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80)
철사걸이하기 3-1. 철사걸이에 대한 이해 1. 철사걸이 철사걸이는 철사를 이용하여 수형을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수목의 생육을 원활하게 해주고 수목의 균형을 잡아 아름다운 수형을 형성하게 한다. 모든 가지를 대상으로 철사걸이를 할 수 있어 이상적인 가지의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섬세하고 정교한 수형연출이 가능하나, 대걸이에 비해 작업량이 많다. 철사를 감기 위해서는 가지에 있는 잎을 모두 뽑아야 하고 가지를 무리하게 휘면 가지에서 새 눈(雅)이 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꼭 필요한 부위에 실시해야 한다. 2. 철사걸이의 장점 1. 원하는 수형을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다양한 수형을 만들 수 있다. 3. 숙달되면 가지배열 시 자연스러운 선을 만들 수 있다. 4. 생장이 왕성한 가지에 철사걸이를 하면 그 가지는 ..
수형만들기 1-3. 전문 정지전정 작업 도구 준비 전문 정지전정 작업 도구에 대한 지식 정지전정 작업 도구에는 사다리, 톱, 전지가위, 적심 가위, 순치기 가위, 적과 가위, 적화 가위, 고지 가위, 긴 자루 전정가위, 산울타리 전정가위, 동력식 산울타리 전정기, 혹 가위 및 보조용 칼 등이 있다. 기능과 특성은 아래 과 같다. 수행 내용 / 전문 정지전정 도구 준비하기 1. 사다리 등 작업용 지지 도구의 크기, 재질, 종류를 작업 유형 및 규모에 맞게 선정하고 준비한다. 사다리의 상태를 사전에 점검하여 구조적 결함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2. 전정 작업용 손 도구를 작업 유형에 맞게 선정하고 준비한다. 1. 전정가위는 본래 과수원에서 사용하는 것이지만, 조경 수목이나 분재를 전정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 2. 적심(摘心) ..
수형만들기 1-2. 수형연출 방법 결정 1. 수목의 고유수형을 고려하여 수형 잡기 기존에 형성된 수목의 줄기 형태, 가지 배열, 수관을 잘 관찰하여 수목의 특징을 파악해야하며 그에 따라 수형연출 방법을 정한다. 1. 정면결정 (1) 수목은 살아있는 생물이어서 각 방향에서 바라보는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뿌리와 줄기의 연결부분, 줄기의 흐름, 가지의 배치, 수목 상부의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보기 좋은 방향을 정면으로 결정한다. (2) 일반적으로 수목의 상부가 앞쪽으로 조금 기울어 있고 가지가 팔로 감싸듯이 펼쳐진 방향을 정면으로 하는 경우가 좋다. 2. 수형 결정 (1) 여섯 가지로 제시한 수형 중에서 대상 수목의 형상에 어울리는 수형을 목표 수형으로 선정한다. (2) 줄기와 가지의 선이 직선보다는 곡선으로 형성되게 구도를 잡는다. 3..
수형만들기 1-1. 대상 수목 선택 1. 대상 수목 선택 전문 정지전정관리의 대상 수목은 줄기, 가지, 수관이 조화를 이루는 수목으로 특수목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는 분재에서 많이 다루는 수목의 형태이며 전문 정지전정관리는 분재관리, 특수목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전문 정지전정관리 대상 수목의 조건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형태 (1) 줄기는 자연스럽게 굽어져 굴곡을 형성하고 있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한다. (2) 뿌리와 연결된 아래쪽의 줄기 굵기가 굵고 위로 갈수록 얇아져야 한다. 줄기 굵기의 변화가 없는 수목은 속성으로 재배한 수목으로 조형미가 떨어져 사람들의 선호도가 떨어진다. (3) 줄기에 상처가 없고 수목 고유의 수피가 잘 발달해 있어야 한다. 2. 가지의 형태와 배치 (1) 가지의 굵기..
화목류 정지전정 5-3. 전정 후 사후 관리 1. 상처의 치료 자연적인 재해나 인공적인 재해로 상처가 생기므로 이 상처를 치료하여 유합 조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상처의 보호 상처를 보호하고 절단 부위에 병원균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살균용 방부제를 사용한다. 3. 부패균 처리 부후균이 발생되면 알맞은 외과 수술을 해 주어야 한다. 이때 나무의 부패 정도를 예찰하고 목질부와 심재부에 부패 정도를 진단하여 잘 수술한 후 치료하고 보호제를 발라 주고 영양 주사를 공급하여 생육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수행 내용 / 전정 후 사후 관리하기 1. 정지 전정 후 정지 전정 잔재물을 깨끗이 털어내고 청소하여 병해충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한다. 2. 정지 전정 작업 후 발생하는 잔재물에 대한 처리는 경제적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재활용 또는 폐기 처..
화목류 정지전정 5-2. 작업 시기와 방법 결정 1. 수목별 꽃눈 형성기에 대한 지식 정원 수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화목류, 즉 꽃을 관상의 대상으로 하는 수목들은 꽃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도록 전정의 시기를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식물이 꽃을 피우기 전에는 반드시 꽃눈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화아 분화라고 한다. 다음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아 분화 시기와 개화 시기는 수목의 종류별로 매우 다르다. 따라서 화아의 수를 줄이지 않을 수 있는 공통된 시기는 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꽃이 진 직후에 전정을 하면 화아의 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2. 화목류 마디 전정하기 화목류 마디 전정은 수목의 생장 속도를 억제하고 수형의 균형을 잡아 주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마디 전정은 가지를 중간에 잘라 남은 부분에서 새로운 가지를 원하는..
화목류 정지전정 5-1. 목적에 맞는 수형의 결정 수목의 눈 종류 화목류의 수형을 결정할 때 수목의 눈 종류를 파악하여 생장 방향과 개화 수량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수목 눈의 대표적인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잎눈[葉芽]: 자라서 잎이나 가지가 될 눈 2. 꽃눈[花芽]: 자라서 꽃이 될 눈으로 잎눈보다 짧고 통통함. 3. 잠아[潛芽]: 줄기 밑에서 드러나지 않는 눈으로, 발달하지 않고 그냥 있다가 근처의 가지나 줄기가 절단되면 발달됨. 4. 부정아[不定芽]: 보통 싹이 나지 않는 곳에서 나는 눈 5. 정아[頂芽]: 식물의 가지 끝에서 나는 눈 6. 측아[側芽]: 가지의 옆에 달리는 눈 7. 맹아[萌芽]: 부정기적인 눈 수행 내용 / 목적에 맞는 수형 결정하기 1. 먼저 대상 가지를 선정한다. 2. 대상 가지에서 새로운 가지가 자라게 될 방향을 결정한..
가로수 가지치기 4-4. 잔재물 처리 잔재물 처리에 대한 이해 정지 전정 후 수목에 부착되어 있는 잔가지나 전지 잔재물 및 낙엽을 깨끗이 털어 주어야 한다. 특히, 분쟁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전지·전정 후 잔재물을 완전히 털어 주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재물을 털어주는 작업 시 무성의한 뒷마무리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히 털어내고 뒷정리를 확실히 하여야 한다. 정지 전정 후 잔재물을 완전히 털어 주지 않아 말라서 흉한 모습으로 인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지 전정 작업에는 정지 전정 작업뿐만 아니라 전지물 운반, 전지물 파쇄처리 작업(정지 전정 잔재물 처리), 폐기물 처리 등을 포함하여 잔재물로 인한 주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수행 내용 / 잔재물 처리하기 1. 작업 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