고 뿌리와 흙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밟아 준다.

8. 복토 및 심식을 확인한다. 수목 줄기의 지상부와 지하부가 맞닿는 부분의 굵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여 복토 또는 심식 여부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