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멀칭의 효과
멀칭(mulching)은 지표면을 어떤 물질로 덮는 것으로 수목 생장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유지 관리를 쉽게 하고 경관미를 높일 수 있다.
1. 멀칭의 이점
멀칭은 노출되어 있는 토양을 어떤 재료로 덮음으로써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하여 수목의 생장을 유리하게 한다.
(1) 잡초의 생장을 더디게 하여 수목에 더 많은 수분과 양분을 제공한다.
(2) 태양 복사를 차단, 바람으로부터 보호, 토양 온도 완화 등을 통해 토양 수분을 보존한다.
(3) 표토의 유실과 침식을 막는다.
(4) 토양 온도를 유지시켜 겨울철의 과건조와 온도 저하를 방지한다.
(5) 답압과 빗방울의 충격 등으로부터 토양이 다져지는 것을 방지한다.
(6) 토양의 구조 향상, 입단화 촉진, 공극률을 높여서 뿌리 생장을 돕는다.
(7) 기존의 흙과 점점 섞이게 되면서 가벼운 모래질 토양의 수분 보유 능력을 증가시켜주며 무거운 점토질 토양 입자의 공기 유통을 증가시킨다.
(8) 유익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증진되며, 썩어서 양료를 공급하여 토양 비옥도를 높인다.
2. 멀칭 재료의 특성
멀칭 재료는 매우 다양한데 유기질, 광물질 또는 합성 재료를 쓸 수 있다. 광물질이나 합성 재료는 토양 보호나 유기물 멀칭을 보완할 수 있는 편익성은 있지만, 토양 유기물을 보충해 주지는 못한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든 간에 값이 비싸지 않고 사용하기 쉬워야 하며, 투수성이 좋아야 한다.
1. 바크: 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보다 바깥 조직을 말하며, 소나무 껍질을 찌거나 소독 처리하여 토양 환경에 유해한 성분이 없는 제품을 사용한다.
2. 우드 칩: 소나무, 잣나무 등 국내산 자연목을 이용하여 생산된 것으로 입자가 얇지 않으며 고르고 깨끗하여야 한다.
3. 수목의 생리적 특성
1. 뿌리의 기본 구조
(1) 직근: 종자에서 나온 곧은 뿌리로 수직으로 자라서 수목을 지탱하는 역할
(2) 측근: 옆으로 뻗은 굵은 뿌리로 수십 년간 생존
(3) 세근(가는 뿌리):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뿌리로 온대 지방에서는 1~2년간 생존하나 겨울 월동 기간에 많이 죽음
2. 뿌리의 생장 시기 및 속도
(1) 뿌리의 생장 시기는 이른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로 봄에는 줄기보다 먼저 생장이 시작되고, 가을에는 줄기보다 늦게 생장이 지속된다. 그러므로 봄철 수목의 이식은 늦어도 눈이 트기 2주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뿌리의 생장 속도는 5월 기준으로 소나무의 경우 하루 2~3cm, 속성수인 포플러의 경우 하루 5cm 가량 생장한다.
3. 뿌리의 분포
(1) 지표면에서 20cm 깊이 내에 가는 뿌리의 90%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명이 짧아 계속 새로 생성해 내기 위한 세포 분열 활동으로 왕성한 호흡을 하여 많은 산소를 요구하게 된다.
(2) 수관 폭 내에 뿌리의 약 70%가 존재하며 심근성과 천근성 수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 심근성 수종: 소나무류, 잣나무류, 참나무류, 느티나무, 단풍나무, 회화나무
(나) 천근성 수종: 낙엽송, 가문비나무, 편백, 밤나무, 버드나무,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포플러류 등
(3) 균근은 토양 곰팡이와 뿌리의 공생 형태로 건조하거나 중금속 오염, 산성, 척박한 토양 등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만들어 준다.
수행 내용 / 멀칭 방법 선택과 유지 관리하기
1. 멀칭 재료의 종류와 특성, 그 장․단점을 조사하고 표로 정리한다
2. 대상 수목과 식재 대상 지역의 특성, 환경에 적합하고 주변과 어울리는 멀칭 재료와 방법을 선택한다.
1. 주변에 식재되어 있는 수종 중 멀칭해 주어야 할 대상을 선정한다.
2. 멀칭 재료와 방법을 선택한다.
(1) 멀칭의 재료는 입자가 너무 작으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2) 아주 잘게 썬 볏짚이나 가는 톱밥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
(3) 수피와 우드 칩의 경우 길이 2cm 이상 되는 거친 것을 써야 좋으며, 모래도 왕모래가 더 좋다.
(4) 펄프는 주로 묘포장의 파종상이나 절개지의 파종 공법에 쓴다.
(5) 합성 재료는 투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멍이 있거나 직조하여 만든다.
