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80)
산림병해충 2-1. 생물적 피해증상 구분 1. 수목의 생물적 피해 1. 생물적 원인 (1) 병원체 수목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서 주로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적 병원이 있다.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가 대표적인 생물적 병원이다. 이외에도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잘 알려진 미소동물인 선충도 수목에 피해를 주고 있다. 수목의 수액을 흡즙하는 기생성 식물도 생물적 병원으로 분류한다. 이 중에서 진핵생물인 곰팡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목의 피해가 가장 많이 보고되어 있다(그림 2-3). (2) 해충 수목의 피해에는 병해 이외에도 곤충류에 의한 충해도 있다. 다리가 6개인 곤충강에 속하는 딱정벌레, 매미, 노린재, 나방, 흰개미, 벌 등이 주요 요인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다리가 8개인 거미강에 속하는 응애도 수목에 피해를 주고 있다. 2. 생물적..
산림병해충 2-1. 비생물적 피해증상 구분 1. 산림의 비생물적 피해 1. 비생물적 피해 원인 (1) 기후적 원인 고온, 저온, 바람, 한발, 홍수, 서리, 폭설, 낙뢰, 화산폭발 등이 있다. (2) 토양적 원인 배수 및 통기 불량, 영양결핍, 산도 등이 있다. (3) 인위적 원인 대기오염물질, 복토, 심식, 절토, 약제, 불, 답압 등이 있다. 2. 비생물적 피해증상의 종류 (1) 수피 상처 (가) 피소(皮燒, sunscald) 일사 광선의 볕데기 현상으로 줄기의 남서쪽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그림 2-1) (나용준, 2012) (나) 상렬(霜裂, frost crack) 저온피해로서 수피와 목질부가 종축 방향으로 길게 갈라지면서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 (다) 낙뢰(落雷, lightning) 급격한 방전현상이 나무에 가해져서 수피가 벗겨지는 경우 (..
산림병해충 발생목 식별 1-3. 수종별 병해충 식별 1. 소나무류의 주요 병해충 1. 병해 (1) 재선충병 소나무, 곰솔, 잣나무에 주로 발생하며 잎이 시들고 나무 전체가 고사한다. 이에 비하여 리기다소나무, 테다소나무에는 피해가 적다. 1988년에 일본에서 유입되었고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있다(그림 1-8). (2) 피목가지마름병 소나무, 잣나무에 주로 발생하고 잎과 가지가 고사한다. 따뜻한 가을이 지나고 겨울에 기온이 낮을 때 피해가 심하다(구창덕 외, 2008). 자낭반은 봄부터 여름까지 피목에서 암갈색으로 발생한다. (3) 리지나뿌리썩음병 뿌리가 썩어서 나무 전체가 수분을 잃어 마른다(구창덕 외, 2008). 병든 뿌리는 송진으로 뭉친 모래덩이와 함께 관찰된다. 임지 내에서 산불이 발생했거나 모닥불을 피운 곳에서 주로 발생한다. ..
산림병해충 발견목 식별 1-2. 수목특성 이해 1. 소나무의 생태적 특성 1. 빛에 대한 특성 소나무는 그늘에서는 살 수 없는 대표적인 양수(陽樹)이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종자를 많이 생산하며 성공적으로 살아간다(이경준, 2011). 2. 건조에 대한 특성 소나무는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대표적인 내건성 수종이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소나무는 내건성을 지니고 있다. (1) 잎 바늘형인 침엽을 가지고 있으므로 햇빛에 의한 온도 상승이 비교적 적다. 표면에는 두꺼운 큐티클층이 있고 표피 안쪽으로 내표피가 있어서 수분이탈을 최소화하고 있다([그림 1-7]). 기공은 표면보다 깊이 함몰되어 있고 내부는 왁스로 덮여 있다. 또 송진을 다량 함유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는다. (2) 뿌리 소나무의 뿌리는 ..
산림병해충 발생목 식별 1-1. 수목 식별 현행 산림병해충 예찰은 대부분의 경우 소나무류, 참나무류에 국한되고 기타 일부 수종에 해당되므로 관련 수종에 관한 필요 지식 및 수행 내용으로 구성함 1. 식물의 종류 1. 초본식물(herbaceous plant) 온대지방에서 겨울철에 지상부가 전부 죽는 식물을 초본식물이라고 한다(이경준, 2008). 초본식물은 생활형에 따라서 다시 1년생 식물, 2년생 식물, 다년생 식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추, 토마토는 보통 1년생 식물이지만 온실에서 재배하면 줄기가 굵어진다. 하지만 형성층(cambium)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초본식물로 분류한다. 2. 목본식물(woody plant) 목본식물은 겨울철에 지상부가 살아 있고 2차생장(secondary growth)을 하는 식물이다. 2차생장은 유관속형성층(vas..
화훼장식 3-3. 화훼장식 관리 화훼장식 유지 관리하기 1. 절화 소재 취급방법 절화는 뿌리가 절단된 상태로 장식에 이용되므로 수분을 흡수하는 면적이 급감하게 되고, 수분 불균형에 의해 시들어 죽게 된다. 또한 광합성 부족에 따른 절화내 탄수화물 부족, 높은 실내온도 혹은 조명에 의한 과도한 증산, 절단면에서 나오는 유액 등에 의한 도관 막힘, 노화와 함께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의 분비 등으로 적합하지 못한 환경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절화 소재의 취급요령을 준수하도록 한다. 2. 가공 소재 취급방법 가공소재는 건조 방법에 따라 식물이 가지고 있는 수분을 제거한 형태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부서지거나 꽃잎이 떨어질 수 있으며,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건조소재가 수분을 재흡수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공기법에 따라 코팅제 처리 등..
화훼장식 3-2. 화훼장식 제작 화훼장식의 종류 1. 꽃꽂이 (1) 한국식 꽃꽂이 한국식 꽃꽂이(floral arrangement)는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며, 일정한 격식의 치우치지 않는 여백을 살린 종합 공간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꽃꽂이의 기본형은 ‘삼(三)’의 구성으로 하늘(天), 땅(地), 인간(人) 이라는 3요소가 하나를 이루어 三이 되는 것이다. 주지를 꽂는 각도에 따라서, 와 같이 형태를 나누게 된다. 제1주지로 전체 크기를 정하게 되고, 제2주지로 부피와 넓이, 제3주지를 이용해 깊이와 변화를 주게 된다. 보조가지를 이용하여 완성을 하게 된다. (2) 서양식 꽃꽂이 서양식 꽃꽂이는 선이나 공간의 미보다는 색과 형태를 강조하여 화려하고 다양한 기하학적인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상품성, 장식성이 강하며, 직선 구성, 곡선 ..
화훼장식 3-1. 화훼장식 계획 1. 화훼장식의 정의와 기능 1. 화훼장식의 정의 화훼장식이란 화훼 식물을 주 소재로 인간의 창의력과 표현 능력을 활용하여 실내외 공간을 장식하고, 미적 효과가 큰 장식물을 계획, 구상, 제작하여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2. 화훼장식의 기능 화훼장식의 기능에는 심미적 기능, 환경적 기능, 교육적 기능, 건축적 기능, 정신적 기능, 감정 전달 기능 등이 있다. 화훼장식은 다양한 기능을 하며, 인간의 삶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 공간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 화훼장식은 배치하는 공간에 따라 실내장식과 실외장식으로, 이용되는 화훼식물의 특성에 따라, 공간 연출 장소와 목적에 따라 생활공간 장식과 이벤트 연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배치공간에 따른 공간디자인 (1) 실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