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의 잎에서 나타나는 피해는 잎의 크기나 엽색, 잎의 병징 또는 식흔 등으로 피해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런 피해를 진단하기 위해서 측정장비를 활용하면 좋다.
(1) GPS
조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GPS수신기(GPS Receiver)를 사용하는데 오차는 10m 내외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사항은 스마트폰의 구글 맵을 활용할 수 있다.
(2) 나침반(방위계)
나침반은 방향표시에서 화살표 방향이 북쪽을 가리킨다. 측정시 수평을 유지한 채 사용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3) 썬토콤파스
수목 주변 경사, 배수, 토양유실, 석축 등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분은 썬토콤파스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경사도를 측정할 때 유용하다. 수고를 측정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수고측정기
수고측정은 하가측고기, 하그로프수고측정기, 썬토 크리노메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가측고기가 사용된다. 중앙의 기준점 2개를 통과한 제일 낮은 지점의 수치와 가장 높은 지점의 수치를 측정해 합산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5) 디지털 캘리퍼스(자)
잎의 크기, 두께 등을 측정하거나 나무둘레, 수관폭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작고 정밀한 것을 잴 때는 캘리퍼스를 사용하고 다소 크고 긴 것은 줄자 등을 이용한다.
(6) 경도계
토양을 50cm 정도 판 다음 수평으로 경도계를 눌러 표시된 부분까지 들어가도록 한다. 윗부분에 표시된 수치를 읽으면 된다.
(7) 삽
토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삽이 필요하다. 가늘고 약한 뿌리를 보호하면서 조사하기 위해서는 가늘고 얇은 삽을 사용한다.
(8) 붓
토양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뿌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흙을 털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붓을 이용해 뿌리나 주변의 시설물을 확인한다.
(9) 엽록소측정기
SPAD측정기라고도 하며 엽록소의 양을 비파괴방식으로 측정하는 장비이다. 잎을 센서 부위에 넣고 누르면 수치가 나온다.
수행 내용 / 조사장비 활용하기
현장에서 조사장비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토양은 물리성, 화학성을 가지고 있어 각기 다른 피해를 준다. 물리성은 토양경도, 수분함량, 토양밀도 등을 나타내며, 화학성은 양분의 상태 또는 특이물질 포함 유무를 나타낸다. 때문에 두 성질이 다른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서로 연관성이 있으므로 최대한 다양한 부분을 조사해 연결하는 것이 좋다. 잎과 가지, 뿌리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비는 다양하다.
1. 토양 물리성 토양의 비중과 3상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는 경도(밀도)와 수분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1) 경도(밀도)
토양경도는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토양을 50cm 정도 수직으로 판 다음 경도계를 눌러 표시된 부분까지 들어가도록 한다.
(2) 수분함량
토양수분함량은 장비를 이용할 경우 깊은 곳은 다소 어려움이 있다. 지표면에서 20-30cm 정도까지는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깊은 곳은 석고블록센서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측정한다. 일반적인 경우 만져보았을 때 느껴지는 촉촉함의 정도에 따라 판단하기도 한다.
2. 토양 화학성
토양이 지니고 있는 화학적 성질로, 주로 양분과 관련된 부분이 많다.
(1) 필요원소
질소, 인산, 칼륨 등을 측정한다. 육안 측정은 어려우므로 토양채취를 통한 토양분석으로 확인한다.
(2) 기타원소
기본적인 영양원소 외에 제초제라든지 염화칼슘 등의 피해에 대한 조사도 토양 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제초제 성분은 정밀분석을 의뢰하고, 염화칼슘 등은 토양산도계를 이용한다.
3. 잎 측정장비
잎은 다양한 생육상태를 보여주므로 측정종류에 따라 건전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 자
디지털캘리퍼스 또는 일반자를 이용하여 잎의 크기(엽폭, 엽장 등)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10cm 이내는 디지털캘리퍼스를 이용하고, 그보다 크면 줄자(5m,50m,100m 등)를 이용한다.
(2) 엽록소측정기
측정 단위는 SPAD이며 잎을 센서가 있는 부분에 댄 다음 눌러서 확인한다.
4. 가지 측정장비
가지 또는 줄기는 주로 자, 샤이고메타 등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1) 자
디지털캘리퍼스 또는 일반자를 이용하여 가지의 길이나 생장 길이를 측정한다.
(2) 샤이고메타
전기저항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장비로 현재는 생산이 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육이 좋은 나무는 5-15㏀ 정도를 나타낸다.
5. 기타 측정장비
현미경(루페), 망치, 톱, 전정가위, 울폐도기 등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1) 현미경
작은 곤충은 루페, 병원균 등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2) 망치
수피의 건전도를 확인하기 위해 망치(고무)를 활용한다.
(3) 톱(전정가위)
가지를 자르거나 생존 부위를 확인할 때 활용한다.
(4) 울폐도기
잎의 울폐정도를 확인하는 장비로 줄기 옆에 장비를 두고 거울에 비치는 양을 재서 울폐정도를 측정한다.
'산림보호 > 환경장애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장애피해 3-1. 토양 조사 부위 결정 (0) | 2023.05.21 |
---|---|
환경장애피해 2-4. 생육적지 식별 (0) | 2023.05.14 |
환경장애피해 2-3. 생태학적 수종식별 (2) | 2023.05.13 |
환경장애피해 2-2. 형태학적 수종식별 (1) | 2023.05.07 |
환경장애피해 2-1. 분류학적 수종식별 (0) | 2023.05.07 |
환경장애피해 1-3. 기상자료 조사 (0) | 2023.05.01 |
환경장애피해 1-2. 토양환경 조사 (0) | 2023.04.30 |
환경장애피해 1-1. 입지환경 조사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