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관리

(110)
수목보호관리 1-2. 기상적 피해 진단과 방제 1. 저온 피해 1. 냉해 (1) 병징 생육 기간 동안에 빙점 이상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 피해로 주로 잎에 발생하며 엽록소 파괴로 인한 백화 현상이 발생한다. (2) 피해 기작 대사 장애(원형질 유동 악화, 호흡과 광합성 저해, 단백질 합성 감소, 세포 생화학적 상해)가 나타나며 남부 수종의 경우 가을철 개화 후 수정이 되지 않는다. 2. 동해 (1) 병징 주로 겨울철 빙점 이하의 온도에서 줄기부터 발생하며 침엽수의 경우 엽육 조직 붕괴, 세포질 응고 현상이 발견된다. (2) 피해 기작 식물 세포 내의 얼음 결정이 세포막을 파손시킨다. 3. 서리 피해 (1) 만상 늦은 봄에 오는 서리에 의한 피해로 주로 야간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때 새순, 잎, 꽃 이 단기간에 시든다. 주로 활엽수는 검은색으로 침엽..
수목보호관리 1-1. 수목의 피해 유형과 진단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특징 1. 피해의 특징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차이점 기상적 피해는 주로 천재지변, 기상 이변, 미기후 등에 영향을 받으며 공해에 의한 피 해는 주로 토양, 위치 등과 같은 주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2)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공통점 - 비전염성 병해와 같이 수종에 구분 없이 피해 장소에서 자라는 거의 모든 나무에서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 - 일부 피해는 수목의 수세와 수관의 방위, 위치, 수고에 따라서 피해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2. 피해가 나타나는 속도 (1) 급성 병징 과습, 불규칙한 기상 상태, 급성 대기 오염에 의한 피해는 병징이 빠른 속도로 나타난다. (2) 만성 병징 바닷물, 조풍, 염분 피해, 비료..
충해관리 5-1. 충해 식물 처리 1. 조경수 충해 피해 외과적 처리 수목의 충해 부위를 잘라내어 건전 부위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 충해가 심한 가지나 잎 또는 죽은 가지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1. 가지에 대한 처리 굵은 가지를 자를 때에 처음부터 절단된 부위에 톱을 넣어 자르면 가지의 무게 때문에 찢 어진다든지 수피가 함께 벗겨지기 쉽다. 따라서 절단된 부위로부터 약 30cm 정도 윗부분 을 자르고 그 후에 줄기에서 분지한 부분을 자른다. 절단면이 평활하지 않으면 빗물이 고 여서 부패되기 쉽고 유합 조직의 형성도 불량하다. 절단면에는 도포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 2. 줄기에 대한 처리 피해가 목질부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변재가 국부적으로 부패하여 있는 경우에는 건전 부 위를 포함하여 병환 부위를 예리한 칼로 도려내고 소독한 ..
충해관리 4-2. 충해 방제 1. 사용 약제 1. 살충제(insecticide) 살충제는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약으로서, 해충이 먹는 잎과 줄기에 뿌려서 소화 기관 내 에서 독성을 나타내는 소화 중독제(stomach poison, 예: 유기인제), 해충의 피부에 직접 접 촉하여 독 작용을 보이는 접촉 독제(contact poison), 약제가 식물체 내로 침투하여 전신으 로 옮아가서 흡즙성 해충에 독성을 나타내는 침투 이행성 살충제(systemic insecticide, 예: 포스팜), 해충의 천적이 되는 병균이나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생물 농약(biotic pesticide)이 있다. 그 밖의 유인제, 기피제, 붙임제는 조경수에서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2. 살비제(acaricide) 살비제는 곤충에 대해서는 살충력이 없고, 응애..
충해관리 4-1. 충해 유형에 따른 방제 방법 충해의 방제 수목 해충의 일반적 방제 개념은 주로 인간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해충의 활동과 밀도를 억제하는 것이나, 조경수의 해충 방제는 경제적 손실보다는 관상적 가치를 포함한 공익적 가치에 더욱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따라서 조경수에 대한 해충 방제는 경제적 가 해 수준 이하의 저밀도에서 실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단위 집단림보다 소집단 또는 개체목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수목 해충의 방제 방법으로는 기계적 방제, 화학적 방제, 생물적 방제, 임업적 방제가 있으나 조경수의 방제로는 효과가 가장 확실한 화학적 방제와 기계적 방제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수행 내용 / 충해 유형에 따른 방제 방법 1. 충해의 방제 방법을 숙지한다. 1. 기계적 방제 간단한 기계나 또는 손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충해관리 3-1. 조경수의 충해 조사 및 충해 진단 방법이해 1. 수목 해충의 종류 현재까지 알려진 수목 해충의 종수는 1,500여 종이 넘으며 종류로는 구기(입틀)의 형태와 가해 습성에 따라 크게 식엽성 해충, 천공성 해충, 흡즙성 해충, 뿌리 해충, 충영 형성 해 충, 종실 및 구과 해충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피해 증상에 의한 피해 원인 규명 조경수가 해충에 의해서 피해를 받고 있는지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충의 존재, 피해 증상, 가해 흔적을 찾아내는 것이다. 전염성 수목병의 경우 병징(symptom)만으로 병 의 원인을 찾아내기가 힘들며, 확실한 표징(sign)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서 해충은 대개 가해 흔적을 남기기 마련이며 잎, 가지, 줄기를 세밀하게 관찰하면 여러 가지 피해 증상과 흔적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발견할 ..
충해관리 2-2. 충해 예방 방법 학습 충해의 예방 방법 1. 법적 규제 수목병의 방제와 마찬가지로 식물 검역(quarantine)을 통하여 해충의 국내 반입을 사전에 봉쇄한다. 2. 저항성 수종 선택 특정 해충에 저항성이 있는 품종을 선택하여 식재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보다는 병충해가 적고 환경 내성이 큰 수종을 식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종 다양성 유지 조경 설계 시 가급적 다양한 수종을 선택하여 한 종류의 병균이나 해충이 가해할 수 있는 대상목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특히 조경 면적이 클 경우에는 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4. 환경 조절 조경수의 생육 환경을 개선하여 수목을 건강하게 기르면서 해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이다. (1) 적절한 시비, 배수, 관수를 통하여 수목의 활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나무좀이나 천공성 해충의 침입을 방..
충해관리 2-1. 조경수 식재 공간 조사 1. 충해와 수목 생육 환경과의 관계 충해의 피해는 기상 상태나 수목의 활력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해충의 번식에 유 리한 기상 조건이 되거나 수목의 활력이 떨어지면, 해충 특히 응애와 진딧물이 급속히 번 진다. 봄과 가을에 가뭄이 지속되면 응애의 번식이 급속히 일어나서 심한 피해를 준다. 소나무 응애가 대표적인 예이며,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해 원인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진딧물도 봄 가뭄에 급속히 퍼져서 큰 피해를 주는데, 이때 자연 폐사율이 낮고 무성 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가뭄이 지속되면 흰불나방, 벼룩 바구미, 방패벌레의 피해가 심하다. 반면 비가 자주 오면 해충의 피해가 적어지는 대신 병의 발생이 증가한다. 조경수의 수세가 약해질 때, 특히 조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