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보호관리 1-1. 수목의 피해 유형과 진단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특징 1. 피해의 특징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차이점 기상적 피해는 주로 천재지변, 기상 이변, 미기후 등에 영향을 받으며 공해에 의한 피 해는 주로 토양, 위치 등과 같은 주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2)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공통점 - 비전염성 병해와 같이 수종에 구분 없이 피해 장소에서 자라는 거의 모든 나무에서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 - 일부 피해는 수목의 수세와 수관의 방위, 위치, 수고에 따라서 피해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2. 피해가 나타나는 속도 (1) 급성 병징 과습, 불규칙한 기상 상태, 급성 대기 오염에 의한 피해는 병징이 빠른 속도로 나타난다. (2) 만성 병징 바닷물, 조풍, 염분 피해, 비료..
충해관리 3-1. 조경수의 충해 조사 및 충해 진단 방법이해
1. 수목 해충의 종류 현재까지 알려진 수목 해충의 종수는 1,500여 종이 넘으며 종류로는 구기(입틀)의 형태와 가해 습성에 따라 크게 식엽성 해충, 천공성 해충, 흡즙성 해충, 뿌리 해충, 충영 형성 해 충, 종실 및 구과 해충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피해 증상에 의한 피해 원인 규명 조경수가 해충에 의해서 피해를 받고 있는지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충의 존재, 피해 증상, 가해 흔적을 찾아내는 것이다. 전염성 수목병의 경우 병징(symptom)만으로 병 의 원인을 찾아내기가 힘들며, 확실한 표징(sign)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서 해충은 대개 가해 흔적을 남기기 마련이며 잎, 가지, 줄기를 세밀하게 관찰하면 여러 가지 피해 증상과 흔적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발견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