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관리/관수및기타조경관리

3-2. 월동 방법 결정 및 월동 작업

1. 수목의 저온 피해

1. 여름철 냉온에 의해 발생되는 냉해
생육 기간 동안에 빙점 이상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 피해로 이른 봄 개화기에 저온으로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나 목서, 팔손이 등과 같은 남부 수종이 가을철 개화 후 수정이 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된다.

2. 월동 중 발생되는 동해

 (1) 동해: 기온이 빙점 이하로 내려갈 때 나타나는 식물의 피해로 상록 활엽수의 경우 잎의 끝과 가장자리가 괴사하여 갈색을 띄게 된다.

 (2) 상해: 주로 서리에 의한 피해

  (가) 만상(늦서리): 봄에 늦게 오는 서리에 의해 수목이 피해를 받는 현상으로 새로 나온 새순, 잎, 꽃이 시들게 된다. 남쪽과 남서쪽 수관이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며 활엽수의 경우 잎이 흑회색으로 변색되고, 주목이나 전나무 같은 침엽수의 경우 붉은 색으로 변색되었다가 결국 말라죽게 된다. 만상 피해는 새순에만 주로 발생되므로 수목에 치명적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만상 피해는 목련, 튤립나무, 모과나무, 단풍나무, 철쭉, 영산홍, 주목 등에서 심하게 나타나는데 주목의 경우 1년 이상 된 잎들은 경화가 이미 진행되어 피해가 없고 새순만 급격히 적갈색으로 말라죽게 되므로 봄철 기상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쉽게 구별해 낼 수 있다.

  (나) 조상(첫서리): 가을에 첫 번째 오는 서리에 의해 나타나는 피해로, 따뜻한 가을날씨가 지속되어 수목이 계속 생장하면서 아직 내한성을 갖지 못했을 때 첫서리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조상은 만상의 피해보다 더 강하게 발생되며 수형을 망치거나 수목이 고사할 수도 있다.

 (3) 상열: 겨울철 수간이 동결할 때 바깥쪽 변재 부위가 안쪽에 단열되어 있는 심재 부위보다 더 심하게 수축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이다. 활엽수, 직경 15~30cm 가량 되는 수종, 낮에 햇빛에 의한 온도 차가 많은 남서쪽 수간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4) 서릿발 피해: 겨울철 땅 표면이 얼면서 위로 솟구치는 현상으로 주로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생되며 어린 묘목의 뿌리가 위로 올라와 말라죽게 된다. (이경준․이승제,2002; 김호준, 2004)

동해의 피해 사례


2. 수종별 내한성, 내음성, 내풍성에 따른 겨울철 수목 관리

1. 내한성은 동절기 중 극히 낮은 온도에 견디는 능력이다. (김호준, 2004)

 (1) 내한성이 강한 수종은 한대림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자작나무, 오리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류,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이 해당된다.

 (2) 내한성이 약한 수종은 삼나무, 편백, 해송, 금송, 히말라야시다, 배롱나무, 파라칸사등 주로 남부 지역에서 자라는 수종과 자목련, 사철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능소화, 벽오동, 오동나무 등이다.

 (3) 내한성이 약한 수종은 수간을 볏짚이나 새끼 끈으로 싸 주고, 상열을 막기 위하여 유지나 녹화 마대로 수간 전체를 감싼다.

2. 높은 식재 밀도로 인접한 나뭇가지가 서로 맞닿아 있을 경우 햇빛 투과량이 부족한 겨울철에는 수목의 내음성 정도에 따라 가지가 말라죽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1) 음수: 내음성은 부족한 광량에서도 죽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저항성을 말하며 내음성이 강해 약한 광선 조건에서도 자랄 수 있는 수종을 음수라고 한다.
  (가) 대체적으로 색깔이 짙고 두께가 얇으며 줄기는 길게 뻗는 수종이다.
  (나) 비자나무, 독일가문비, 전나무, 가시나무, 후박나무 등이 있다.

