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보호

(69)
환경장애피해 1-3. 기상자료 조사 수목이 생육하는 동안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바람에 의해 부러지고, 눈에 가지가 꺾이고, 추위에 동해를 받는 등의 피해를 받는다. 이런 자료는 기상청에 공지되어 있는 자료를 찾아 확인한다. 비나 눈은 온 다음 바로 피해가 나타나기 때문에 특별한 자료조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온, 강수량 등은 수목의 생육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므로 조사 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1) 강수량 강수량은 많이 왔을 때보다는 적게 왔을 때 수목에 피해가 나타난다. 따라서 특정시기 적산강수량을 조사한다. 이런 조사는 최근 3-5년치를 같이 하는데 그 이유는 특별히 비가 많이 오거나 적게 온 것에 대한 비교를 위한 것이다. (2) 기온 기온의 경우 여름철에는 최고기온 및 최고기온 근접 일수를, 겨울철에는 최저기온..
환경장애피해 1-2. 토양환경 조사 토성 토양의 무기성분을 입자의 지름에 따라 모래, 가는 모래(silt), 점토의 3군으로 구분하고, 각 군의 함유비율에 따라 토양을 분류한 것을 말한다. (1) 토성의 종류 미농무성 분류 방법으로 2mm 이하 입자를 구분하면 모래는 2.0~0.05mm, 가는 모래(실트)는 0.05~0.002mm, 점토는 < 0.002mm이고, 국제토양학회법에 의하면 모래는 2.0~0.02mm, 실트는 0.02~0.002mm, 점토는 < 0.002mm 크기의 무기광물 입자를 가리킨다. (2) 토양 경도 토양의 경도는 토양경도계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토양경도계의 기준이 mm인 경우와 kg/cm2인 경우가 있어 측정시 어떤 기준을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3) 토양분석 토양의 간단한 상태는 육안이나 간이 측정장비를 활..
환경장애피해 1-1. 입지환경 조사 입지환경 지형조사 수목이 생육하는 공간은 위치의 변화가 없다. 단지 지형이 변화할 뿐이다. 지형 변화는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지형 변화의 양상을 좀 더 상세히 알고 싶을 때는 인근 주민과의 면담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지형변화는 육안으로 알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난 지형변화는 외부인이 보았을 때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현지인의 도움을 최대한 받도록 한다. (1) 복토(흙덮음) 수목 주변에 흙을 덮는 행위를 복토라 한다. 복토는 경사지에서 생육하고 있는 수목 주변의 평탄화 작업 또는 레벨 평준화를 위한 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또는 주변의 건물 등과 높이를 맞추기 위해 복토를 한다. 더불어 토양 유실이 잦은 지역에서 노출된 뿌리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시행되..
산림병해충방제 3-2. 작업장 안전관리 교육 1. 중대재해사례 (1) 벌목작업 중 벌채목에 의한 충돌사망 2004년 3월 2일 10:00분경 양구군 방산면 소재 낙엽송 간벌현장에서 OOO영림단 소속 벌채작업자가 최초 의도했던 벌채 방향이 바람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쓰러지는 방향이 변경되었고 하부에서 조재작업 중이던 피재자는 벌채자의 고함소리에 쓰러지는 나무의 움직임을 보고 자신에게로 쓰러지는 것으로 생각하여 측면으로 피하였으나 쓰러지는 나무에 맞아 재해가 발생 (가) 재해발생 원인 - 위험구역내 동시 작업을 진행하였다. - 벌목작업 작업시 위험방지를 위한 조치가 미흡하였다. (나) 동종재해 예방대책 - 위험작업반경내 작업을 금지시킨다. Ÿ 벌목작업시에는 벌채목 수고의 2배에 해당하는 벌목 구역 내에는 해당 나무 벌채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는 출입 및..
산림병해충방제 2-2. 방제 약제 관리 1. 방제 약제의 유실 방지 농약의 관리는 「농약관리법」(법률 제14980호 일부 개정 2017. 10. 31.)에 명시되어 있는데, “이 법은 농약의 제조·수입·판매 및 사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농약의 품질 향상, 유통 질서의 확립 및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하고 농업 생산과 생활환경 보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그중 산림 병해충 방제약제의 유실 방지는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함에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철저히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2. 방제 약제 유효 기간, 사용 연한 관리 방제 약제의 유효 기간과 사용 연한은 용기의 아랫면에 표시되어 있다. 유효 기간, 사용 연한 관리 농약의 유효 기간은 대상 병해충과 제품, 내용 구성물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제조일로부터 ..
산림병해충방제 2-1. 방제 기구, 기계 관리 1. 방제 기구 산림 병해충에 사용하는 기구는 수간 주사기, 천공기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 밖에, 외과 치료와 같이 방제 작업을 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사용되는 손톱, 끌, 낫, 전정가위, 분무기 등이 있다. 1. 수간 주사기 수간 주사기는 입목의 수세가 약하거나 솔잎혹파리와 같은 흡즙성 곤충의 방제에 많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개의 단목에 많이 적용하는 방법이다. 약액의 종류에 따라 또는 튜브의 내용물에 따라 다르며, 수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통 포도당 5% 액을 많이 사용한다([그림 2-1]). 2. 손톱, 고지 지타톱 손톱은 관목의 베기나 가지치기 등에 사용한다. 가지치기의 작업 능률은 체인 톱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베기 작업을 계속해 갈수록 톱날에 송진이 묻어 작업이 잘되지 않는다. 작업 도..
산림병해충방제 5-2. 임업적 방제 실행 1. 임업적 방제 1. 주요 산림병해충 임업적 방제 (1) 솔껍질깍지벌레의 임업적 방제 (가)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 1) 솔껍질깍지벌레 피해지 또는 선단지 위주로 일정 규모 이상 대면적에 집중하여 추진한다. (소나무재선충병 반출금지구역 외곽지역) - 사업규모: 개소당 30ha 이상 규모로 집단화하여 집중 실행 - 산물수집 및 사업추진의 용이성 확보 - 나무주사 실시하기 이전에 강도의 솎아베기 실행 ※나무주사를 먼저 실시할 경우 나무주사 대상목을 표시하여 나무주사를 실시하고 표시되지 않은 나무는 나무주사 후 솎아베기를 실시한다. 2) 소나무림의 생태적 건강성 확보 차원에서 강도간벌 추진 - 소나무는 햇빛 요구도가 매우 큰 수종으로 양분⦁수분 경쟁완화를 위해, 밀도 유지를 위해 입목 간 정상 간격 이상 거리..
산림병해충방제 5-1. 임업적 방제의 이해 1. 임업적 방제 임업기술의 응용 및 도입에 의하여 임지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개선하고 또 병원체 및 해 충의 침입경로를 차단하는 등 여러 가지 수단으로 병충해에 잘 걸리지 않는 산림을 조성 하는 것을 주체로 하는 간접적인 예방법이다. 2. 주요산림병해충 ( 예: 밤나무 혹벌) 밤나무혹벌은 1941년 일본 오까야마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59년에 충북 제천에서 그 피해가 최초 확인되었다. 본 해충은 대부분의 일생을 밤나무의 조직안 에서 생활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살충제를 살포해서 방제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임업연구원에서는 내충성품종을 보급하여 피해를 방지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내충성품종에도 피해를 주는 새로운 생태형이 출현하여 남부지방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으므로 천적곤충을 이용한 방제..