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80)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이해 1.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이해➢산업재해란? ▪노무를제공하는사람이업무에관계되는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등에의하거나작업또는그밖의업무로인하여사망또는부상하거나질병에걸리는것➢산업재해▪업무상의사유에따른근로자의부상, 질병, 장해또는사망➢산재보험의정의및의의▪산업현장에서발생한재해에대하여보상을해주는보험▪근로자의업무상재해와직업병으로인한소득상실을보전함▪요양서비스와재활서비스를충분히제공▪성공적인직업복귀를도모▪재해예방과그밖에근로자의복지증진을위한사업을시행하기위한사회보험제도➢산업보험적용범위▪근로자를사용하는모든사업장➢산재보험적용특례▪해외파견자산재보험▪현장실습생산재보험▪중소기업사업주산재보험▪특수형태근로종사자산재보험➢보험급여적용요건▪근로기준법상근로자, 산재보험적용사업장근로자▪업무상재해에해당▪부상또는질병으로4일이상요..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1. 산업안전보건법의이해➢사업주의무▪산업재해예방기준이행, 안전보건정보제공▪근로조건개선, 적절한작업환경조성▪근로자생명을지키고안전보건유지증진▪관리감독자에게업무수행권한부여, 예산등지원➢근로자의무▪산업재해예방기준준수▪관계인이실시하는산업재해예방에관한조치준수➢관리감독자업무▪사업장의생산과관련되는업무와그소속직원을직접지휘·감독하는직위에있는사람▪작업관련기계·기구, 설비안전·보건점검및이상유무확인▪작업복·보호구, 방호장치점검, 착용·사용에관한교육·지도▪산업재해에관한보고및이에대한응급조치▪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보건의의지도·조언에대한협조▪위험성평가업무(유해·위험요인의파악에대한참여, 개선조치의시행에대한참여) ➢안전보건교육▪정기교육▪채용시교육▪작업내용변경시교육▪특별교육➢법령의요지게시▪산업안전보..
산림병해충 5-2. 방제계획 수립 산림병해충 방제방법식물의 종류 산림병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해당 임분과 병해충의 동태에 관한 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기초로 방제전략을 수립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산림병해충을 방제한다(그림 5-3). 1. 병해 방제방법 (1) 화학적 방제(약제방제) 농약 등 화학약품을 이용한 방제로서 묘포장 또는 단목을 대상으로 큰 효과를 얻고 있다(구창덕 외, 2008). 그러나 산림에서는 지형, 임상 등으로 약제 살포가 어려우므로 항공살포를 한다. 약제방제는 상당한 경비와 노력이 수반되므로 위급 상황시 조치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2) 임업적 방제 산림내 수목의 입지환경을 개선하므로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농경지에 비하여 산림은 단기간의 환경개선이 어려우므로 장기..
산림병해충 5-1. 피해면적 산출 1. 도상 면적측정의 종류 도상(圖上)에서의 면적측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그림 5-1) (국립산림과학원, 2005). 1. 방안법 일정한 축적으로 방안지에 경계를 설정하고 해당하는 눈수를 계산한다. 사각형의 면적은 구하고 칸(격자)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선에 결쳐진 부분은 목측으로 계산한다. 이때 축적별로 1칸의 면적을 미리 계산하여 파악한다. 2. 띠측법 규격이 정해진 방안지가 아닌 종이에 그려진 도면을 활용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면 상에 적당한 간격으로 선을 긋는다. 선들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면적을 사다리꼴로 가정하고 면적을 계산한다. 3. 등량법 불규칙하게 나타난 경계선을 면적의 변화가 없도록 최대한 규칙적으로 수정한다. 이 경우에 면적이 동일하도록 긋는 선을 등량선 또..
산림병해충 4-2. 충해수준 구분 1. 해충조사의 종류 해충조사는 해충의 지리적 분포상황과 발생시기, 발생량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사목적에 따라 해충발생의 감시(surveillance)와 평가(evaluation)로 나눌 수 있으며 조사방법에 따라서는 항공조사와 현지조사로 나눌 수 있다. 해충발생의 감시는 새로운 해충의 조기발견과 피해분포, 확산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개황조사로서 비교적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순회조사를 하며 평가는 해충에 의한 피해의 정량적인 평가와 해충밀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로서 주로 고정조사지를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 해충조사방법 해충조사방법은 크게 직접조사와 간접조사로 나눌 수 있다. 1. 직접조사 (1) 전수조사 일정 면적 내에 서식하고 있는 해충수를 전부 조사하는 방법으로 해충..
산림병해충 4-1. 병해수준 구분 1. 피해목 조사내용 1. 가슴높이직경(흉고직경,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1) 의미 가슴높이에서 측정한 나무의 지름 (2) 높이 가슴높이의 기준은 국가마다 상이하며, 우리나라는 지상에서 1.2m 높이에서 측정하고, 서구에서는 1.3m에서 측정한다. (3) 윤척으로 측정하는 방법 측정 대상 입목의 가슴높이에 윤척의 고정각을 수펑으로 하고 유동각을 조절하여 나무에 닿게 한 후 척도를 계측한다. (4) 직경테이프로 측정하는 방법 측정 대상 입목의 가슴높이에서 직경테이프로 나무 둘레를 수평한 상태에서 감은 후 직경으로 환산된 수치를 기록한다. (5) 주의사항 경사지에서는 경사면 상부와 수간이 만나는 곳에서 측정한다. 흉고 이하에서 분지된 나무는 분지된 가지를 모두 측정한다. ..
산림병해충 3-2. 해충 구분 1. 해충조사의 종류 해충조사는 해충의 지리적 분포상황과 발생시기, 발생량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사목적에 따라 해충발생의 감시(surveillance)와 평가(evaluation)로 나눌 수 있으며 조사방법에 따라서는 항공조사와 현지조사로 나눌 수 있다. 해충발생의 감시는 새로운 해충의 조기발견과 피해분포, 확산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개황조사로서 비교적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순회조사를 하며 평가는 해충에 의한 피해의 정량적인 평가와 해충밀도의 변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로서 주로 고정조사지를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 해충조사방법 해충조사방법은 크게 직접조사와 간접조사로 나눌 수 있다. 1. 직접조사 (1) 전수조사 일정 면적 내에 서식하고 있는 해충수를 전부 조사하는 방법으로 해충..
산림병해충 3-1. 병 구분 1. 병징의 종류 병징(病徵, symptom)이란 생물적 또는 비생물적 원인에 인하여 식물체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의미한다([그림 3-1]). 식물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형태, 색상, 크기 등에서 건전 식물과 차이를 보인다. 병징을 육안, 확대경 또는 현미경 등을 통하여 진단하므로 병명과 발생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1. 시들음(wilt) 식물의 물관부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므로 물과 무기양분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잎이 붙어있는 상태로 식물체가 쳐지는 현상이다. 참나무 시들음병, 소나무재선충병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마름(blight) 보통 잎 전체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말라가는 현상이다. 3. 가지마름(twig blight, dieback) 가지가 끝부터 아래로 말라가는 현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