 (2) 양수: 충분한 광선 조건이 충족되어야 좋은 생장을 하는 수종을 양수라 한다.
  (가) 양수는 잎의 폭이 좁고 미세한 털이 있어 체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거나 해충으로부터 잎을 보호할 수 있다.
  (나) 소나무, 측백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철쭉류, 느티나무, 백목련, 개나리 등이 있다.

 (3) 수목은 오래될수록 그늘에 견디는 내음성이 약해지므로 가지를 솎아주거나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잘 자랄 수 있다.

3. 심근성 수종을 활용하여 방풍림을 조성하고 풍해에 대비한다.

 (1) 관리 대상 지역의 북서쪽에 상록수로 된 방풍림이나 인공 방풍벽을 조성하여 한랭한 바람을 차단하면 중부 지방에 식재된 영산홍이나 상록 활엽수의 월동에 도움이 된다.
 (2) 방풍림으로 적합한 심근성 조경 수목은 곰솔, 소나무, 은행나무, 전나무, 주목 등의 침엽수와 가시나무류, 굴거리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의 상록 활엽수, 단풍나무류, 모과나무, 목련류, 소귀나무, 참나무류, 칠엽수, 튤립나무 등이 해당된다.


3. 월동 대책
월동 작업은 이식 수목이 겨울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월동에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이다.(이경준․이승제, 2002)

1. 겨울철 관수와 배수

 (1) 상록 활엽수와 침엽수는 겨울철에도 증산 작용을 하므로, 토양 중에 충분한 수분이 있어야 한다. 토양이 동결되기 전에 충분히 관수하여 겨울철 수분 부족을 대비한다.

 (2) 지구 온난화로 겨울철이 따뜻해지면 상록수는 증산 작용을 계속하므로 기온이 영상을 지속할 때는 햇빛 좋은 날 관수해 주어야 한다.

 (3) 배수가 잘 되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에서는 토양 동결이 적게 일어나서 겨울철 저온에 견디는 능력이 향상되므로 배수를 철저히 한다.

2. 비료와 멀칭의 효과를 줄 수 있는 유기물 멀칭

 (1) 수목 뿌리 주변 지표면에 볏짚, 왕겨, 나뭇잎, 우드 칩, 바크 등의 유기물로 멀칭하면 토양이 깊게 동결하지 않아서 수분 부족으로 인한 동계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3. 증산 억제제 살포

 (1) 겨울철 증산을 억제시켜 건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통되는 제품의 용량과 사용 방법에 맞게 희석하여 식물에 피막이 생기도록 살포한다.

 (2) 초겨울에 영산홍이나 회양목에 증산 억제제를 뿌려 주면 잎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수간 보호 조치

 (1) 내한성이 약한 배롱나무, 벽오동, 히말라야시다의 지면에 접한 부위와 수간을 볏짚이나 새끼 끈으로 싸 준다.

 (2) 특히 이런 수종의 어린 나무는 수피가 얇아서 내한성이 작으므로 상열을 막기 위해 녹화 마대 등으로 수간 전체를 감싸는 것이 좋다.

수간 보호 조치
월동 대책 재료

5. 방풍림, 방풍벽 설치

 (1) 상록수로 된 방풍림이나 인공 방풍벽을 북서향에 조성하면 상록 활엽수의 월동에 도움이 된다.


수행 내용 / 월동 방법 결정 및 월동 작업하기

1. 월동 관리의 목적을 이해하고 수종의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 대상 식물을 선정한다.

1. 내한성이 약한 수목의 동해를 방지한다.
2. 이식한 후 수목 줄기로부터 수분 증산을 적게 한다.
3. 쇠약한 수목의 줄기나 가지에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한다.
4. 추위로 인해 수피가 얼어 터지는 상열을 방지한다.


2. 선정된 식물에 적합한 월동 재료와 월동 방법을 결정한다.