3. 멀칭해야 할 시기를 정하여 대상 지역에 재료를 균일하게 깔아 멀칭한다.
1. 멀칭재를 뿌려 주는 시기를 판단한다.
(1) 멀칭의 시기는 토양의 온도가 상승하고, 왕성하게 뿌리가 생장할 수 있는 봄철 중순 경이 좋다.
(2) 봄철에 멀칭이 지속될 경우 토양이 천천히 데워져서 멀칭이 없는 곳보다 생장이 지연되므로 햇빛에 노출될 수 있도록 수목 주변의 멀칭을 제거한다.
(3) 가을에 식재가 완료된 경우 멀칭을 바로 실시하여 토양 온도가 오랫동안 높게 유지
되도록 한다.
2. 멀칭을 실시한다.
(1) 멀칭할 기반을 조성한다.
(가) 뿌리분 지름의 약 3배 정도가 되도록 둥글게 멀칭할 장소를 표시한다.
(나) 지면 아래로 5~10cm 정도 표토를 걷어 내고 정리한다.
(2) 멀칭 재료를 고르게 깔아 준다.
(가) 최소 5~7cm 높이로 덮어 주되, 최고 15cm가 넘지 않도록 한다.
(나) 멀칭을 너무 두껍게 하면 공기 유통이 잘 안되고 토양이 과습할 가능성이 크다.
(3) 멀칭한 자리 주변은 배수로를 만들어 침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상황에 따라 다른 멀칭 방법을 익힌다.
(1) 새로 이식한 교목의 경우에는 뿌리분 주변에만 멀칭을 하며 관목의 경우에는 주변을 모두 멀칭한다.
(2)이식한 수목의 지표면에 잔디를 입혀 줄 경우 잔디가 수분과 양분을 빼앗아 가서 이식목의 뿌리 발달이 현저하게 둔화되므로 잔디를 입혀 주지 않는 것이 좋다.
(3)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는 짚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짚 위를 새끼나 끈으로 고정시켜 준다.
(4) 내한성이 약한 지피 식물이나 숙근초류는 참나무류의 낙엽이나 짚을 가을에 덮어주고, 이른 봄에 제거한다.
(5) 정원이나 공원에 사람이 밟지 않는 곳에 이중 멀칭을 하면 잡초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관수량을 절약할 수 있다.
(가) 토목 섬유(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부직포 geotextile fabrics)나 검은 비닐을 먼저 깔고 그 위에 수피나 돌을 덮는다.
(나) 검은 비닐은 수분 통과를 위해 약 1.2~1.5m 폭으로 잘라서 겹쳐 깔고, 구멍을 뚫어 준다.
4. 멀칭 대상 지역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조치한다.
1. 씻겨 내려간 표토를 회복하기 위해 복토를 할 경우 산소 부족으로 뿌리가 숨을 쉴 수 없게 되므로 멀칭재를 피복하여 표토를 복원한다.
2. 수목에 질소 결핍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C:N 비가 25:1 이하인 부숙된 멀칭 재료를 사용한다.
3. 세립질 토양이나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과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수를 향상시키는 처리를 적용한다.
4. 수간과 근원부에 대한 설치류의 피해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수간이나 근원부에서 조금 떨어져 멀칭한다.
5. 멀칭을 한 수목과 하지 않은 수목의 생육 상태를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관찰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1. 멀칭한 수종과 하지 않은 수종과의 생육 상태를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관찰 비교한다.
2. 멀칭을 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의 토양 구조를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관찰 비교한다.
3. 관찰 비교 후, 보고서를 작성한다.
• 수목의 뿌리는 호흡을 해야하므로 공기 유통이 가능하고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투수성 멀칭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 이미 식재된 수목에 복토를 할 경우 뿌리의 원활한 호흡을 방해해서 고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목 이
식 전에 성토나 복토는 하지 않는다.
• 멀칭의 범위는 적어도 물집까지는 덮어 주어야 한다.
• 멀칭으로 인해 잔디와의 수분 및 양분 경쟁을 줄여주며 잔디 깎는 기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막아줄 수 있다.
• 대상 장소에 적합한 멀칭 재료의 선택으로 경관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경관리 > 관수및기타조경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 실내 식물 관리 (0) | 2021.06.25 |
---|---|
5-1. 실내 식물 파악 및 점검표 작성 (0) | 2021.06.25 |
4-2. 보유장비 청결 유지 관리 (0) | 2021.06.25 |
4-1. 보유 장비 점검과 기록 (0) | 2021.06.25 |
3-2. 월동 방법 결정 및 월동 작업 (0) | 2021.06.25 |
2. 지주목의 선택과 유지 관리 (2) | 2021.06.24 |
1-2. 관수 방법 결정 및 관수 (0) | 2021.06.24 |
1-1. 관수 시기와 관수량 결정 (2)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