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반기 정기교육 의료기관 근로자 유해위험요소
1. 부서별 유해위험요소 1) 진료 관련 부서 유해 위험요소 가. 일반병동 가) 일반병동의 간호업무 ▶ 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진료와 간호 업무 등 수행 ▶ 혈압체크, 주사액주입, 붕대감기, 병간호 장비 정리 ▶ 주요 설비 : 주사기, 치료기, 환자 이송 설비 등 나) 일반병동의 유해 위험 인자 ▶ 생물학적 인자 : 결핵, 간염 등 병원균 ▶ 화학적 인자 : 항암제, 독성물질, 라텍스 알레르기 ▶ 물리적 인자 : 방사능동위원소, X-선, 전기 ▶ 안전 및 인간 공학 : 수하물 작업, 밀기 낙상 및 미끄러짐, 주사기 바늘 등 다) 일반병동의 유해 위험 요소와 예방대책 나. 수술실 가) 수술실의 업무 ▶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신체의 일부를 의료 기구로 째거나 도려내는 등 외과적인 처치 ▶ 수술 준비 나) 수술..
2024년 하반기 정기교육 보건업 재해발생 형태 및 예방요령
1. 보건업 재해 발생 특성 1) 보건업 업무 특성 가. 보건업종 특성 ▶ 전체 사업장의 97.6%가 50인 미만의 소규모 형태 사업장이며, 종사 근로자의 약 80%가 여성 ▶ 체계적인 안전보건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산재 예방 및 관리가 미흡함 나. 보건업종 위험의 특성 ▶ 주요 업무 - 치료, 급식, 요양 등 그 밖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 ▶ 주요 재해형태 - 넘어짐, 근골격계 질환, 무리한 동작, 부딪힘, 이상 온도접촉, 절단이나 잘림 등 폭력에 의한 재해 2) 재해 발생형태 및 재해유발 원인 가. 보건업 재해 발생 통계 ▶ 가장 많은 재해의 형태는 넘어짐으로 그다음은 업무상 질병, 불균형 및 무리한 동작, 부딪힘에 의한 재해의 순서대로 발생합니다. 나. 재해형태 및 유발 원인 가) ..
2024년 하반기 정기교육 보건업 안전과 건강관리
1. 보건업 근로자 건강위험요인 1) 건강위험요인 개요 가. 건강이란? ▶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의미함나. 보건업 종사자 유해요인 ▶ 주사침, 소음, 감염, 교대근무, 항암제 노출, 환자운반, 진동, 과로, 방사선 → 교대근무, 장시간 근무, 스트레스가 건강을 가장 많이 해치는 요인임2) 장시간 근무 ▶ 오랜 시간 근무는 근로자들의 목숨을 빼앗을 수도 있을 정도로 위험 → 과로사의 위험이 있음 ▶ 보건업은 특례업종에 속해있어 초과근무시간에 노출가. 원인 ▶ 과도한 업무량, 인력부족나. 발생 질환 ▶ 뇌출혈, 지주막하 출혈 등 뇌혈관계 질환 ▶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심장계 질환 ▶ 인간공학적 원인으로 인한 요통 등의 근골격계 질환 ▶ 간질환3) 직무스트레스 가. 원인 ▶ 직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