1. 수목 줄기 감기
 (1) 새끼나 녹화 마대 등을 돌려 감기 좋도록 풀어 묶어 놓는다.
 (2) 줄기 밑에서부터 감되, 감는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촘촘히 목적하는 높이까지 감아 올라간다.

2. 짚 싸기
 (1) 가지를 모아 끈으로 묶는다.
 (2) 줄기 밑에서부터 짚을 대어 가면서 가는 새끼로 짚을 묶고, 다시 줄기 위로 짚을 싸서 올라간다.

3. 방풍막 설치
 (1) 가을에 식재한 관목류는 차고 건조한 바람으로 인한 고사를 막기 위해 방풍막을 설치한다.
 (2) 바람이 심한 곳에 식재된 수목이나 동백나무, 히말라야시다 등 내한성이 약한 상록수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목 주위에 지지대를 박고 바깥쪽으로 방풍막을 두른다.

4. 피복법
 (1) 당년에 식재한 이식목은 짚, 왕겨 등으로 뿌리 부분을 보온한다.
 (2) 서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관목이나 소교목을 덮개로 덮어 준다.
 (3) 장미는 뿌리 부근에 멀칭재를 깔아주거나 주변의 흙을 끌어 모아 복토를 한다.
 (4) 초화류 화단에는 짚으로 덮어 준다.

월동 대책 사례

• 겨울철 적은 비가 올 경우 잔디와 관목류가 수분을 빼앗아 가 건조 피해가 발생되므로 수목 밑의 잔디
와 관목류를 제거한다.


3. 조경 수목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월동상을 파악하여 관리 대상 수목을 선정한다.

1. 조경 수목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월동상을 조사하여 표로 정리한다.

조경 수목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월동상 파악 조사 양식

2. 해충의 잠복소를 설치하고 해체 시기를 결정하여 병해충을 방제한다.
해충이 월동을 위해 지표면으로 내려올 때 이를 유인하기 위해 월동처 역할을 하는 잠복소를 짚이나 새끼, 거적, 녹화 마대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1) 잠복소 설치 및 해체: 9~10월에 잠복소를 설치하면 10월 중순부터 11월 초순에 월동을 하기 위해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기온이 오르기 전 2~3월에 줄기에 싼 잠복소를 걷어 유충이 활동하기 전에 불에 태운다.

 (2) 잠복소 관리 방법
  (가) 새끼나 볏짚으로 만든 잠복소를 수목 둘레에 맞게 자른다.
  (나) 지표면에서 1.2~1.5m 부위의 줄기에 설치한다.
  (다) 2회 정도 감은 후 위는 해충이 들어갈 수 있도록 느슨하게, 아래는 줄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묶어 준다.

 (3) 적용 수목: 가을철에 지표 부근이나 수피 틈에서 월동의 습성을 가진 해충에 적용하는 것으로 소나무류의 솔나방 방제와 양버즘나무, 벚나무류, 포플러류 등의 낙엽 활엽수에 피해를 입히는 미국흰불나방의 방제에 효과적이다.

• 활엽수의 어린 가지가 동해를 받았을 경우 봄에 겨울 눈에서 새싹이 곧 나오지 않더라도 활엽수는 어린 가지에 잠아가 많이 숨어 있어 나중에 발달하여 잎으로 자랄 수 있기 때문에 가지를 미리 잘라버리면 안 된다.
• 배관 동파를 막아주는 보온재를 사용하여 월동 작업을 하기도 한다.
• 잠복소는 수목 크기에 따라 넓이 20, 30, 45cm 등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조경 자재 판매상이나 인터넷 주문으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 서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관목이나 소교목을 덮어줄 때 덮개의 남쪽은 햇빛에 일부 열어 두고, 북쪽은 지면까지 연장하면 낮동안 토양과 수목의 낮은 부위가 가열된다.

https://coupa.ng/b5QT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